안도현
안도현 · 제주대학교 교수(PhD 미디어심리학)
2023/12/03
재생에너지로 인류가 필요한 모든 에너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충당할 수 있다는 제이콥슨 등의 연구가 비현실적인 이유입니다.

앞서, 이민호 변호사님의 "다음 이야기로 가기 전에, 안도현 교수님께 드리는 질문!"에 대한 답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를 게재했습니다. 제이콥슨 등의 연구의 문제가 무엇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의 글타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세 번째 이야기, 신재생 100%, 전세계 에너지 전환은 가능할까?
재생 100%가능하다는 제이콥슨의 연구는 인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다음 이야기로 가기 전에, 안도현 교수님께 드리는 질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ㄴ 지금 쓴 글

제이콥슨은 재생에너지에 풍력, 태양광, 태양열, 수력, 지열 등을 포함한다고 했지만, 실질적으로 전기생산에 동원되는 주력 발전원은 풍력과 태양광. 나머지 비중은 미미합니다.

1. 풍력, 태양광, 수력(WWS)은 지구에서 생산할 수 있는 총량이 고정돼 있습니다. 풍력탑, 태양광패널, 댐을 건설할 토지는 고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인류의 에너지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는데, 총량이 고정돼 있는 것에 모든 에너지를 조달하게 되면 우리 후손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에너지사용량을 늘리지 말아야 하는 상황에 마주하게 됩니다.

2. 가장 큰 문제는 현실성 없는 가정에 기반했다는 것입니다. 제이콥슨 등의 논문은 WWS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초기 비용, 토지 점유율, 기술 발전 속도, 에너지 수요 감소, 에너지 저장 및 전송 효율 등에 대해 현실성 없는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1) 2050년까지 전세계의 에너지 수요가 2012년 수준의 56.4%로 감소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인구 증가, 경제 성장, 전기화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2) WWS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토지 점유율이 전세계 토지 면적의 0.17% ~ 0.36%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풍력 발전기의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인간의 행동, 생각, 느낌을 미디어이용과 건강맥락에서 탐구.
47
팔로워 33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