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을 위한 용기, 무포장 과자 구입

홈은
홈은 · 15년차 집돌이
2022/04/03

위생의 고정관념


HACCP과 ISO 인증을 받은 공장에서 위생복과 위생모를 착용하고 위생장갑과 위생마스크를 한 사람들이 깨끗한 공장의 반짝거리는 기계 앞에 서서 청결한 모습으로 과자를 생산하는 것을 보통 위생적으로 식품을 생산한다고 말한다. 구성성분 하나하나를 따져보면 기함할 정도로 많은 합성물질과 나트륨 그리고 당류가 들어있어서 건강에 좋을 것도 없는 식품이 위생적인 환경에서 제조되었다는 것만으로 꽤 괜찮은 식품인 것처럼 분류된다는 것은 좀 이상한 일인데 우리는 그것을 잘 느끼지 못하고 살아간다. 

과일 채소 생선이나 반찬은 마트나 시장에 가면 비포장 상태에서 무게를 달아 가격을 측정하고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미리 포장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대용량에서 덜어 구매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럼에도 매장의 상태가 깔끔해 보이면 진공포장이나 랩포장이 되어있지 않아도 비위생적이라 말하는 사람이 없을텐데 어쩌다 우리는 유통과 판매의 편리를 위해 만들어진 포장 과자를 위생적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을까.
포장 없는 과자는 어딘가 어색해.

편의점 라이프


아들은 2009년 딸은 2013년에 태어났다. 도시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은 길가의 나무를 보듯 편의점을 보고 자랐고 그만큼 깔끔하고 예쁘게 포장된 간식도 친숙하게 여기게 되었다. 용돈을 모아 편의점에서 다양한 간식을 사서 먹는 것은 일상 깊숙이 파고들었고 우리는 공장에서 만들어낸 포장 제품을 사서 먹고 쓰레기를 버리는 행위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며 살아가게 되었다.

업태별 매출액 지수(2010년=100).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의 '유통산업 상생 및 혁신 정책 방향'(2019)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편의점은 온라인 마켓과 함께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1인 가구의 확산과 소비자의 소량 및 편의 구매 성향 등 소비 트렌...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
968
팔로워 760
팔로잉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