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민 인문학의 자립 가능성과 정부 지원의 현실화(2)
2023/06/19
자생적 시민 인문학 단체에 대한 지원 확대 및 실질화
정부는 시민 인문학 프로그램 관련 예산을 다변화하고 실질화 할 필요가 있다. 인문학 관련 예산의 실제 집행 과정에 숨어있는 매커니즘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요청된다. 최근 몇 년 사이 정규적 프로그램으로 안착된 몇몇 정부 및 지자체 주도 인문학 프로그램(’인문독서 아카데미’, ‘길위의 인문학’, ‘인문학 대중화 사업’, ‘도서관 인문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명확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 사업들은 대부분 관이 주도하는 프로그램처럼 보이나 실상은 ‘드러날 수 없는 수행자’들에 의해 기획되고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태반이다. 예를 들면, 도서관 사서나 기관 직원이 ‘기획-공모-(선정)-운영-결과보고’ 해야 하는 대부분의 역할을 인문학사업 에이전시 혹은 지역의 일부 전문가들이 대행하고 있다. 콘텐츠 개발 및 네트워크 기능을 전문 인문학 단체에 의존하지만, 기획 및 운영(조율) 비용은 대부분 계상되지 않고 이 역할을 하는 단체와 개인은 사업의 주체로 노출되지도 않는다.
그저 콘텐츠와 강사 개인으로 소모될 뿐이다. 이 사업들이 몇 년 사이 상설화된 정부표 대표적 인문학 사업으로 자리 잡았지만 이 사업들이 인문학적 가치를 존중하며 운용되는지 근본적인 회의가 든다. 시민 사회 공공 영역에서 시행되는 시민 인문학 프로그램의 구조와 설계 자체를 재점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셈이다.
그저 콘텐츠와 강사 개인으로 소모될 뿐이다. 이 사업들이 몇 년 사이 상설화된 정부표 대표적 인문학 사업으로 자리 잡았지만 이 사업들이 인문학적 가치를 존중하며 운용되는지 근본적인 회의가 든다. 시민 사회 공공 영역에서 시행되는 시민 인문학 프로그램의 구조와 설계 자체를 재점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셈이다.
또 하나 문제의 사례를 들자면 관에서 공모하는 인문학 사업의 예산은 대개 대학 혹은 대학에 적을 두고 있는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부설기관 및 연구소로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문독서 아카데미’, ‘인문학 대중화 사업’의 세부 프로그램인 ‘인문도시’, ‘인문주간’ 등이 대표적이다, 대개의 인문학 단체들은 법인화 되어있지 않아 사업의 입찰 자격조차 없다. 간신...
자생적 인문학 시장이 필요한데, 그게 너무 어렵습니다.
조금은 어렵지만 생각해볼 주제 잘 읽었습니다~
@청자몽 문과 이과에 대한 이분법적인 구분이나 갈라치기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서로가 상대를 보완하거나 비판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해주신 내용 생각해보니 더 서글퍼집니다.
전에 어느 글 중에;; 어느 교수님이 "문과는 없어져야 되."라고 하신게 생각나요 ㅠ. 흐극 ㅜㅜ. 슬펐어요. 반박하는 글을 써보려다가 침묵했거든요. 그게 어느 매체에서 인터뷰한거여서, 제가 쓴다해도 그 교수님께 전달될리가 없을거 같았어요. 그러면 헛일이잖아요. 괜히 분통만 터지고.
제 생각엔 문과, 이과 따로 칼처럼 나누지 말고
공존하면서 보완해서 발전하는게 좋을거 같거든요.
비전공이라서, 거기다가 감히 기술쪽으로 지원했다는 이유로 폭력에 가까운 구박과 무시와 천대를 받았던 예전 생각하면... 분명 기술님들이 가지지 못한 엄청난 강점이 있었는데, 두려웠을지도 모르겠어요.
하다하다 밀리면 "말 잘한다."고 까더라구요.
예전보다 조금씩 나아지리라 믿으며..
응원합니다.
...
저도 구청에서 주최한 작가님 강연을 듣거나, 도서관에서 하는 저자님 초청 강연을 듣거나 하거든요.
그리고,
생각해보면 머리에 방이 다른거 같아요.
이과 방과 문과 방이 다르고, 언어 방도 다른거 같았어요. 모국어 방과 외국어 방이 또 달랐던거 같아요. 열고 닫고, 들어갔다 나왔다 하기가.. 처음엔 힘든데, 자주 오가다 보면 궁극에 연결이 되기도 하고. 재밌는 지점을 찾을 수 있는 그런 게임 같더라구요.
@눈속의사과 네. 인문학 스스로의 노력이 더 필요한 상황에 대한 말씀으로 받아들입니다. 올바른 지적이십니다. 변화하는 기술문화나 새로올 세상에 대한 준비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세상을 구하는건 이과야"
무슨 밈처럼 최근 회자되는 말이죠.
몇 달 전 가족과 재주 가던 고깃집에서 로봇이 서빙하는 것을 보고
"인간은 다 목 뒤에 호스 꽂고 저 로봇들 배터리가 되겠지" 라며 키득댔던게 생각납니다.
인문학의 문턱이 낮아졌으면 좋겠어요.
사람 사는 이야기를 하고 그 사람에 대해 말하는 학문이라 생각하는데 언제부턴가 다들 스스로 어려운 학문이라는 울타리를 세우고 있는건 아닌지 모르겠어요.
오늘도 뼛속까지 문돌이는 문송한 마음으로 퇴근합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작가님!
"세상을 구하는건 이과야"
무슨 밈처럼 최근 회자되는 말이죠.
몇 달 전 가족과 재주 가던 고깃집에서 로봇이 서빙하는 것을 보고
"인간은 다 목 뒤에 호스 꽂고 저 로봇들 배터리가 되겠지" 라며 키득댔던게 생각납니다.
인문학의 문턱이 낮아졌으면 좋겠어요.
사람 사는 이야기를 하고 그 사람에 대해 말하는 학문이라 생각하는데 언제부턴가 다들 스스로 어려운 학문이라는 울타리를 세우고 있는건 아닌지 모르겠어요.
오늘도 뼛속까지 문돌이는 문송한 마음으로 퇴근합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작가님!
조금은 어렵지만 생각해볼 주제 잘 읽었습니다~
@청자몽 문과 이과에 대한 이분법적인 구분이나 갈라치기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서로가 상대를 보완하거나 비판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해주신 내용 생각해보니 더 서글퍼집니다.
전에 어느 글 중에;; 어느 교수님이 "문과는 없어져야 되."라고 하신게 생각나요 ㅠ. 흐극 ㅜㅜ. 슬펐어요. 반박하는 글을 써보려다가 침묵했거든요. 그게 어느 매체에서 인터뷰한거여서, 제가 쓴다해도 그 교수님께 전달될리가 없을거 같았어요. 그러면 헛일이잖아요. 괜히 분통만 터지고.
제 생각엔 문과, 이과 따로 칼처럼 나누지 말고
공존하면서 보완해서 발전하는게 좋을거 같거든요.
비전공이라서, 거기다가 감히 기술쪽으로 지원했다는 이유로 폭력에 가까운 구박과 무시와 천대를 받았던 예전 생각하면... 분명 기술님들이 가지지 못한 엄청난 강점이 있었는데, 두려웠을지도 모르겠어요.
하다하다 밀리면 "말 잘한다."고 까더라구요.
예전보다 조금씩 나아지리라 믿으며..
응원합니다.
...
저도 구청에서 주최한 작가님 강연을 듣거나, 도서관에서 하는 저자님 초청 강연을 듣거나 하거든요.
그리고,
생각해보면 머리에 방이 다른거 같아요.
이과 방과 문과 방이 다르고, 언어 방도 다른거 같았어요. 모국어 방과 외국어 방이 또 달랐던거 같아요. 열고 닫고, 들어갔다 나왔다 하기가.. 처음엔 힘든데, 자주 오가다 보면 궁극에 연결이 되기도 하고. 재밌는 지점을 찾을 수 있는 그런 게임 같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