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한 스승
손으로 익히는 일이든 글자를 익히는 일이든, 진정한 공부는 본인의 열망에서 비롯될 때 가장 빛을 발한다. <무지한 스승>에 보면 서로의 말을 알지 못하는 프랑스의 교사 자코토와 프랑스어를 알지 못하는 네덜란드의 학생들이 만난다. 학생들은 결국 대역판을 놓고 스스로 프랑스어를 깨우쳐 간다. 이 책을 보면서 <더 리더>를 사전을 놓고 읽어가던 내 모습이 떠오르긴 했지만, 우리 아이들에게 과연 저런 과정이 가능할까, 에는 회의가 들었다. 그들에게는 그렇게 공부를 해야 하는 동기가 없는 것이다.
딸 아이 이야기를 하자. 6학년 때부터 날라리 경계선에서 자그마치 4, 5년을 놀기만 하다가 급기야 고2 봄, 자퇴를 할까까지 고민을 하던 아이가 여름방학부터 공부를 하기 시작한다. 대학을 꼭 가고 싶다고 한다. 아이는 강남 아이들이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쌓아 올린 과정을 따라잡기 위해 맨땅에 헤딩을 했다. 전자사전에서 영어발음을 찾아듣는 과정은 느리고 답답했다. 저렇게 공부를 하다간 재수하기 딱 좋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저것이야말로 진정한 공부라는 생각이 들었다. 목표가 왜곡되었든 어쨌든, 저렇게 머릿속에 넣는 지식들이 아무 쓸모도 없는 것이든 어떻든. 그리고 아이는 자기 몸으로 스스로 깨치고 나온 알껍질의 아픔을 생생히 기억하여, 정말 하고 싶은 공부가 생겼을 때 그렇게 부딪칠 것이다. 그래서 나는 딸아이가 자랑스럽다.
다시 <무지한 스승>으로 가면 이런 구절이 있다.
만일 사람들에게 감동을 받고 서로 측은히 여기는 평등한 능력이 없다면, 사람들은 곧 서로에게 낯선 존재가 될 것이다. ...이 역량을 발휘하는 것은 우리가 누리는 모든 쾌락 중 가장 달콤하여 무리의 모든 욕구 중 가장 절박한 것이다.
‘평등한 자들의 공동체’에 대한 존중과 이해가 전제되고, 거기서 자기가 진정 원하는 것을 위해 노력하는 자들이 존중받는 세상이 아닌 머리와 글로 하는 공부만을...
@천세진 고맙습니다. 귀기울여 들을만한 말씀이네요. 공감합니다.
@악담 저도 잘 보겠습니다. 독서력이 혀를 내두르게 하는군요. 대단합니다.
한국은 성과와 효율 중심의 사회인데, 당연히 '인간'은 점점 사라지고 기계적인 능력과 효율이 뛰어난 인간형을 양산하는 시스템이 되고 말았지요. 출산 관련 정책을 말하는 이들을 보면 주택과 육아를 이야기하는데,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한 겁니다. '인간'이 살수 없는 세상인 게 정말 문제고, 주택과 육아는 두 번째인데 그걸 모릅니다.
니체 식으로 한 마디 하자면, "경쟁 좋아하는 족속들에게 화 있을지니!"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
때마침 무지한 스승에 대해 쓴 글이 있어, 김승문 님의 글에 이어쓰기를 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꾸벅 ~
한국은 성과와 효율 중심의 사회인데, 당연히 '인간'은 점점 사라지고 기계적인 능력과 효율이 뛰어난 인간형을 양산하는 시스템이 되고 말았지요. 출산 관련 정책을 말하는 이들을 보면 주택과 육아를 이야기하는데,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한 겁니다. '인간'이 살수 없는 세상인 게 정말 문제고, 주택과 육아는 두 번째인데 그걸 모릅니다.
니체 식으로 한 마디 하자면, "경쟁 좋아하는 족속들에게 화 있을지니!"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
때마침 무지한 스승에 대해 쓴 글이 있어, 김승문 님의 글에 이어쓰기를 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꾸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