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습: 건물 지하, 생화학 공격: 높은 곳, 지진: 탁 트인 공간으로 대피해야
2023/06/01
5월 31일 새벽,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발사하자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경계경보가 발령됐습니다. 몇 분 뒤 오발령이었다는 문자가 다시 발송되면서 긴박한 상황은 촌극으로 변하고 말았습니다만, 많은 서울 시민이 당혹스러운 시간을 보내야만 했습니다. 특히 당혹스러운 것은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 정보를 주지 않는 경보 메시지였습니다. 긴박한 상황에는 당장 실천할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전하는 게 가장 중요한데, 행동에 옮길 만한 실질적인 정보가 거의 없는 메시지로 빈축을 샀습니다.
또 하나 당혹스러웠던 것은 대피를 준비하라는데 어디로 대피해야 할지 모른다는 점이었습니다. 평소 민방위대피시설의 존재를 눈여겨 보지 않은 사람이 많았기에 더욱 당혹스러웠다는 반응입니다.
서울 시민은 아니지만, 케이스 스터디 삼아 대피소 정보를 찾아봤습니다. 서울의 경우 구체적인 위치 정보까지 공개가 돼 있기에 지도에 표시해봤습니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의 민방위대피소 데이터 5957건을 받은 뒤, 위도 및 경도 정보가 누락된 곳과 현재 운영하지 않는 곳을 제외한 3153건의 정보를 표시했습니다.
크기와 색상은 면적을 의미합니다. 면적의 중위값(크기 별로 늘어놨을 때 가운데 오는 값)은 3894㎡였고(가로 세로 60m 정도 공간. 국제 규격 축구장의 약 절반 크기), 가장 넓은 곳은 36만 ㎡가 넘었습니다(잠실 파크리오아파트 지하. 가로 세로 600m 크기의 공간으로, 축구장 50개 크기).
서울시에 따르면 "민방위대피시설의 총 면적은 2857만 ㎡ 남짓"이며 " 1인당 소요 전용 면적 기준인 0.825㎡를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모든 서울시민이 대피하기 위해 필요한 면적 확보율은 367.3%로 충분...
또 하나 당혹스러웠던 것은 대피를 준비하라는데 어디로 대피해야 할지 모른다는 점이었습니다. 평소 민방위대피시설의 존재를 눈여겨 보지 않은 사람이 많았기에 더욱 당혹스러웠다는 반응입니다.
서울 시민은 아니지만, 케이스 스터디 삼아 대피소 정보를 찾아봤습니다. 서울의 경우 구체적인 위치 정보까지 공개가 돼 있기에 지도에 표시해봤습니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의 민방위대피소 데이터 5957건을 받은 뒤, 위도 및 경도 정보가 누락된 곳과 현재 운영하지 않는 곳을 제외한 3153건의 정보를 표시했습니다.
크기와 색상은 면적을 의미합니다. 면적의 중위값(크기 별로 늘어놨을 때 가운데 오는 값)은 3894㎡였고(가로 세로 60m 정도 공간. 국제 규격 축구장의 약 절반 크기), 가장 넓은 곳은 36만 ㎡가 넘었습니다(잠실 파크리오아파트 지하. 가로 세로 600m 크기의 공간으로, 축구장 50개 크기).
서울시에 따르면 "민방위대피시설의 총 면적은 2857만 ㎡ 남짓"이며 " 1인당 소요 전용 면적 기준인 0.825㎡를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모든 서울시민이 대피하기 위해 필요한 면적 확보율은 367.3%로 충분...
미국과 한국에서 기자상을 수상한 과학전문기자입니다. 과학잡지·일간지의 과학담당과 편집장을 거쳤습니다. '사라져 가는 것들의 안부를 묻다' '인류의 기원(공저)' 등을 썼고 '스마트 브레비티' '화석맨' '왜 맛있을까' '사소한 것들의 과학' '빌트' 등을 번역했습니다.
@정기훈 그렇네요. 우리 사고나 대비책도 그렇게 화석처럼 멈춰 있는 건 아닌지 걱정도 됩니다.
외계인이 침공했을때도 해당되는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다만, 우리에게 그 대상이 북한이라는 사실이 몇십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게......
@멋준오빠의 행복공작소 맞아요. 헷갈리는데... 서울시 권고 보니 화학공격 시 지하로 대피할 경우엔 방독면 지참이 있어요. 방독면을 비치한 가정이 얼마나 있고 평시에 얼마나 갖고 다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있다면 그게 답이겠네요.
@life41 꼭 전쟁이 아니더라도, 기후위기 때문에 재난 위험도 높아질 것 같습니다. 이래저래 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백선환 그러게 말이에요. 영원히 쓰고 싶지 않은 지식입니다. 참, 평소 글 잘 보고 있습니다. :))
@강부원 감사합니다.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네요. 그래도 이런 지식을 쓸 일은 영원히 오지 않았으면 합니다. ㅠㅠ
@JACK alooker 맞아요. 저도 지인과 이야기하면서 그걸 가장 걱정했습니다. 오히려 무너져 갇히면 어쩌나, 전기도 나가고 물이라도 들어오면 어쩌나 걱정이 되는데요. 그럼에도 대부분이 지하인 걸 보면 공습시에는 (적어도 초기에는) 지하가 가장 생존 확률이 높다는 게 정설인가 봅니다.
공습과 생화학 공격이 동시에 일어나면, 지하로도 지상으로도 갈 수 없게 되는군요. 대피소로 가는 길에 인파 때문에 생기게 될 인명 피해도 있을 테고.
말씀해주신 것처럼 한 가지 문제가 생겼을 때 대응 방식이 될 것 같고, 각자 생존의 판단에 맡기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ㅠ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대피할 일이 아예 안일어 났으면 좋겠네요...^^
우리나라도 재난이나 전쟁에 대한 각자의 개인적 준비도 필요하겠네요.정보를 잘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습과 생화학 공격이 동시에 일어나면, 지하로도 지상으로도 갈 수 없게 되는군요. 대피소로 가는 길에 인파 때문에 생기게 될 인명 피해도 있을 테고.
말씀해주신 것처럼 한 가지 문제가 생겼을 때 대응 방식이 될 것 같고, 각자 생존의 판단에 맡기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ㅠ
어제의 경보가 잘한거냐 잘못한거냐 말은 많은데, 막상 진짜였으면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한 상황에서 적절한 포스팅이네요. 잘 보았습니다.
공격의 종류에 따라 대피 방법도 다르네요. 상세한 안내 감사합니다.👍 다만, 포격이나 미사일 공격 초반에는 지하대피소로 몸을 숨기더라도, 건물이 무너지고 2차 붕괴가 이어지면 지하 벙커가 오히려 무덤이 될 수 있을거 같습니다.
외계인이 침공했을때도 해당되는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다만, 우리에게 그 대상이 북한이라는 사실이 몇십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게......
@멋준오빠의 행복공작소 맞아요. 헷갈리는데... 서울시 권고 보니 화학공격 시 지하로 대피할 경우엔 방독면 지참이 있어요. 방독면을 비치한 가정이 얼마나 있고 평시에 얼마나 갖고 다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있다면 그게 답이겠네요.
@백선환 그러게 말이에요. 영원히 쓰고 싶지 않은 지식입니다. 참, 평소 글 잘 보고 있습니다. :))
@강부원 감사합니다.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네요. 그래도 이런 지식을 쓸 일은 영원히 오지 않았으면 합니다. ㅠㅠ
@JACK alooker 맞아요. 저도 지인과 이야기하면서 그걸 가장 걱정했습니다. 오히려 무너져 갇히면 어쩌나, 전기도 나가고 물이라도 들어오면 어쩌나 걱정이 되는데요. 그럼에도 대부분이 지하인 걸 보면 공습시에는 (적어도 초기에는) 지하가 가장 생존 확률이 높다는 게 정설인가 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대피할 일이 아예 안일어 났으면 좋겠네요...^^
우리나라도 재난이나 전쟁에 대한 각자의 개인적 준비도 필요하겠네요.정보를 잘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