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대 대선 정국을 뒤흔든 막장쇼 - 초원복국집 사건(1992)
2023/02/28
안갯속 대선 정국
3자 대결구도로 치러진 14대 대선은 1992년 12월 18일 투표일 다 되도록 당선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는 안갯속 정국이었다.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와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팽팽하게 맞선 가운데, 현대그룹 총수였던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도 만만치 않은 기세를 보여주고 있었다.
군사독재정권을 종식시키고 민주화로 이행해야 할 중요한 시대적 과제를 맡을 대한민국의 지도자는 과연 누가 될 것인가에 온 국민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민주진영의 분열과 반목으로 독재정권의 후예인 노태우에게 아쉽게 패배한 지난 13대 대선의 뼈아픈 기억을 잊고, 민주 대한민국호의 첫 수장을 뽑는 야심찬 선거였다.
14대 대선은 겉으로만 보면 지난 30년 동안 독재 권력에 저항했던 민주진영 후보 두 명과 자유 시장경제 체제를 옹호하는 재벌 출신 민간 후보 한 명이 경쟁해 상당부분 민주화가 진전된 형태의 선거 상황으로 보인다. 민주화 투쟁 과정의 오랜 동지이자 필생의 라이벌이기도 했던 김영삼과 김대중 후보 중 누가 대통령이 되어도 국민의 눈높이에 크게 어긋나지 않아 보였다. 누가 되더라도 이전보다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것이라는 확신과 기대가 있었던 행복한 선거였던 셈이다.
그러나 내막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선거의 실상은 복잡하고 어지러웠다. 2파전으로 예상했던 선거 구도가 정주영 후보의 가세와 인권변호사 출신 박찬종 후보와 같은 군소후보의 봉기로 인해 다자전 양상으로 확장되면서 각 정당들은 분주하게 이익과 손해를 계산해야 했다. 게다가 어떻게든 차기 대통령이 꼭 되려는 욕심에 김영삼의 통일민주당은 1990년 2월 이미 일찌감치 노태우 정권 하의 여당인 민주정의당과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과 3당 합당을 한 뒤였다.
‘야합’과 ‘배신’이라는 비난을 감수하고서라도 ...
@nodae79 지역감정이라는 게 지금도 물론 남아있고, 자연스럽기도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고 자란 고장에 애책을 느끼고, 그 이웃이나 선후배와 더 강한 교감을 느끼는게 본성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우리 정치사가 그런 자연스러운 지역감정을 치밀하게 계산된 표싸움이나 상대를 적대하는 수단으로 사용한 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도 "빨갱이" 비하는 역사의식 결여이고, 한심한 수준이죠. 말씀하신 부분 어떤 맥락에서 하셨는지 공감하고 있습니다. 그런 면으로 보자면 여전하고 변함없는게 맞네요.
작가님의 글을 읽으며 대부분 동의의 의미에서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만 이번 글 가운데 지역감정이 많이 줄어들었다는 부분은 동의하기가 힘드네요.
물론 30년 전처럼 대놓고 획책하는 지역감정은 줄어들었을지 모르지만 비단 선거 때마다 나오는 대중들의 수많은 지역감정 발언들, 그리고 이를 부추기는 (것처럼 보이는) 언론들. 무엇보다 실제 이런 지역감정을 몸소 느끼지는 못 했을 10대 학생이 학폭을 가하면서 특정 지역 출신을 비하하며 30년 전에도 대놓고 쓰기가 어려웠을 "빨갱이"라는 단어를 썼다는 사실에 과연 우리가 사는 오늘에 지역감정이 많이 줄었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박 스테파노. 범인들도 아는 걸 저렇게 똑똑하고 머리좋은 그들이 모를리 없겠지만, 눈앞의 탐욕이 저리 만드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세상이 망하든지, 저들이 먼저 나가 떨어지든지 대결하는 것 같아 견디기 힘들 지경입니다. 감사합니다.
바둑을 잘 두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포석'의 최고는 '정석'이라는 말이 생각나는 요즘입니다. 체스에서도 '오프닝'이라고 하여, 처음 10수 이내의 정형화된 수를 주고 받는데, 이것이 경험치와 확률로 볼 때 양측의 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암묵적 동의에서 가능한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요즘 정치는 '정석'을 잃어 버린 정치가 아닐까 싶습니다. 치열한 권력의 다툼에 그리고 그 욕심에 모두 해법과 꼼수로 대응하는 모습이 참 피곤합니다. 국민의 힘 전당대회도 그렇지만 어제 체포 동의안에 대한 사실상 반동을 보면서 여러 생각이 들었습니다. 민주당 의원들은 '지도부에 대한 경고'라고 하지만 아무리 읽어도 그 속 뜻은 '공천권'에 대한 욕심 뿐이었으니까요.
역사가 증명한 것은 '정석'이 남는다는 것 아닐까 싶네요. 당장의 자리와 영원의 진리와 맞바꾸는 얕은 속셈이 만연한 오늘에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을 '초원복국집 사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청자몽. 그러게요. 어느새 30년이라 새삼 저도 놀랐습니다. 지역감정보다 더 복잡하고 어지러운 갈등 요소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권력욕에 물들어 이합집산을 서슴없이 저지르는 정치인들도 여전하고요. 어쩜 저런 종자들만 정치 일선에 나서는지 골머리가 아픕니다. 우리들이 그래도 똑바로 바라보고 비판해야 조금이라도 덜 망가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청자몽님 다정한 말씀 정말 고맙습니다. 이제 곧 봄이네요. 좋은 날과 따듯한 계절을 만끽 하시길.^^
지역으로 나눠지는건 희미해진거 같은데;; 세대간 갈등 또는 남성, 여성.. 이렇게 나눠지는 갈등 등이 강화된 느낌이라 안타깝습니다.
멀지 않은 1992년이 어느새 30년 전이라니..
그리고 그때, 그 안타까움들이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니, 안타깝네요. 이 모든 것들이 성장의 과정 중에 하나이기를.. 바래봅니다. 그래도 희망을 놓지 않습니다.
오늘도 잘 읽고 갑니다.
작가님, 좋은 2월의 마지막날 되세요 : )
@캘리뽀냐. 네. 읽어주셔 고맙습니다.
영남 패권주의와 한국의 정치과잉 탈피를 기대해 봅니다. 잘 읽었습니다.
지역으로 나눠지는건 희미해진거 같은데;; 세대간 갈등 또는 남성, 여성.. 이렇게 나눠지는 갈등 등이 강화된 느낌이라 안타깝습니다.
멀지 않은 1992년이 어느새 30년 전이라니..
그리고 그때, 그 안타까움들이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니, 안타깝네요. 이 모든 것들이 성장의 과정 중에 하나이기를.. 바래봅니다. 그래도 희망을 놓지 않습니다.
오늘도 잘 읽고 갑니다.
작가님, 좋은 2월의 마지막날 되세요 : )
@청자몽. 그러게요. 어느새 30년이라 새삼 저도 놀랐습니다. 지역감정보다 더 복잡하고 어지러운 갈등 요소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권력욕에 물들어 이합집산을 서슴없이 저지르는 정치인들도 여전하고요. 어쩜 저런 종자들만 정치 일선에 나서는지 골머리가 아픕니다. 우리들이 그래도 똑바로 바라보고 비판해야 조금이라도 덜 망가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청자몽님 다정한 말씀 정말 고맙습니다. 이제 곧 봄이네요. 좋은 날과 따듯한 계절을 만끽 하시길.^^
영남 패권주의와 한국의 정치과잉 탈피를 기대해 봅니다. 잘 읽었습니다.
작가님의 글을 읽으며 대부분 동의의 의미에서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만 이번 글 가운데 지역감정이 많이 줄어들었다는 부분은 동의하기가 힘드네요.
물론 30년 전처럼 대놓고 획책하는 지역감정은 줄어들었을지 모르지만 비단 선거 때마다 나오는 대중들의 수많은 지역감정 발언들, 그리고 이를 부추기는 (것처럼 보이는) 언론들. 무엇보다 실제 이런 지역감정을 몸소 느끼지는 못 했을 10대 학생이 학폭을 가하면서 특정 지역 출신을 비하하며 30년 전에도 대놓고 쓰기가 어려웠을 "빨갱이"라는 단어를 썼다는 사실에 과연 우리가 사는 오늘에 지역감정이 많이 줄었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박 스테파노. 범인들도 아는 걸 저렇게 똑똑하고 머리좋은 그들이 모를리 없겠지만, 눈앞의 탐욕이 저리 만드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세상이 망하든지, 저들이 먼저 나가 떨어지든지 대결하는 것 같아 견디기 힘들 지경입니다. 감사합니다.
바둑을 잘 두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포석'의 최고는 '정석'이라는 말이 생각나는 요즘입니다. 체스에서도 '오프닝'이라고 하여, 처음 10수 이내의 정형화된 수를 주고 받는데, 이것이 경험치와 확률로 볼 때 양측의 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암묵적 동의에서 가능한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요즘 정치는 '정석'을 잃어 버린 정치가 아닐까 싶습니다. 치열한 권력의 다툼에 그리고 그 욕심에 모두 해법과 꼼수로 대응하는 모습이 참 피곤합니다. 국민의 힘 전당대회도 그렇지만 어제 체포 동의안에 대한 사실상 반동을 보면서 여러 생각이 들었습니다. 민주당 의원들은 '지도부에 대한 경고'라고 하지만 아무리 읽어도 그 속 뜻은 '공천권'에 대한 욕심 뿐이었으니까요.
역사가 증명한 것은 '정석'이 남는다는 것 아닐까 싶네요. 당장의 자리와 영원의 진리와 맞바꾸는 얕은 속셈이 만연한 오늘에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을 '초원복국집 사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nodae79 지역감정이라는 게 지금도 물론 남아있고, 자연스럽기도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고 자란 고장에 애책을 느끼고, 그 이웃이나 선후배와 더 강한 교감을 느끼는게 본성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우리 정치사가 그런 자연스러운 지역감정을 치밀하게 계산된 표싸움이나 상대를 적대하는 수단으로 사용한 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도 "빨갱이" 비하는 역사의식 결여이고, 한심한 수준이죠. 말씀하신 부분 어떤 맥락에서 하셨는지 공감하고 있습니다. 그런 면으로 보자면 여전하고 변함없는게 맞네요.
@캘리뽀냐. 네. 읽어주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