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처럼 보이는 사물의 밀물
2023/09/07
책을 바라볼 때마다 이제 더는 ‘지식’이란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다. ‘선택’이란 단어가 먼저 떠오른다. ‘선택’을 떠올려 놓고 드는 심정은 복잡하고 어둡다. 어쩌면 2년마다 찾아오는 각종 선거 때마다 드는 심정과 비슷할지도 모른다. 어떻게 해도 최선의 선택은 아니리라는, 과장되고 치장된 정보들이 결국 우리를 속이리라는 불안감이 너무 닮았다.
20세기 이후의 인류는 선택의 시대에 산다. 그 이전의 세기들에도 선택은 존재했지만 그 폭과 깊이는 몹시 좁고 얕았다. 개울과 거대한 강의 차이다. 이전 세기에는 계층, 계급, 직업을 의지대로 선택할 수 없었고, 거주 공간을 바꾸기도 어려웠다. 선택은 거의 언제나 혁명이나 반역을 의미했다.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정도의 차이가 있었을 뿐 거의 모든 인류 사회가 그런 모습이었다. 사회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문화적, 문명적 요소들과 의미들 또한 당연히 딱딱한 고체 속에 들어있었다. 『열린사회와 그 적들』(1945) 속에 들어있는 칼 포퍼(1902∼1994)의 견해를 빌리면 19세기까지의 사회는 ‘닫힌 사회’였고, 고체와 같은 사회였다.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을 비롯한 이후의 혁명들―군부 쿠데타는 제외하고―이 깨뜨리려고 한 것이 바로 그 닫힘과 딱딱함이었을 것이다.
근대성이 딱딱한 고체성에 있지 않고 유동적인 액체성에 있음에 주목한 지그문트 바우만(1925∼2017)은 『액체 근대』(2000)에서 이렇게 썼다. “불...
@소다
그 사물은 어떠하다,는 이전의 관점을 이제는 폐기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하나의 사물에 끼어드는 성질이 너무 많습니다. 매체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나쁘기만 한 것만은 아니어서 e북의 비중이 커지면 나무들이 좀더 살아남기는 할 것 같고요. 그래도 양이 너무 많기는 합니다. ^^ 고맙습니다!
책처럼 보이는 사물,책의 탈을 뒤집어 쓴 사물 우린 얼마나 가려낼수 있을까요? 책 사물은 그럴듯한 포장지에 가려 책 인체 앉아 있는데...요즘 책 홍수시대. 조만간 나무가 사라지고 숲이 사라지고 우린 책무덤에 앉게 될지도...
@천세진
연재하고 계신 글을 한 번 읽어봐야겠네요ㅋ
한국소설 좋아합니다. 사회과학 분야도 가끔 읽고.. 감사합니다"
@빅맥쎄트
문해력에 관련한 글을 이곳 얼룩소에 연재하고 있는데, 그 글에서 소개하고 있는 책들은 아주 괜찮은 책들입니다. 어떤 장르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으신지 알려주시면 제가 읽고 선정한 책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빅맥쎄트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는 사실 존재하지 않습니다. 안목을 가지려면 엄청난 독서량을 소화해야 하는데, 그런 노력을 기울인 분들은 사이트에 거의 출입을 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블로그에서는 그런 분들을 거의 만나지 못했고, 그나마 얼룩소에서 그런 분들을 몇 분 만난 것 같습니다.
@천세진
무수히 많이 쏟아져나오는 책 중에서 좋은 책을 보는 안목을 갖는 것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정보도, 시간도 부족한 게 현실이네요.
대형서점의 베스트셀러 판매순위보다는 국립도서관 추천도서들 위주로 읽는 편인데, 좀 더 다양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추천사이트를 알면 좋을 것 같습니다.
책처럼 보이는 사물,책의 탈을 뒤집어 쓴 사물 우린 얼마나 가려낼수 있을까요? 책 사물은 그럴듯한 포장지에 가려 책 인체 앉아 있는데...요즘 책 홍수시대. 조만간 나무가 사라지고 숲이 사라지고 우린 책무덤에 앉게 될지도...
@소다
그 사물은 어떠하다,는 이전의 관점을 이제는 폐기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하나의 사물에 끼어드는 성질이 너무 많습니다. 매체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나쁘기만 한 것만은 아니어서 e북의 비중이 커지면 나무들이 좀더 살아남기는 할 것 같고요. 그래도 양이 너무 많기는 합니다. ^^ 고맙습니다!
@천세진
연재하고 계신 글을 한 번 읽어봐야겠네요ㅋ
한국소설 좋아합니다. 사회과학 분야도 가끔 읽고.. 감사합니다"
@빅맥쎄트
문해력에 관련한 글을 이곳 얼룩소에 연재하고 있는데, 그 글에서 소개하고 있는 책들은 아주 괜찮은 책들입니다. 어떤 장르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으신지 알려주시면 제가 읽고 선정한 책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빅맥쎄트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는 사실 존재하지 않습니다. 안목을 가지려면 엄청난 독서량을 소화해야 하는데, 그런 노력을 기울인 분들은 사이트에 거의 출입을 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블로그에서는 그런 분들을 거의 만나지 못했고, 그나마 얼룩소에서 그런 분들을 몇 분 만난 것 같습니다.
@천세진
무수히 많이 쏟아져나오는 책 중에서 좋은 책을 보는 안목을 갖는 것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정보도, 시간도 부족한 게 현실이네요.
대형서점의 베스트셀러 판매순위보다는 국립도서관 추천도서들 위주로 읽는 편인데, 좀 더 다양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추천사이트를 알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