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탈제도종교화를 보여주는 데이터

steinsein
steinsein · 종교학 공부인과 연구인을 방황하는 자
2023/11/05
  • 20대 종교 인구 감소, 한국만의 현상이 아니다

'탈종교화'에 대한 관심은 종교계의 관심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종교에 대한 관심이 많이 없어졌다.
한국 갤럽

이 경향은 세계적 추세이다.
아래 그래프는 40세 이상 종교인 비율과 40세 미만 성인 종교인 비율의 차이를 국가별로 표시한 것이다. 41개국(기독교 국가, 산업화 된 국가가 많음)에서 '젊은 세대의 종교 인구 감소'가 확인되었다.
Pew Research Center(https://www.pewresearch.org/)
63개국은 별 차이가 없었고, 2개 나라(차드, 가나)는 오히려 40세 미만 성인의 종교 인구 비율이 높았다.

미국까지 끊어서 보면, 한국과 일본만 무종교인이 많은 나라고 나머지는 기독교인이 많은 나라다. 그리고 한국의 세대간 종교인 감소 정도가 가장 크다.
ⓒ심형준(2023)
그러나 종교인 수 감소에서 더 결정적 영향은 인구 감소 자체(출산율 저하)의 영향이 더 크다.
40대 총인구가 약 800만인 데 반해 30대와 20대는 각각 660만, 10대는 470만 정도이다(2020년 기준). 2015년 기준 종교인 비율은 10대가 40대에 비해서 5.2% 포인트 적지만,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종교(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모색하는 공부인입니다. 종교보다 종교적 인간, 종교문화, 미신 등 인간의 종교적 특성을 볼 수 있는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비종교 현상에서 종교적 특성을 읽어내기를 좋아합니다.
115
팔로워 598
팔로잉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