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22
1.
'여자라서 죽는다'는 말은 사람이 여자일 때 특정 방식으로 죽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성폭행의 대상이 되어서 죽는 남자보다 그러는 여자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단지 그 이야기입니다. 여자만 위험하다는 의미도 아니고, 여자만 특별히 더 보호해야 한다는 의미도 아닙니다. 여성이 여성이기에 겪기 쉬운 문제가 있다는 사실마저 부정한다면, 래디컬 페미니스트와 같은 수준에 머무르게 될 겁니다.
2.
남자라서 죽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징병제를 정갈하게 운영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남자가 아니라면 겪지 않을 범죄가 자주 일어납니다. 몇 년 전에는 윤 일병 사건이 있었고, 최근에는 채수근 상병 사건이 있었습니다. 물론 여군도 군대에서 부당한 폭력에 휘둘릴 때가 있지만, 여자는 선택이고 남...
'여자라서 죽는다'는 말은 사람이 여자일 때 특정 방식으로 죽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성폭행의 대상이 되어서 죽는 남자보다 그러는 여자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단지 그 이야기입니다. 여자만 위험하다는 의미도 아니고, 여자만 특별히 더 보호해야 한다는 의미도 아닙니다. 여성이 여성이기에 겪기 쉬운 문제가 있다는 사실마저 부정한다면, 래디컬 페미니스트와 같은 수준에 머무르게 될 겁니다.
2.
남자라서 죽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징병제를 정갈하게 운영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남자가 아니라면 겪지 않을 범죄가 자주 일어납니다. 몇 년 전에는 윤 일병 사건이 있었고, 최근에는 채수근 상병 사건이 있었습니다. 물론 여군도 군대에서 부당한 폭력에 휘둘릴 때가 있지만, 여자는 선택이고 남...
무분별한 자기계발론과
자유방임주의에 맞섭니다.
법치국가와 사회연대를 결합하려는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자입니다.
더칼럼니스트 창간 1주년 기념 칼럼 공모전 당선
얼룩소 에어북 공모 1회차 선정 '함께 자유로운 나라' 출간
얼룩소 에어북 공모 6회차 선정 '좌업좌득' 출간
제가 하지 않은 말에 대해서는 저도 뭐라고 할 말이 없습니다.
@안.망치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제 글에서 쓰이는 이름들은 논의의 편의를 위해 붙인 것들입니다.
글의 주제가 '여성이 불안을 호소할 만한 이유가 있다'이고, 저는 이를 여성 문제라고 부릅니다. 여성 문제에 대응할 방법을 '논점 일탈을 막기 위해' 여성 안전 대책, 또는 여성 정책이라고 불렀을 뿐입니다.
바로 앞 댓글 마지막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상품 기획 과정에서 편하게 부르는 이름과 실제 상품 이름은 엄연히 다른 문제이고, 저는 글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시 위해 앞부분만 다룬 겁니다.
실제로 여성이 앞에 붙은 정책이 있는 건 아는데, 그건 제가 붙인 이름이 아니니 제가 설명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저는 그런 이름이 마케팅 관점에서 도움되지 않는다면 다른 이름도 괜찮다고 봅니다.
앞에서 여성 정책을 다루실 때에는 실용성을 기준으로 삼으시면서, 뒤에서 군대 문제를 다루실 때에는 논리적 엄밀함을 기준으로 삼으시는 것이 오히려 일관성이 부족한 듯합니다.
제가 보기에 굳이 '남성 문제'라는 말이 안 쓰이는 이유는 논리로 다 따질 수 없는 관습의 영역입니다. 남성 군인을 굳이 남군이라고 부르지 않는 데에는 특별한 논리적인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그게 관습이어서일 뿐입니다. 저는 남성 문제라는 말도 같은 이유로 어색해서 사용되지 않는 걸로 추측하고 있고 여기에 굳이 논리적 잣대를 가져다 쓸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여성이 불안해 하는 상태의 반대말은 여성이 안전감을 느끼는 상태입니다. 여기서 굳이 여성을 빼고 다른 말을 넣어야 할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주제가 여성의 불안감일 때에는 그 주제와 어울리는 말을 쓰는 게 논의의 편의를 위해서 맞다고 봅니다. 물론 최종적으로 정책을 내보낼 때에는 유용함을 기준으로 다른 이름을 사용하는 편이 좋을 듯합니다.
@안.망치 약자라는 큰 집합 안에 남성과 여성이 같이 있다고 봅니다.
만약 가장 넓은 개념이 문제의 본질이라면, 모든 사람을 포괄하는 '인간'이 문제의 본질라는 이야기가 되어버립니다. 모든 것을 지칭하는 표현은 대체로 쓸모 없는 것처럼, 너무 넓은 개념은 문제 해결에 도움되지 않아 보입니다.
남자인가 여자인가와 강자인가 약자인가는 논의하는 범주가 조금 다릅니다.
원래 글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여자들에게는 불안해 할 만한 이유가 있다." 가 됩니다.
그 근거로 피해자의 압도적인 다수가 여성인 범죄들이 있다는 점, 그 범죄들이 남자끼리의 싸움에 비하면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이렇게 많은 여성들이 공유하는 불안감을 '여성 문제'라고 부르고, 여성 문제에 대응할 방법을 '여성 정책' 또는 '여성 안전 대책'이라고 부릅니다. 남자를 배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애초에 여성들이 호소하는 불안감에 대응하려고 고안한 정책이라 여성 정책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지금까지 남자들이 강간당하거나 집 앞에 모르는 여자가 들이닥칠까 봐 걱정된다고 집단으로 호소한 적은 없죠.
그런데, 원인에는 또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자들이 불안해 하는 이유는 여자라서 겪기 쉬운 문제가 있다는 점 때문인데, 그렇다면 왜 여자라서 겪기 쉬운 문제가 일어나느냐고 한 번 더 물을 수 있습니다. 저는 그 대답이 권력 격차라고 봅니다. 이 이야기입니다.
또한, 여기서 부르는 이름들은 어디까지나 논의의 편의를 위해 새로운 단어를 뺀 것들일 뿐이지, 실제 정책에 쓸 이름이 아닙니다. 상품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편하게 부르는 이름과 실제 이름이 갖는 효과를 고려하며 정한 이름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안.망치 1. 생략 표현이 아닙니다. 보충글이 아닌 본문 내용은 제목 그대로 상황에 따라서 여자라는 조건에 해당하기 때문에 죽을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보충글은 여자라는 조건에 해당하기 때문에 죽는 원인으로 권력 격차를 이야기했을 뿐입니다. '여자가 특히 약자라서'가 아니라, '약자인 여자가 많아서'라는 뜻입니다.
프레임은 주관적인 영역이지 객관적인 영역이 아닙니다. 각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모두 대응할 방법은 없어 보입니다.
2. '여자라서 더 겪기 쉬운 문제가 있다'가 곧 '여자만 보호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본문에서도 그렇게 이야기한 적 없습니다.
예를 들어 성범죄를 예방하면 남자도 혜택을 볼 수 있겠지만 주로 여성이 혜택을 받을 겁니다. '여성 안전 대책'이란 여자만 보호하는 정책이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주 혜택층이 여자라는 의미죠.
제가 하지 않은 말에 대해서는 저도 뭐라고 할 말이 없습니다.
@안.망치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제 글에서 쓰이는 이름들은 논의의 편의를 위해 붙인 것들입니다.
글의 주제가 '여성이 불안을 호소할 만한 이유가 있다'이고, 저는 이를 여성 문제라고 부릅니다. 여성 문제에 대응할 방법을 '논점 일탈을 막기 위해' 여성 안전 대책, 또는 여성 정책이라고 불렀을 뿐입니다.
바로 앞 댓글 마지막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상품 기획 과정에서 편하게 부르는 이름과 실제 상품 이름은 엄연히 다른 문제이고, 저는 글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시 위해 앞부분만 다룬 겁니다.
실제로 여성이 앞에 붙은 정책이 있는 건 아는데, 그건 제가 붙인 이름이 아니니 제가 설명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저는 그런 이름이 마케팅 관점에서 도움되지 않는다면 다른 이름도 괜찮다고 봅니다.
앞에서 여성 정책을 다루실 때에는 실용성을 기준으로 삼으시면서, 뒤에서 군대 문제를 다루실 때에는 논리적 엄밀함을 기준으로 삼으시는 것이 오히려 일관성이 부족한 듯합니다.
제가 보기에 굳이 '남성 문제'라는 말이 안 쓰이는 이유는 논리로 다 따질 수 없는 관습의 영역입니다. 남성 군인을 굳이 남군이라고 부르지 않는 데에는 특별한 논리적인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그게 관습이어서일 뿐입니다. 저는 남성 문제라는 말도 같은 이유로 어색해서 사용되지 않는 걸로 추측하고 있고 여기에 굳이 논리적 잣대를 가져다 쓸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여성이 불안해 하는 상태의 반대말은 여성이 안전감을 느끼는 상태입니다. 여기서 굳이 여성을 빼고 다른 말을 넣어야 할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주제가 여성의 불안감일 때에는 그 주제와 어울리는 말을 쓰는 게 논의의 편의를 위해서 맞다고 봅니다. 물론 최종적으로 정책을 내보낼 때에는 유용함을 기준으로 다른 이름을 사용하는 편이 좋을 듯합니다.
@안.망치 약자라는 큰 집합 안에 남성과 여성이 같이 있다고 봅니다.
만약 가장 넓은 개념이 문제의 본질이라면, 모든 사람을 포괄하는 '인간'이 문제의 본질라는 이야기가 되어버립니다. 모든 것을 지칭하는 표현은 대체로 쓸모 없는 것처럼, 너무 넓은 개념은 문제 해결에 도움되지 않아 보입니다.
남자인가 여자인가와 강자인가 약자인가는 논의하는 범주가 조금 다릅니다.
원래 글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여자들에게는 불안해 할 만한 이유가 있다." 가 됩니다.
그 근거로 피해자의 압도적인 다수가 여성인 범죄들이 있다는 점, 그 범죄들이 남자끼리의 싸움에 비하면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이렇게 많은 여성들이 공유하는 불안감을 '여성 문제'라고 부르고, 여성 문제에 대응할 방법을 '여성 정책' 또는 '여성 안전 대책'이라고 부릅니다. 남자를 배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애초에 여성들이 호소하는 불안감에 대응하려고 고안한 정책이라 여성 정책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지금까지 남자들이 강간당하거나 집 앞에 모르는 여자가 들이닥칠까 봐 걱정된다고 집단으로 호소한 적은 없죠.
그런데, 원인에는 또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자들이 불안해 하는 이유는 여자라서 겪기 쉬운 문제가 있다는 점 때문인데, 그렇다면 왜 여자라서 겪기 쉬운 문제가 일어나느냐고 한 번 더 물을 수 있습니다. 저는 그 대답이 권력 격차라고 봅니다. 이 이야기입니다.
또한, 여기서 부르는 이름들은 어디까지나 논의의 편의를 위해 새로운 단어를 뺀 것들일 뿐이지, 실제 정책에 쓸 이름이 아닙니다. 상품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편하게 부르는 이름과 실제 이름이 갖는 효과를 고려하며 정한 이름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안.망치 1. 생략 표현이 아닙니다. 보충글이 아닌 본문 내용은 제목 그대로 상황에 따라서 여자라는 조건에 해당하기 때문에 죽을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보충글은 여자라는 조건에 해당하기 때문에 죽는 원인으로 권력 격차를 이야기했을 뿐입니다. '여자가 특히 약자라서'가 아니라, '약자인 여자가 많아서'라는 뜻입니다.
프레임은 주관적인 영역이지 객관적인 영역이 아닙니다. 각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모두 대응할 방법은 없어 보입니다.
2. '여자라서 더 겪기 쉬운 문제가 있다'가 곧 '여자만 보호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본문에서도 그렇게 이야기한 적 없습니다.
예를 들어 성범죄를 예방하면 남자도 혜택을 볼 수 있겠지만 주로 여성이 혜택을 받을 겁니다. '여성 안전 대책'이란 여자만 보호하는 정책이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주 혜택층이 여자라는 의미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