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의 반경 - 느낌의 공동체에서 사고의 공동체로

교실밖
교실밖 · 읽고 쓰고 걷는 사람
2024/03/30
여기 두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은 감정이 풍부하다. 또 한 사람은 감정보다는 이성이 앞서는 사람이다. 우리의 선입견은 감정이 풍부한 사람이 타인의 입장에 대하여 더 쉽게 공감하고 문제 해결에 빠르게 동참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이성적인 사람은 문제에 직면하여 이것저것 재고,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나머지 상대 입장에 쉽게 공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감정과 이성을 대비하는 사례는 차고 넘친다. 나는 지난 글에서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공감은 빈껍데기와 같다고 말한 적이 있다.

상대방의 입장에 빠르게, 깊게 이입하는 것은 '나는 당신의 편'이라는 시그널을 주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당신이 지금부터 내 편'이라는 인증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지극히 제한적이다. 내 편, 네 편을 넘어서는 메타인지적 대화는 가능할까. 사실을 말하자면 많은 사람들이 이 지점에서 성마르다. 

대화의 기술을 강조하는 이쪽 방면의 전문가(내가 보기엔 기술자)들은 우선 상대의 입장을 경청, 공감하고, 판단하거나 분석하지 말라고 조언한다. 그저 주의깊게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문제의 반은 해결되는 것이라고 한다. 관계의 유지에 비중을 둔 해법이다. 문제는 그것이 어떤 경청, 어떤 공감이냐다. 내 생각에 그냥 듣기는 경청이 아니고, '그렇구나'를 반복하며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진정한 공감이 아니다.

공감이라는 문제를 따질 때는 개인과 사회, 정서와 이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그것들의 양과 질, 방향과 폭 등이 두루 개입한다. 단순하게 '이것은 이렇다'라고 쉽게 판단 내리기 힘들 만큼 양상은 복잡하다. 그동안 공감은 주로 심리정서 영역에서 많이 다루었다. "당신 문과야 이과야?"라는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교육을 고민한다. 몇 권의 책을 썼다.
48
팔로워 50
팔로잉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