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유토피아> 공동체의 스펙트럼을 묻다

고요한 · 책 파는 영화애호가
2023/08/22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이하 <콘크리트>)는 KBS 모던코리아 팀에서 제작한 ‘한국 아파트의 역사’가 요약된 짧은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시작한다. 영상이 끝나면 방에서 잠이 깬 민성(박서준)이 창가로 걸어가 폐허가 된 바깥 풍경을 바라보고 그에 대비되어 홀로 서 있는 황궁아파트의 전경이 부감으로 펼쳐진다. 이 오프닝은 <콘크리트>가 일반적인 재난물과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것을 암시한다.

평범한 재난물을 생각해 보자. 오프닝에서는 앞으로 닥칠 재난을 모르는 주인공의 일상이 그려진다. 이후 재난을 경고하는 개인이나 단체가 나오지만 의견이 묵살된다. 본격적으로 재난이 발생하면 엄청난 파괴가 시작되고 그 후폭풍으로 다채로운 군상극이 펼쳐지며 혼란에 빠진다. 이때 갑자기 등장한 (주로 오프닝에서 평범한 삶을 살던) 주인공의 영웅적인 행동 덕분에 위기를 극복한다.

<콘크리트>의 오프닝에서 일상도, 재난도 없이 아파트만 부각되는 건 영화에서 일상과 재난이 없다는 게 아니라 한국인에게는 아파트가 일상이자 재난이라는 의미다. 전용면적 34평(84㎡) 아파트는 아예 국민평수라고 불린다. 주인공의 삶을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아도 아파트의 등장만으로 한국인이 그리는 평범한 삶이 관객의 머릿속에 그려진다.  아파트 거주를 준비하는 순간부터 생존을 위한 투쟁이 시작되니 지표면이 뒤집어지는 대지진은 짧은 스케치만으로 충분하다.

■ 아파트의 입주자격과 공동체의 스펙트럼

부녀회장 금애(김선영)는 ‘이제 목사나 살인자나 같은 세상이다’고 말은 하지만 황궁아파트에 머무르는 조건은 권리증서다. 대지진이 일어난 지 며칠이 지났지만 지나가는 구조헬기 한 대 보이지 않고, 화폐경제가 마비되어 물물교환으로 돌아간 시점에 열린 입주자회의에서는 이제 휴지 조각이나 다름없는 부동산등기를 생존의 필수조건으로...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18
팔로워 25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