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꾸라지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 : 다시쓰는지록위마의시대 8장

 강준만 교수는 매일 아침마다 주요 신문 및 일간지 등의 기사들을 스크랩하여 정리한다고 한다. 그 모든 스크랩들이 책을 쓰기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 자신조차도 몇 권의 책을 썼는지 알지 못할 정도로 많은 책을 쓰는 '책공장' 강준만의 저력이 신문기사 스크랩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알고 한동안 그를 따라 매일 새벽에 기사들을 스크랩해두는 작업을 한 적이 있었다. 결과만 말하자면 쌓여가는 문헌들의 양이 너무 많아 특정 주제와 관련된 문헌들을 적절하게 인용하는 게 거의 불가능할 지경에 이르러 포기하였다. 다시 찾아보니 강준만은 스캔본을 활용하여 필요할 때마다 특정 주제에 관한 기사들을 찾을 수 있도록 해놨다고 한다. 적절한 정보를 선별하는 기제가 없는 상황에서 정보의 양이 많아지면 외려 아무것도 못하게 된다는 걸 그때 경험했다.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특정한 의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자료를 구하는 건 생각만큼 쉽지 않다. 오히려 정보가 많다는 특징으로 인해 무엇이 도움이 되는 정보인지 선별하는 게 쉽지 않다. '가짜뉴스' 등이 계속해서 문제가 되는 건 정보의 신뢰성을 걸러낼 기제가 없는 상태에서 특정 정보의 무분별한 확산이 야기할 사회적 문제 때문일테다. 정확하지 못한 정보로 인해 피해를 입게 되는 건 비단 상품구매의 과정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덕(virtue)'을 갖춘 이를 선출하는 선거과정에서도 오염된 정보의 유통은 유권자로 하여금 잘못된 선택을 하도록 유도하고는 한다.

다행히 근대 자본제 사회에는 이러한 잘못된 정보의 유통을 차단할 수 있는 기제가 존재한다. <지록위마의 시대 2>의 제8장에서는 이에 대해 하이에크의 이론을 예로 들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인간이 정보를 온전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거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사회적 신뢰가 존재해야 하고, 그러한 사회적 신뢰에 기초하여 정보가 '투명'하고 '공개적'으로 "유통"되는 시장경제가 존재해야 비로소 효율적인 자원분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유통되는 정보값은 "...
혁명읽는사람
혁명읽는사람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https://contents.premium.naver.com/historia9110/historia91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35
팔로워 820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