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차: SF 장르 및 소재 결정하기.

윤여경 · SF스토리텔러
2024/04/04

 단편, 중편, 장편을 분류하는 원고 길이 및 인물의 수와 플롯의 차이
   
단편은 A4용지 11매 정도, 중편은 20매 정도 장편은 60매 이상이다. 여러 공모전에서 경장편이라고 불리는 200자 원고지 500가 바로 A4 용지 60매 정도이다. 

매수의 차이는 형식의 차이를 가져온다. 기본기 훈련을 위해서 각 매수 별 인기 형식의 차이를 배워본다. (항상 예외는 있다. 예를 들어 영미권 작가들 아서 C. 클락 같은 유명 과학소설 작가는 단편의 형식에서도 방대한 시간적 공간적 플롯을 구사한다) 

하지만 단편의 호흡에서는 하루에서 7일차의 짧은 시간과 공간적 플롯. 그리고 단촐한 인물 구성을 선호한다. 
중편에서는 메인 플롯이 2개 정도이고 인물 구성도 조금 복잡해진다. 

장편은 쉬어가는 장면도 있을 정도로 복잡다단한 세계관이 있을 수 있지만 경장편의 경우 단편의 플롯에서 조금 더 진행된 구조들도 유리하다. 
   
1) 줄거리 쓰기
10줄 정도의 줄거리를 써보면 내 작품이 단편용인지 장편용인지 보통 답이 나온다. 
줄거리를 쓰는 이유는 과학 메커니즘이 몇 개인지, 인물이 몇 명인지 메시지가 명확하지 알기 위해서다. 
   
픽사의 글쓰기 법칙을 가져온다.

옛날옛적에
매일매일
그러던 어느날
그래서
그래서
그래서(점진적 갈등 고조 및 반전)
마침내
그날 이후
이 구조로 줄거리를 만든 뒤, 소설 본문을 쓸때는 보통 그러던 어느날부터 시작한다.
인물이 2명 이상이고 플롯이 많으면 장편으로 간다. 
단편에서 과학 메커니즘(시간여행, 평행 우주 등)은 하나로 정리한다. 두 개 이상 넣으면 소재 장악 면에서 힘들 수 있다.
중편 이상에서 과학 메커니즘을 두 개 이상 넣으면 더 어울린다. 

AI 활용 방법: 직접 쓴 줄거리를 AI에게 넣어서 다듬어본다. 줄거리를 쓴다는 것은 소설을 쓰는 것과 다른 재능이다.

2) 로그라인 만들기 ->서브 장르 찾기 
한 줄로 이 소설을 설명해보라. 

AI 활용 방법: 직접 쓴 줄거리를 AI에게 넣어서 로그라인을 만들게 해본다.
   
아바타: 
1) 아바타를 정복하러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지난 4년 동안 30여 명의 일반인들(소설가 지망생 및 과학자, 북한이탈주민)을 출판 데뷔 기획했다. 이들 중 많은 데뷔 작품이 문학상 수상이나 문화유공자, 문학나눔 선정으로 연결되었다. 문화기획자이자 비영리 문학단체 퓨쳐리안 대표, SF 스토리텔러. 2017년 「세 개의 시간」으로 제3회 한낙원과학소설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 제6회 CISFC 과학소설 국제교류 공로 훈장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소설집 『응급실 로봇 닥터』, SF 앤솔러지 『우리가 먼저 가볼게요』 『우주의 집』 『끝내 비명은』 『매니페스토』, 장르 창작법 앤솔러지 『장르의 장르』, 장편소설 『내 첫사랑은 가상 아이돌』 등이 있고 한중일 아시아 설화 SF 프로젝트 『일곱 번째 달 일곱 번째 밤』을 기획했다.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에 관심이 있어서 작가 양성에 뜻을 두고 있다. 최근작 : <응급실 로봇 닥터>,<매니페스토 Manifesto>,<내 첫사랑은 가상 아이돌> … 총 19종
6
팔로워 27
팔로잉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