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도생의 시대에서 빈곤 청소년을 바라보다 -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박성우 · 나름대로 읽고 나름대로 씁니다
2024/01/08

[20240106] 강지나,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돌베개, 2023.

각자도생의 시대라는 말이 너무나 당연시되는 시절이다. 다들 자기 먹고 살기에 바쁘고 남에게 신경 쓸 겨를이 없다고 말한다. 나도 다르지 않다. 가끔 의식화의 발로인지 타인을 향한 연대와 연민이 어줍잖게 섞인 생각이 들곤 하지만 결국에는 '내 코가 석 자'라는 자기연민에 그런 생각은 곧바로 흩어진다.     

이런 시대에 빈곤은 더욱 고독함과 외로움의 둥지가 된다. 수십 년 전, 모두가 빈곤했던 시절의 동지의식은 경제성장과 함께 사라졌다. '우리'와 달리 성장하지 못한 이들을 향한 '빈곤은 너의 책임, 너의 탓'이라는 차가운 눈초리만 횡행한다. 그리고 그 냉랭한 시선은 어른을 넘어 아이에게도 공평하다. 아니, 어찌 보면 더 가혹하다.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에는 8명의 청(소)년이 등장한다. 이 중에는 저자가 만날 당시 청소년이었던 인물도 있고 저자가 10년 넘게 청소년부터 서른에 이르기까지 지켜본 인물도 있다.    
  
중학교 때의 방황을 멈추고 검정고시를 통과해 대학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졸업한 소희는 여전히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우울감에 시달린다.      

등록금과 생활비 마련에 알바를 전전하며 학업도 병행하는 영성은 자신에게 손을 벌리는 가족들을 미워하면서도 좋은 아빠를 꿈꾸며 지금처럼 열심히 노력해 행복한 가정을 꾸릴 수 있길 바란다.   
    
저자가 "가난한 가정의 청소년에 대해 연구하고 책을 쓰기 위해 인터뷰를 해온 10여 년의 기간 동안 가장 많은 영감과 영향을 준 사람(92쪽)"이라고 할 정도로 기구한 빈곤의 삶을 적극적으로 극본한 지현은 빈곤에 대한 여러 편견에도 자신의 상황을 현실적으로 인정하고 이를 장점이자 기회로 삼으려 긍정적으로 사고했고 결국 결혼해 자신만의 가정을 꾸렸다.      

자신에게 무관심하고 자신을 방치하는 가정환경 속에서 연우는 다행히도 진학한 특성화고등...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