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과영화들 ㅣ 김민희는 한국적이다
2023/11/14
피천득의 수필 << 인연 >> 을 흉내 내자면 박찬욱과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구로자와 아키라 감독이 연출한 << 숨은 요새의 세 악인, 1958 >> 이라는 영화는 앞좌석에 앉은 관객 머리가 커서 영화 보는 내내 방해가 되었는데, 알고 봤더니 박찬욱 감독이더라. 그와는 세 번 모두 낙원동 아트 시네마에서 만났다. 첫 번째는 구로자와 아키라 감독의 << 거미의 성, 1957 >> 상영관에서, 두 번째는 스즈키 세이준의 << 관동무숙, 1963 >> 상영관에서 그와 우연히 마주쳤다.
공교롭게도 세 번 모두 일본 영화 특별전'에서 만난 꼴이다. 영화 << 아가씨 >> 에서 낭독회의 무대가 되는 장면 중에 미닫이문이 열리면 늦은 밤 함박눈이 내리는 풍경이 인서트(insert) 효과처럼 와닿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이 장면은 << 관동무숙 >> 에서 아이디어를 구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관동무숙에도 그와 비슷한 장면이 나온다. 적산가옥(敵産家屋)과 눈이 내리는 풍경은 묘하게 잘 어울린다. 신기하게도 그렇다. 일본 주거 문화 양식에 대한 호감은 전작 << 박쥐, 2009 >> 에서도 엿볼 수 있다.
영화에서 배우 김해숙이 운영하는 한복집이 바로 적산가옥이다. 에밀 졸라의 원작(프랑스적-)에서 힌트를 얻어 제작된 이 영화는 적산가옥(일본적-) 에 딸린 한복집(한국적-)을 운영하는 가족을 중심으로 사건이 진행되는데, 그들은 이곳에서 마작(중국적-)을 하며 보드카(러시아적-)를 마시며 논다(여기에 덧대어 모히또 가서 몰디브 한 잔 하면 영락없이 박근혜식 범우주적 취향이 될 뻔했다). 이 정도면 박찬욱의 영화 양식은 다국적, 무국적, 탈국적 취향인 셈이다. 혼용의 미학, 더 나아가 ...
@홈런볼 충무로에 떠도는 진리 중 하나는 감독하려면 집이 잘 살아야 한다는 말이죠. 봉준호, 박찬욱 집안이 다 잘사는 집안이죠. 류승완 감독 같은 경우는 예외이지만. 하여튼 홍상수 감독 집안이 진짜 빵빵한 집안입니다. 갑부죠. 욕을 하려면 적어도 피프티프피티해야 하는데 거의 대부분은 김민희 쌍년 프레임이에요. 이건 아니죠. ㅋㅋㅋㅋ
그러고보니 헤어질결심도 그렇네요. 미술이 일본느낌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서래는 독립운동한 조선인 외조부를 둔 중국인이었고요....
김민희가 욕먹는 이유는 홍상수 감독이 아픈 시어머니를 모셔온 와이프를 버렸기 때문이라는 그 서사가... 심정은 이해가 가지만서도... 욕하려면 홍상수를 욕하......는 걸 떠나서 사실 개인사인데 너무 욕먹는 거 같아요 ㅋㅋㅋ
@홈런볼 충무로에 떠도는 진리 중 하나는 감독하려면 집이 잘 살아야 한다는 말이죠. 봉준호, 박찬욱 집안이 다 잘사는 집안이죠. 류승완 감독 같은 경우는 예외이지만. 하여튼 홍상수 감독 집안이 진짜 빵빵한 집안입니다. 갑부죠. 욕을 하려면 적어도 피프티프피티해야 하는데 거의 대부분은 김민희 쌍년 프레임이에요. 이건 아니죠.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