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이후 우리가 마주칠 경제위기는 어떠한 형태의 위기일까?

김선태
김선태 인증된 계정 · 경제 금융시장 분석, K-이코노미스트
2023/01/12
  코로나 팬데믹 이후 2021~22년간 심각한 물가 폭등을 겪었고 전례가 없을 정도의 자산버블(부동산 가격 급등)을 경험한 한국경제가 2023년 이후에는 어떠한 형태로 굴러 갈까요? 대부분의 이코노미스트와 경제 석학들, 그리고 정책 당국자들은 한결같이 심각한 경기침체와 위기가 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이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떠한 형태로 위기가 진행될까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고 다른 목소리들이 분출하고 있습니다. 위기의 형태에 따라 우리가 살아가고 일하는 방식이 달라져야 하는 엄정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신(god)이 아닌 이상 위기가 어떠한 형태로 전개될지 어떻게 알겠습니까? 지난해 말 JTBC에서 방영되었던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에서는 위기를 예단하고 투자에 성공하는 모습을 그리기도 했었는데요, 그건 드라마나 만화니까 또한 재벌이었으니까 가능했던 것이라는 생각이 일단 듭니다.
 
  그렇다고 해서 넋놓고 있을 수만은 없겠죠? 저는 이코노미스트로서 우리가 과거에 경험했던 위기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위기에 대해 대처하는 방법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조금의 실마리라도 제공했으면 해서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작지만 중요한 실마리를 발견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찾아가는 방식은 모두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 몫입니다.
 
  그럼 먼저 80년부터 시작해서 우리와 관련 있는 경제에 어떠한 위기들이 있었는지 큼지막한 것들만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논의를 위해서 성장률, 물가, 국가부채, 경상수지,...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연구소, 증권 및 은행 리서치 파트에서 30년 가까이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 분석 업무를 수행하였다. 지금 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테크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시장(주가, 금리, 환율) 예측’에 관련된 글과 이와 연관된 ‘금융시장 뒷 얘기’도 쓰고자 한다.
141
팔로워 148
팔로잉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