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한 연결의 힘 -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의 이야기들

몬스
몬스 ·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합니다.
2022/10/20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소셜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상호작용의 강도에 따라 강한 연결과 약한 연결을 구분하곤 합니다. 강한 연결에는 늘 만나는 가족, 친구와 같은 사람들과의 연결, 약한 연결에는 드문드문 만나는 지인, 공통의 지인이 없는 지인, 한 다리 건너 아는 지인과 같은 연결이 포함됩니다. 이를 굳이 구분하려는 동기는 각각의 역할이 다르다는 아이디어에서 비롯하였는데요. 강한 연결은 밀도 높게 연결되어 서로를 지지해주는 연대의 역할을, 약한 연결은 새로운 정보를 가져다 주며 삶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역할을 한다는 아이디어였습니다.

정성적으로만 인식해오던 약한 연결의 힘은 사회학자 Mark Granovetter(마크 그래노베터)가 1973년 발표한 논문 'The strength of weak ties'(약한 연결의 힘) 을 통해 본격적인 연구대상으로 자리잡기 시작합니다. 이 논문은 특히 사람들이 어떤 경로로 새로운 직장을 알게 되었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로 유명한데요. 응답자의 27.8%가 약한 연결, 55.6%가 중간 세기의 연결, 16.7%가 강한 연결을 통해 직장을 구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강한 연결은 일주일에 적어도 두 번은 만나는 사이, 중간 세기의 연결은 일년에 두 번 이상은 만나는 사이, 약한 연결은 일년에 한번 이하로 만나는 사이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일년에 한번 볼까 말까한 사람이 도움이 될 수 있다니, 아니 아쩌면 매주 보는 사람들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다니.. 의외의 결과입니다.

이 결과는 사람들이 이루는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와 함께 보아야 더 명료해집니다. 사람들은 강한 연결로 무리지어 삽니다. 가족 단위로, 친구 단위로, 취미 단위로 강하게 뭉쳐서 일상을 소비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세상을 좁게 살 수 있는 비결, 즉 지구촌이 몇 다리만 건너면 아는 사이가 될 수 있는 비결은 약한 연결에 있습니다. 집단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약한 연결들. 일상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필요할 때 혹은 우연히 이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복잡계 과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 주로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덕질 하고 있습니다.
659
팔로워 1.2K
팔로잉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