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선거구제 (2) 선거제 개혁은 거들 뿐?

애증의 정치클럽
애증의 정치클럽 인증된 계정 · 지친 당신을 위한 품위있는 정치이야기
2023/01/17
중대선거구제가 우리 정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중대선거구제가 (남은 시간 안에)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중대선거구제 외의 다른 선택지는 없는지 질문하다 보면 우리 정치의 변화가 선거제 개혁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정치의 변화는 결국 대통령제를 포함한 한국 정치의 전체 시스템의 변화를 요구할 수 밖에 없다. 세 가지 질문을 통해 살펴보자.

지난 글 중대선거구제 (1) 중대선거구제, 기초부터 심화까지

1. 중대선거구제는 실현 가능한가?

중대선거구제 시행의 열쇠를 쥐고 있는 거대 양당 의원들은 중대선거구제에 동의할 수 있을까? 민주당은 호남, 국민의힘은 영남에서 의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고, 잘 알려진 것처럼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게 되면 양당의 지역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 정치권에서 중대선거구제 도입 필요성이 계속 제기돼왔지만 아직까지 진행되지 않은 것도 그래서다. 당장 지난해 10월 민주당 이상민 의원을 중심으로 여야 의원들이 함께 현행 의원 구성을 지역구 127명, 권역별 비례대표 127명, 전국비례대표 46명으로 개편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윤 대통령이 중대선거구제를 언급하기 전까지는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다.

중대선거구제 실시를 포함한 정치개혁법안을 발의한 이상민 의원 ⓒ닷페이스


대통령이 시동을 걸고 김진표 국회의장 역시 선거제 개혁을 외치고 있지만 정치권 내의 반응은 엇갈린다. 중대선거구제에 호응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원로 정치인들이나 신예, 소장파 정치인들로, 현재로서는 당 주류가 동의한다고 보긴 어렵다. 여당에서 친윤계로 분류되는 김기현 의원이나 권성동 의원은 ‘의견을 수렴해봐야 한다’며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고, 정진석 의원은 ‘일본에서 중대선거구제는 계파 정치를 강화하는 문제가 있었다’며 반대 의견을 밝혔다. 반면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은 찬성 의견을 표했다. 야당도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진 않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선거 제도의 장단점을 고려해야한다”며 “당내 의...
애증의 정치클럽
애증의 정치클럽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미우나 고우나 정치 이야기를 포기할 수 없는 사람들이 모여 정치 보는 힘을 기르는 곳, <애증의 정치클럽>입니다. 뉴스레터 구독: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91889
136
팔로워 634
팔로잉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