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가게에 갈까?> : 헬싱키 중고가게, 빈티지 상점, 벼룩시장에서 찾은 소비와 환경의 의미 by 박현선
2023/08/22
패스트패션이 기후 위기의 주범이라는 사실을 알고 나서부터 소비를 할 때마다 죄책감을 느낀다. 흰색 면 티셔츠 한 장을 만드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은 2700L이다. 이는 한 사람이 매일 2L씩 물을 섭취한다고 가정했을 때 무려 3년간 마실 식수와 맞먹는다. 청바지 한 벌 당 탄소 배출량은 33kg으로, 자동차를 타고 111km를 이동했을 때 배출되는 탄소의 양과 동일하다. 그런데 의류 회사들은 옷이 환경을 심각하게 훼손한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1년에 40억 벌 이상의 청바지를 생산하고 있다. 기업이 이익 창출에 눈이 멀어 몸집 불리기에 여념이 없는 동안, 패션 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은 전 세계 항공사와 선박 회사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합친 것보다 많아졌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패션이 각광받고 있다. 버려지는 페트병이 옷으로 변신하는 것은 얼핏 보면 지구를 살리는 방법처럼 보인다. 정말 그럴까? 소비자들은 썩지도 않는 플라스틱을 입어서 바다를 청소한다는 자부심을 느끼겠지만 안타깝게도 착한 소비란 없다. 폐페트병으로 만든 옷이 친환경 아이템으로 홍보되면서 수요가 급증했고, 자연스럽게 폐페트병 가격이 치솟았다. 다시금 대량 생산과 무분별한 소비가 거대한 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악순환이 반복된 것이다.
너무도 당연한 얘기지만 자원은 무한하지 않다. 지구가 순수 증여를 거부한다면 응당 인간이 폭주를 멈춰야 한다. 의류 회사는 기존의 노동력 착취, 환경 파괴를 기반으로 돌아가던 대량 생산 방식을 버려야 하고, 소비자는 소비문화의 면면들을 되짚어봐야 한다. 핀란드의 중고 문화에 관심을 갖고 책을 쓰기 시작한 박현선 님은 중고 가게에서 발견한 환경과 소비의 의미를 재구성한다. 저자가 소개한 핀란드의 중고 가게는 '순환 경제'의 산증인이다. 오늘날 경제는 수취-제조-처분으로 이어지는 선형 경제 형태를 띠는 반면, 중고 가게는 '처분' 단계에서 수리나 재사용, 재활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
@선량한시민 명품 쪽은 잘 모르고 사본 적도 없어서 딱히 드릴 말씀이 없고요. (TMI지만 선물 받은 샤넬 지갑 딱 한 개 있는데 16년째 사용하고 있습니다.) 굳이 명품 아니어도 가방은 잘만 고르면 5년 이상 쓸 수 있는 제품들이 꽤 많아요. 중고로 구매해서 6년 이상 입고 있는 원피스랑 셔츠도 있고요. 본문에도 써놨지만 저렴하다고 많이 사놓고 안 쓰거나 조금 쓰고 버리는 건 오히려 환경을 해치는 일이죠. 가전제품 같은 경우는 중고제품 2~3년 쓰고 버리는 것 보다 새제품 사서 최소 10년 이상 쓰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고요.
솔직히 중고 시장의 매력을 잘 모르시거나 이용해본 적 없는 분들한테는 뭐라고 말씀드려야 할 지 좀 애매해요. 직접 중고 시장에 가서 찬찬히 둘러보고 자신에게 딱 맞는 물건을 고르다 보면 각자 느끼는 바가 다를 테니까요. 그리고 중고시장과 생태주의를 따로 분리해서 보는 건 좀 어려울 것 같네요. 제가 중고시장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환경 문제 때문이라서요.
저는 새거가 더 좋은데요, 생태주의 이런거 다 떠나서 (극히 일부 빈티지/한정판 명품 제외하고) 중고가 소비자에게 더 좋은점 있나요? 다소 저렴하다는 점 제외하구요
@최성욱 독일 청소년들은 소비를 할 때 죄책감을 느낀다고 하더군요. 어릴 때부터 생태주의를 배우면서 성장했기 때문에 자신의 소비를 책임지는 문화가 자리 잡은 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새 것을 사려면 아예 좋은 걸 사서 평균 10년 이상 쓰거나 옷은 유행에 관계없이 언제 꺼내 입어도 좋을 디자인을 선호해요. 한 번 사면 보풀 일어날 때까지 입는 건 기본이고요.ㅎㅎ 필요한 물건이 있어도 중고시장에서 대체품을 찾을 수 있다면 적극 활용합니다. 뭐든 처음 시도하기가 낯설 뿐 조금씩 바뀌어 가면 또 적응돼요.!!
@악담 시커먼 바람막이 패션 이해 못했던 1인입니다. 산악인도 아니고 이게 뭔가? 했었어요. 저는 유행따라 옷을 사지 않고 유행에 상관없이 입을 수 있는 옷을 선호해서 확실히 과소비는 안하게 돼요.ㅎㅎ
아껴쓰다가 버릴 때 생기는 비용과 성가심도 만만치 않아요 라는 관점이 많아서 형편이 아주 어렵지 않으면 안 쓰려고 하는 경향이 있더군요. 저도 남이 쓰던 중고 세탁기 쓰다가 버리는데 솔직히 혼자서는 들지도 못해서 버리기 참 난감하더군요. 중고를 쓰는 문화를 만들려면 뭐라고 해야 하나 행정시스템이 받쳐줘야 할 것 같아요. 교육이나 사회분위기도 바꾸고....야, 어디서 부터 바꿔가야 할지 서민인 저로서는 감도 안 오네요. 중앙대 김누리 교수는 교육부터 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던데....일단은 저도 교육부터 한 걸음 이라는 느낌에 한표
유럽은 확실히 중고 거래 문화가 발달한 것 같아요,유행에 그닥 민감한 문화도 아니고...아, 저는 유행한다 싶으면 떼거지로 모두 다 비슷한 옷 입고 다니는 한국의 길거리를 보면 경악하게 됩니다. 왜 다들 비슷하게 입고 다니죠 ? 쪽팔리지 않나....
@최성욱 독일 청소년들은 소비를 할 때 죄책감을 느낀다고 하더군요. 어릴 때부터 생태주의를 배우면서 성장했기 때문에 자신의 소비를 책임지는 문화가 자리 잡은 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새 것을 사려면 아예 좋은 걸 사서 평균 10년 이상 쓰거나 옷은 유행에 관계없이 언제 꺼내 입어도 좋을 디자인을 선호해요. 한 번 사면 보풀 일어날 때까지 입는 건 기본이고요.ㅎㅎ 필요한 물건이 있어도 중고시장에서 대체품을 찾을 수 있다면 적극 활용합니다. 뭐든 처음 시도하기가 낯설 뿐 조금씩 바뀌어 가면 또 적응돼요.!!
유럽은 확실히 중고 거래 문화가 발달한 것 같아요,유행에 그닥 민감한 문화도 아니고...아, 저는 유행한다 싶으면 떼거지로 모두 다 비슷한 옷 입고 다니는 한국의 길거리를 보면 경악하게 됩니다. 왜 다들 비슷하게 입고 다니죠 ? 쪽팔리지 않나....
@선량한시민 명품 쪽은 잘 모르고 사본 적도 없어서 딱히 드릴 말씀이 없고요. (TMI지만 선물 받은 샤넬 지갑 딱 한 개 있는데 16년째 사용하고 있습니다.) 굳이 명품 아니어도 가방은 잘만 고르면 5년 이상 쓸 수 있는 제품들이 꽤 많아요. 중고로 구매해서 6년 이상 입고 있는 원피스랑 셔츠도 있고요. 본문에도 써놨지만 저렴하다고 많이 사놓고 안 쓰거나 조금 쓰고 버리는 건 오히려 환경을 해치는 일이죠. 가전제품 같은 경우는 중고제품 2~3년 쓰고 버리는 것 보다 새제품 사서 최소 10년 이상 쓰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고요.
솔직히 중고 시장의 매력을 잘 모르시거나 이용해본 적 없는 분들한테는 뭐라고 말씀드려야 할 지 좀 애매해요. 직접 중고 시장에 가서 찬찬히 둘러보고 자신에게 딱 맞는 물건을 고르다 보면 각자 느끼는 바가 다를 테니까요. 그리고 중고시장과 생태주의를 따로 분리해서 보는 건 좀 어려울 것 같네요. 제가 중고시장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환경 문제 때문이라서요.
@악담 시커먼 바람막이 패션 이해 못했던 1인입니다. 산악인도 아니고 이게 뭔가? 했었어요. 저는 유행따라 옷을 사지 않고 유행에 상관없이 입을 수 있는 옷을 선호해서 확실히 과소비는 안하게 돼요.ㅎㅎ
아껴쓰다가 버릴 때 생기는 비용과 성가심도 만만치 않아요 라는 관점이 많아서 형편이 아주 어렵지 않으면 안 쓰려고 하는 경향이 있더군요. 저도 남이 쓰던 중고 세탁기 쓰다가 버리는데 솔직히 혼자서는 들지도 못해서 버리기 참 난감하더군요. 중고를 쓰는 문화를 만들려면 뭐라고 해야 하나 행정시스템이 받쳐줘야 할 것 같아요. 교육이나 사회분위기도 바꾸고....야, 어디서 부터 바꿔가야 할지 서민인 저로서는 감도 안 오네요. 중앙대 김누리 교수는 교육부터 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던데....일단은 저도 교육부터 한 걸음 이라는 느낌에 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