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중 나를 살린 4가지(아기의 웃음 이런 거 아님)
2023/12/05
아기가 7개월이 되었다. 사실 아기의 6개월 전까지 나는 꽤 만족스러운 육아 생활을 하고 있었다. 오만하게 '아니 이 정도면 한 명 더 낳아도 될 것 같은데?'라는 생각을 벌써 하고 있던 참이었다. 둘째 이야기를 하면 육아 선배들은 '아기가 2살 정도 됐을 때 그때 결정해도 늦지 않으니 천천히 결정해 봐^^(그때는 이 웃음의 의미를 몰랐다)'라고 말했다.
당연히 힘들지 않고 즐겁기만 했다는 건 아니다. 그저 내가 생각한 것보다 아기가 순한 체질이었고, 나는 너무나 뼛속까지 집순이여서 출퇴근을 안 하고 집에 있다는 것 자체가 즐거웠다. 휴직한 시점이 일에 대한 권태기가 심했던 때라, 일에 대한 미련도 크지 않았다. 그래서 생각보다 즐거운 육아 생활이라고 여겼다.
정말 힘들었던 때도 있었다. 아기가 30일 정도 됐을 때 정말 달래 지지 않아서 한번 울었고, 7개월이 되려고 하는 며칠 전 한 번 또 울었다. 아기가 아무리 순한 체질이라고 해도 육아의 힘듦은 정기적으로 찾아왔다.
육아를 하면서 눈물 쏙 빠지게 힘들 때, 그래도 나를 살린 몇 가지 요소가 있어 써보려고 한다. '아기의 웃음을 보면 피로가 싹 날아가더라' 이런 이야기는 아니니 안심해도 된다.
1. 육아휴직 급여와 부모수당 등등
사실 나는 뉴스에서 '육아 휴직 급여를 얼마 올립니다', '아기 낳으면 ~를 줍니다'라는 소식이 들릴 때, 댓글에 굉장히 많이 달리는 '아니, 돈 달라는 게 아니라니까요?', '돈 준다고 아기 더 낳습니까?'라는 대다수의 반응에 그다지 공감하지 못하는 속물이다. 네, 전 돈 주는 게 좋아요.
물론 돈만 준다고 아기를 낳을 생각이란 건 당연히 아니다. 저런 반응이 나오는 이유도 당연히 알고 있다. 임신과 출산 때 휴직을 눈치 안 보고 쓸 수 있는 기업 문화, 노동시간 자체를 줄이기, 재택근무 확대, 사교육 등 경쟁적이지 않은 사회 문화, 아빠들도 휴직을 내고 아기를 돌볼 수 있는 문화, 아기에게 친화적인 사회 등 당연히 우리 사회에 변화되어야 할 것이 많은 것은 이미 알고 있...
잘 읽었어요 ^^
잘 읽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