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가 남자를 없애는 방법: <나비효과>와 <유전>

윤지슬
윤지슬 · 콘텐츠를 다루고 만듭니다
2023/06/10
  아리 에스터의 영화에선 남자들이 불타 죽는다. 화려한 데뷔작 <유전>에서도 그랬고, <미드소마>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인지 어떤 이들은 아리 에스터를 정상 가족과 남성성에 대해 적개심을 가진 인물로 읽어내는 듯하다. 그런데 아리 에스터는 정말 남성을 싫어하는 것일까? 우선 그의 영화에 등장하는 여성들을 살펴보자. <유전>과 <미드소마>에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고 극도로 예민해 주변을 파괴하는 전형적인 공포물 속 여성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두 영화 모두 이해할 수 없고 기괴한 행위를 하는 주체는 거의 여성이다. 반면 남성들은 이러한 여성과 친밀한 관계로서 그들을 이해하는 데 지친 모습을 보여준다. 그 결과로 그들은 결국 불타 죽는 결말을 맞지만, 그때 관객이 느끼는 감정은 피해자로서의 남성에 대한 연민이다. 이런 묘사는 <유전>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감독이 그려내고 관객이 읽어내는 등장인물 캐릭터 중 유일하게 ‘정상’이고 호감이 가는 자는 주인공과 모계 혈통을 공유하지 않는 남편뿐이다. 그리고 <유전> 속 가족은 모두가 비극적 결말을 맞는데, 적지 않은 관객이 ‘이상한 집안사람과 결혼해 인생을 망친 멀쩡한 남편이 제일 불쌍하다.’는 평을 남기는 것이 인상 깊다. 엄밀히 따지자면 그는 유일하게 그 사태의 일원이 되는 길을 ‘선택’할 수 있었던 사람이고 다른 인물들은 본인의 의도와 무관한 ‘유전’의 희생양이 된 셈인데도. 또한 아리 에스터의 영화에서 남성들 역시 불에 타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죽지만, 감독은 잔혹한 죽음의 참상을 오래도록 적나라하게 비추는 대상으로 여성 인물들을 고른다. <유전>에서 가장 수위가 높은 폭력을 보여주는 장면은 여성 아동의 머리가 잘리고 거기 파리가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일상을 살아가는 법을 연습하고 있습니다.
49
팔로워 15
팔로잉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