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뇌와 초자연적 세계
2024/06/21
마치 영화 필름 위에 놓인 수많은 정지 화면들이 빛을 받아 스크린 위에서 생생한 움직임으로 재현되듯, 뇌 속에 흩어진 정보의 조각들은 뇌의 창조적 통합 과정을 거쳐 우리가 인식하는 현실로 구현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영화감독의 연출이 개입하듯, 우리의 기대, 경험, 믿음 등이 현실의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 결과 우리 각자가 경험하는 현실은 어느 정도 주관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분리뇌(split-brain) 실험과 같은 신경과학 연구들은 우리가 인식하는 현실이 얼마나 뇌의 구성물에 가까운지를 보여줍니다. 객관적 현실은 우리 뇌라는 영사기를 통해 투사되는 순간, 주관적 해석과 창조적 편집을 거치게 되는 것이죠.
분리뇌 실험
분리뇌 실험은 1960년대에 로저 스페리와 그의 동료들, 특히 제자인 마이클 가자니가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들은 간질 치료를 위해 뇌량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뇌량은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신경 다발입니다.
분리뇌 실험은 좌뇌와 오른쪽 시야, 우뇌와 왼쪽 시야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피험자의 시야를 분리하고 각각 다른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양 뇌의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게 분리하면 좌뇌와 우뇌가 각각 별개의 의식처럼 작동합니다.
종교(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모색하는 공부인입니다. 종교보다 종교적 인간, 종교문화, 미신 등 인간의 종교적 특성을 볼 수 있는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비종교 현상에서 종교적 특성을 읽어내기를 좋아합니다.
@steinsein 그렇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 드립니다. 또 하나 알아갑니다.
@천세곡 네 그럴 것 같습니다. 다만 '오류(error)'로서보다는 '부수 효과(side-effect)'로 보는 게 더 적절하지 않나 싶습니다. 우리의 인지 체계의 오작동 결과이기보다는 '과잉 작동'의 결과로 보입니다. 그리고 그 '과잉 작동'은 인지 시스템의 정상 작동 범위 내에서 벌어지는 일로 보입니다.
@몬스 그렇게 생각해 볼 수도 있군요. 정말 비슷한 구석이 있는 것 같네요^^
정신 승리 하는 오류를 범하는 것도 분리뇌를 통해 설명할 수도 있겠네요.
흥미롭습니다.
분리뇌 실험에서 좌뇌가 설명하려 애쓰는 모습이 생성형 AI의 거짓설명과 오버랩되네요ㅎㅎ
정신 승리 하는 오류를 범하는 것도 분리뇌를 통해 설명할 수도 있겠네요.
흥미롭습니다.
분리뇌 실험에서 좌뇌가 설명하려 애쓰는 모습이 생성형 AI의 거짓설명과 오버랩되네요ㅎㅎ
@steinsein 그렇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 드립니다. 또 하나 알아갑니다.
@천세곡 네 그럴 것 같습니다. 다만 '오류(error)'로서보다는 '부수 효과(side-effect)'로 보는 게 더 적절하지 않나 싶습니다. 우리의 인지 체계의 오작동 결과이기보다는 '과잉 작동'의 결과로 보입니다. 그리고 그 '과잉 작동'은 인지 시스템의 정상 작동 범위 내에서 벌어지는 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