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02
대단히 흥미로운 문제제기. 위에 공유한 글이 왜 흥미로운지 말하기 위해 약간 먼 길을 돌아가보자.
1.
'주권의 단위' 문제를 생각해보자. 한국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거구별 인구비율이 2:1을 넘어가면 위헌이다. 주권자 한 명의 표의 가치가 다른 주권자의 두 배를 넘으면 위헌이란 취지다. 2014년 헌재 결정이다.
얼핏 당연한 얘기 같지만, 이게 따져보면 간단치가 않다. 주권자의 표의 가치가 차이가 나는게 부당하다는 논리라면, 두 배 차이는 왜 괜찮은가? 아예 전국단위로 투표하고 득표율대로 정당에 의석으로 배분하면 주권자의 표의 가치는 (거의) 완전히 동등해지지 않는가? 헌재가 내놓은 2:1이라는 숫자는 그래서 재미있다.
2:1은 주권자 한 명의 표의 가치를 말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괄호 치고 써놓은 주권의 단위가 하나 더 있다. (지역대표성). <-- 요렇게 써 있다. 지역구 별로 선출을 하려면 표의 가치를 사람 수대로 동등하게 맞출 수가 없고, 역사적 문화적으로 형성된 생활권을 완전히 무시하고 인구기준으로 지역구를 딱딱 자를 수도 없다. 지역을 주권의 보조적 단위로 보아야만 헌재의 2:1 논리가 성립한다.
2.
주권의 단위란 대체 무엇인가. 물론 주권은 인민에게 있고, 모든 성인은 주권의 관점에서 동등하다. 이게 근대 민주정의 대원칙이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단위란, 일종의 계량컵이다. 동등한 주권자인 성인을 어떤 계량컵에 담느냐에 따라 주권이 작동하는 방식이 꽤 달라진다.
대부분 민주국가는 지역을 계량컵으로 활용...
1.
'주권의 단위' 문제를 생각해보자. 한국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거구별 인구비율이 2:1을 넘어가면 위헌이다. 주권자 한 명의 표의 가치가 다른 주권자의 두 배를 넘으면 위헌이란 취지다. 2014년 헌재 결정이다.
얼핏 당연한 얘기 같지만, 이게 따져보면 간단치가 않다. 주권자의 표의 가치가 차이가 나는게 부당하다는 논리라면, 두 배 차이는 왜 괜찮은가? 아예 전국단위로 투표하고 득표율대로 정당에 의석으로 배분하면 주권자의 표의 가치는 (거의) 완전히 동등해지지 않는가? 헌재가 내놓은 2:1이라는 숫자는 그래서 재미있다.
2:1은 주권자 한 명의 표의 가치를 말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괄호 치고 써놓은 주권의 단위가 하나 더 있다. (지역대표성). <-- 요렇게 써 있다. 지역구 별로 선출을 하려면 표의 가치를 사람 수대로 동등하게 맞출 수가 없고, 역사적 문화적으로 형성된 생활권을 완전히 무시하고 인구기준으로 지역구를 딱딱 자를 수도 없다. 지역을 주권의 보조적 단위로 보아야만 헌재의 2:1 논리가 성립한다.
2.
주권의 단위란 대체 무엇인가. 물론 주권은 인민에게 있고, 모든 성인은 주권의 관점에서 동등하다. 이게 근대 민주정의 대원칙이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단위란, 일종의 계량컵이다. 동등한 주권자인 성인을 어떤 계량컵에 담느냐에 따라 주권이 작동하는 방식이 꽤 달라진다.
대부분 민주국가는 지역을 계량컵으로 활용...
천관율 님, 지금 쓰신 이 글을 혹시 스마트폰에서 모바일로 보셨는지요? 첫 줄이나 중간 부분에 글자들이 (어절과 어절 사이가) 벌어지는 부분이 있고 불균형하게 배열되는데. 저만 그렇게 보이는지..... 글을 쓰다 보니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 단어들이 정렬이 잘 안 되는 느낌이 드네요.
천관율 / 1, 3에 관하여. '답글'에 대해서는 '다시 공유하기'가 안 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원글'에 대해서는 가볍게 '댓글'을 남길 수가 없다는 점에서, '원글'의 '답글' 목록에 천관율 님의 이 글 ('공유하여 글쓰기'라고 하시면서 평서문으로 쓰신 이 글)이 '답글' 목록으로 표시된다는 점에서, 마지막으로 내가 남긴 '댓글'을 모아서 볼 수 있는 페이지가 없다는 점에서, 현재의 UI 가 약간은 직관을 해치는 점이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2에 관하여. 에디터의 글이 얼룩커픽 대상인가, 아니라면 그것이 부당노동행위인가, 그걸 무시하는 '회사'의 의사결정 구조는 '얼룩소'라는 공론장이 지향하는 '의사결정 구조'와 얼마나 맞닿아 있는가, 여러 가지 생각이 듭니다. (사실 에디터의 글이 '얼룩커 픽'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천관율 '에디터'님의 댓글을 읽고 나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흥미로운 답글에 이어 흥미로운 댓글 감사합니다. 생각이 뻗어나가는데, 아무래도 원글/답글의 주제에서 많이 벗어났으니 나머지 이야기는 다른 글에서 뵙겠습니다.
참, 저는 천관율 님이 남겨주신 '댓글'을 읽기 위해, 이런 흐름으로 움직입니다. 먼저, 구독중인 김재경님의 게시물 목록을 보러 갑니다. 거기서 김재경님이 쓴 원글을 누릅니다. 그리고 거기서 천관율님의 '답글'을 찾습니다. 그리고 '최신순'으로 댓글 정렬 방식을 바꿉니다. 거기엔 새 댓글이 있을수도 있고, 없을수도 있겠지요.
사족. 그리고 문단 구분을 좀더 드러내기 위해 일부러 '엔터 키를 두 번' 입력한 것이 '엔터 키'를 한 번만 누른 것처럼 바뀌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김재경 님의 댓글에서는 이 문제를 넘어서기 위해 '.' 문자를 넣고 계신 것을 확인했습니다. 저도 오랜만에 ' '(U+3000 문자)를 꺼내들게 되네요.
장영실 / 얼룩소의 모든 기능은 개선 대상이라는 걸 전제로 말씀드리면,
1) 답글 기능은 페북으로 치면 공유와 댓글의 속성을 다 갖도록 구성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답글을 댓글로 사용하고 계셔서, '공유하여 글쓰기'로는 이렇게도 작동한다는, 일종의 샘플입니다. 답글을 쓰실 때, 원글쓴이와의 대화가 주목적이라면 존댓말을 사용해주세요. 다른 이용자들과도 소통하는 '공유하여 글쓰기'가 주목적이라면, 존댓말 평서문 둘 다 가능할것 같습니다.
2) 에디터의 글은 얼룩커픽 대상이 아닙니다. 부당노동행위라고 강력하게 항의했으나 회사가 무시했습니다(...)
3) 현재는 원글 - 답글 - 댓글 구조로 토론이 진행됩니다. 이용자들이 가장 쾌적하게 쓸 수 있는 구조가 무엇일지 저희도 계속 살펴보고 있습니다.
대단히 흥미로운 답글을 읽으며 두 가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1] 우리는 얼룩소에 글을 쓸 때 굳이 존댓말을 쓸 필요가 없는 걸까?
[2] alookso 에디터들의 글은 얼룩커 픽으로 선정되고 1만원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
이제 보니, '원글'에는 '답글'을 쓸 수 있고 '답글' 에는 댓글을 쓸 수 있네요. 그런데 댓글에 또 댓글을 다는 건 조금 어려워 보이고, '인기 글' 순으로 댓글이 정렬되어 있을 때는 더더욱 '댓글'을 이용한 상호작용을 알아보기가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네요.
김재경 / 저는 사실 세대간 균열보다는 세대내 균열이 '아직까지는'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아직까지는'이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미래의 인구구조에서 살아봐야 감이 오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때가 되면 시니어들이 세대별 권력분점에 동의할 리가 없죠(...)
어우.. 상당히 흥미롭고 유익하게, 근거 자료도 많이 가져와서 코멘트 남겨주셨네요. 생각해보면 1표의 가치를 선거제도로 조정하는 것은 결국 선거제도 하의 개인의 주권을 계량화하는게 되겠네요. 이미지화도 더 잘 되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리고 저 역시, 미래의 아젠다들의 경우 연령의 경계가 느슨해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여기 얼룩소에서 '기술발전에 따라 일자리가 증가할까?감소할까?' 주제의 논의에서도 제기되었듯이, 육체노동의 비중/가치가 감소하더라도 기술적응력에서 젋은 세대가 고연령 세대를 부양해야 하는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 세대는 꽤 오래 중요한 변수로 남을 것이라고 보고 문제제기 하였습니다. 메타버스에 가상현실이 특이점을 뚫어서 '레디 플레이어 원'정도로 세상이 바뀌면 또 모르겠지만요 ㅎ
어우.. 상당히 흥미롭고 유익하게, 근거 자료도 많이 가져와서 코멘트 남겨주셨네요. 생각해보면 1표의 가치를 선거제도로 조정하는 것은 결국 선거제도 하의 개인의 주권을 계량화하는게 되겠네요. 이미지화도 더 잘 되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리고 저 역시, 미래의 아젠다들의 경우 연령의 경계가 느슨해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여기 얼룩소에서 '기술발전에 따라 일자리가 증가할까?감소할까?' 주제의 논의에서도 제기되었듯이, 육체노동의 비중/가치가 감소하더라도 기술적응력에서 젋은 세대가 고연령 세대를 부양해야 하는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 세대는 꽤 오래 중요한 변수로 남을 것이라고 보고 문제제기 하였습니다. 메타버스에 가상현실이 특이점을 뚫어서 '레디 플레이어 원'정도로 세상이 바뀌면 또 모르겠지만요 ㅎ
대단히 흥미로운 답글을 읽으며 두 가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1] 우리는 얼룩소에 글을 쓸 때 굳이 존댓말을 쓸 필요가 없는 걸까?
[2] alookso 에디터들의 글은 얼룩커 픽으로 선정되고 1만원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
이제 보니, '원글'에는 '답글'을 쓸 수 있고 '답글' 에는 댓글을 쓸 수 있네요. 그런데 댓글에 또 댓글을 다는 건 조금 어려워 보이고, '인기 글' 순으로 댓글이 정렬되어 있을 때는 더더욱 '댓글'을 이용한 상호작용을 알아보기가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네요.
천관율 / 1, 3에 관하여. '답글'에 대해서는 '다시 공유하기'가 안 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원글'에 대해서는 가볍게 '댓글'을 남길 수가 없다는 점에서, '원글'의 '답글' 목록에 천관율 님의 이 글 ('공유하여 글쓰기'라고 하시면서 평서문으로 쓰신 이 글)이 '답글' 목록으로 표시된다는 점에서, 마지막으로 내가 남긴 '댓글'을 모아서 볼 수 있는 페이지가 없다는 점에서, 현재의 UI 가 약간은 직관을 해치는 점이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2에 관하여. 에디터의 글이 얼룩커픽 대상인가, 아니라면 그것이 부당노동행위인가, 그걸 무시하는 '회사'의 의사결정 구조는 '얼룩소'라는 공론장이 지향하는 '의사결정 구조'와 얼마나 맞닿아 있는가, 여러 가지 생각이 듭니다. (사실 에디터의 글이 '얼룩커 픽'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천관율 '에디터'님의 댓글을 읽고 나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흥미로운 답글에 이어 흥미로운 댓글 감사합니다. 생각이 뻗어나가는데, 아무래도 원글/답글의 주제에서 많이 벗어났으니 나머지 이야기는 다른 글에서 뵙겠습니다.
참, 저는 천관율 님이 남겨주신 '댓글'을 읽기 위해, 이런 흐름으로 움직입니다. 먼저, 구독중인 김재경님의 게시물 목록을 보러 갑니다. 거기서 김재경님이 쓴 원글을 누릅니다. 그리고 거기서 천관율님의 '답글'을 찾습니다. 그리고 '최신순'으로 댓글 정렬 방식을 바꿉니다. 거기엔 새 댓글이 있을수도 있고, 없을수도 있겠지요.
사족. 그리고 문단 구분을 좀더 드러내기 위해 일부러 '엔터 키를 두 번' 입력한 것이 '엔터 키'를 한 번만 누른 것처럼 바뀌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김재경 님의 댓글에서는 이 문제를 넘어서기 위해 '.' 문자를 넣고 계신 것을 확인했습니다. 저도 오랜만에 ' '(U+3000 문자)를 꺼내들게 되네요.
장영실 / 얼룩소의 모든 기능은 개선 대상이라는 걸 전제로 말씀드리면,
1) 답글 기능은 페북으로 치면 공유와 댓글의 속성을 다 갖도록 구성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답글을 댓글로 사용하고 계셔서, '공유하여 글쓰기'로는 이렇게도 작동한다는, 일종의 샘플입니다. 답글을 쓰실 때, 원글쓴이와의 대화가 주목적이라면 존댓말을 사용해주세요. 다른 이용자들과도 소통하는 '공유하여 글쓰기'가 주목적이라면, 존댓말 평서문 둘 다 가능할것 같습니다.
2) 에디터의 글은 얼룩커픽 대상이 아닙니다. 부당노동행위라고 강력하게 항의했으나 회사가 무시했습니다(...)
3) 현재는 원글 - 답글 - 댓글 구조로 토론이 진행됩니다. 이용자들이 가장 쾌적하게 쓸 수 있는 구조가 무엇일지 저희도 계속 살펴보고 있습니다.
김재경 / 저는 사실 세대간 균열보다는 세대내 균열이 '아직까지는'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아직까지는'이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미래의 인구구조에서 살아봐야 감이 오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때가 되면 시니어들이 세대별 권력분점에 동의할 리가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