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연기'하는 손석구의 '가짜 연기'

하성태
하성태 인증된 계정 · 자유로운 pro 글쟁이
2023/07/17


@영화진흥위원회

2000년대 중후반, 2~3년에 걸쳐 한 배우를 연거푸 인터뷰했더랬다. 이 배우는 한 유명 극단에서만 12년가량 몸담았다. 스크린엔 간간이 단역으로 얼굴을 비췄었다. 그러다 2004년 인상적인 깡패 캐릭터로 주목을 받았고, 이후 주조연을 오가며 인지도를 쌓았다. 당시 그 배우가 극단 시절 선생님께 배운 연극 연기의 지론 중 하나는 이거였다.
 
"피카소는 게르니카를 그리면서 데생을 몇 천 장을 했다."
 
피카소가 데생을 더해가며 대작을 완성했다. 연극 연기도 다르지 않다고 했다. 대가로 인정받은 그 연출가는 극단 소속 배우들에게 매번 매회 무대마다 다른 연기를 요구했단다. 그렇게 대사를, 호흡을 바꿔갔다고 했다.
 
잘 나갈 때 조심해야 하고 또 관객에게 반응이 오는 부분마저도 고치고 또 바꿔야 한다는 게 그 연출가의 지론이었다. 무대마다 살아있는 연기, 현장성을 극한으로 밀어붙이는 방법론을 체득하고 무대마다 준비하고 변주해야 하는 배우들은 죽을 맛이었겠지. 물론 그 자체가 연극 연기가 주는 감동이자 관객들 반응을 현장에서 흡수하는 배우들에겐 희열로 다가올 수 있었을 것이고.
 
그런 시절이었다. 최민식, 송강호, 설경구가, 그리고 후배 황정민이 한국영화 르네상스를 열어가던 그 시기, 수많은 극단 출신 배우들이 스크린으로 수혈됐다. TV 공채 출신 연기자들이나 CF 출신 배우들의 지분이 점쳐 줄어드는 반면 무대에서 기량을 갈고 닦은 극단 출신 배우들이 대거 스크린과 브라운관에 입성했다. 그들의 강점은 단단한 발성으로 무장된 탄탄한 기본기였다.
 
'믿고 보는' 배우들이 늘어갔고, 한국영화와 드라마 전체가 풍성하고 다채로워졌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한국영화 속 배우들은 연극적인 발성을 급격히 줄여나갔다. 대신 일상의 언어를 자연스레 전달하는 연기가 각광 받았다. 2000년대 들어 한국영화에 있어 일종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그건 홍상수의 영화에서도,...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기고 작업 의뢰는 woodyh@hanmail.net으로 주세요. 전 FLIM2.0, 무비스트, 오마이뉴스, korean Cinema Today 기자, 영화 <재꽃> 시나리오, '4.3과 친구들 영화제' 기획
81
팔로워 141
팔로잉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