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훈 칼럼]“층간소음과 범죄철학” ([제보는Y] 층간소음 항의하자 '흉기 협박'...기소돼도 "악몽 여전")
2024/04/02
[칼럼 초록]
층간소음은 너무 골치 아프다. 사회가 나서야 해결될 수 있을지도 근본적으로 미지수다. 그러나 우리는 고찰해볼만한 사실이 있다.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노는 당연하되, 범죄는 당연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들의 사이를 분석해보자.
[기사 원문]
층간소음은 너무 골치 아프다. 사회가 나서야 해결될 수 있을지도 근본적으로 미지수다. 그러나 우리는 고찰해볼만한 사실이 있다.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노는 당연하되, 범죄는 당연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들의 사이를 분석해보자.
[기사 원문]
층간소음과 범죄에 대한 고찰
[기사 요약]
층간소음에 항의했다는 이유로 집 앞으로 찾아와 흉기를 들고, 욕설과 함께 현관문을 발로 차며 난동을 피운 40대 여성이 재판에 넘겨졌다. 층간소음을 항의했던 피해자는 여전히 소음에 시달리며 악몽 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분노와 폭력으로서의 존재
“인간의 행동은 타고난 인간본성과 각자 겪는 독특한 경험과 환경, 이 두 가지가 함께 낳는 결과물이다. 두 가지 모두가 우리의 ...
철학과 석사 수료, 철학 크리에이터.
“나는 몸이다.”
몸이란 무엇일까? 심장, 뇌, 사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나’이다. ‘나’는 내 앞에 주어져있는 삶을 그저 체험한다. 체험한 삶은 내게 의미가 된다. 나는 삶을 향해 열려있기에 L’être au monde이다.
@노영식 문학연구에 현상학적 비평이론을 접목시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불문학에 메를로퐁티가 기여한 바는 잘 모르겠으나 현상학을 취한다면 작품 인물과 배경 등에 대한 갈등과 전개 양상 등을 기술할 수 있다고봐요
마찬가지로 메를로퐁티가 뫼르소를 보고 제3자의 관점이 아니라 뫼르소라는 인물의, 상황-내-존재의 현상학적 주체 관점을 취해 마음과 행동과 상황에 왜 그런 인물이 되었는지 생각해볼만한 지점이 될 것 같습니다.
@박성훈 불문학자 김현 문학평론가가 메를로퐁티를 이야기하더군요. 현대 불문학과 메를로퐁티가 접점이 있는지 늘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노영식 음~ 까뮈의 화신이 뫼릐소니까,, 까뮈와 메를로퐁티의 대화라고 생각하면 재밌을것 같네요 ㅎㅎ
@박성훈 카뮈 이방인의 뫼르소에 대해서 메를로퐁티는 어떻게 볼지 궁금합니다. 바쁘시면 답을 안 하셔도 좋습니다.
@노영식 후설은 의식, 주관, 자아 체험에서 논했는데 '몸'은 의식이 세계를 인식 하는데 매개체로 쓰이나, 메를로퐁티는 의식하는 자아는 몸을 매개로가 아니라 사실상 몸이 곧 자아라는 개념의 차이를 불러옵니다.
후설이 보다 논리적, 수학적으로 단계별로 의미구성을 설명한다면 메를로퐁티는 동시적, 즉각적으로 보다 실존적입니다
@박성훈 메를로퐁티와 후설, 두 철학자 간의 현상학 분기점이 궁금합니다.
@노영식 메를로퐁티는 현상학자로 해당 현상이 몸을 가진 '나'에게 어떤 의미가 되는데에다가 집중 해볼 수 있어요. 층간소음을 체험한다는 것은 ,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나의 마음의 문제만을 말하지 않고 몸에 생기는 영향 또한 나의 문제이므로 그 현상은 사실이 되고 사실이 된 현상은 몸에 의해, 내 생애에 끼치는 실존적 문제의식이 된다 정도로 논할 수 있겠습니다
@박성훈 메를로퐁티는 층간소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면 어떻게 접근할지 궁금합니다.
@노영식 안녕하세요! 마이클 샌델 같은 경우를 공동체주의자라고 부르는데, 개인과 사회 모두의 가치를 논하겠으므로 3대규범윤리학의 면모들을 다 취합하는 것으로 해결할 방법을 말할 것 같아요. 본 글에서 언급한 건축사의 문제를 언급하든지, 개인과 개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사회의 제 문제를 공론화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마이클 샌델은 어떤 처방을 내고 있나요?
@노영식 문학연구에 현상학적 비평이론을 접목시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불문학에 메를로퐁티가 기여한 바는 잘 모르겠으나 현상학을 취한다면 작품 인물과 배경 등에 대한 갈등과 전개 양상 등을 기술할 수 있다고봐요
마찬가지로 메를로퐁티가 뫼르소를 보고 제3자의 관점이 아니라 뫼르소라는 인물의, 상황-내-존재의 현상학적 주체 관점을 취해 마음과 행동과 상황에 왜 그런 인물이 되었는지 생각해볼만한 지점이 될 것 같습니다.
@박성훈 불문학자 김현 문학평론가가 메를로퐁티를 이야기하더군요. 현대 불문학과 메를로퐁티가 접점이 있는지 늘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노영식 음~ 까뮈의 화신이 뫼릐소니까,, 까뮈와 메를로퐁티의 대화라고 생각하면 재밌을것 같네요 ㅎㅎ
@박성훈 카뮈 이방인의 뫼르소에 대해서 메를로퐁티는 어떻게 볼지 궁금합니다. 바쁘시면 답을 안 하셔도 좋습니다.
@노영식 후설은 의식, 주관, 자아 체험에서 논했는데 '몸'은 의식이 세계를 인식 하는데 매개체로 쓰이나, 메를로퐁티는 의식하는 자아는 몸을 매개로가 아니라 사실상 몸이 곧 자아라는 개념의 차이를 불러옵니다.
후설이 보다 논리적, 수학적으로 단계별로 의미구성을 설명한다면 메를로퐁티는 동시적, 즉각적으로 보다 실존적입니다
@박성훈 메를로퐁티와 후설, 두 철학자 간의 현상학 분기점이 궁금합니다.
@노영식 메를로퐁티는 현상학자로 해당 현상이 몸을 가진 '나'에게 어떤 의미가 되는데에다가 집중 해볼 수 있어요. 층간소음을 체험한다는 것은 ,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나의 마음의 문제만을 말하지 않고 몸에 생기는 영향 또한 나의 문제이므로 그 현상은 사실이 되고 사실이 된 현상은 몸에 의해, 내 생애에 끼치는 실존적 문제의식이 된다 정도로 논할 수 있겠습니다
@박성훈 메를로퐁티는 층간소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면 어떻게 접근할지 궁금합니다.
@노영식 안녕하세요! 마이클 샌델 같은 경우를 공동체주의자라고 부르는데, 개인과 사회 모두의 가치를 논하겠으므로 3대규범윤리학의 면모들을 다 취합하는 것으로 해결할 방법을 말할 것 같아요. 본 글에서 언급한 건축사의 문제를 언급하든지, 개인과 개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사회의 제 문제를 공론화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마이클 샌델은 어떤 처방을 내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