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와 극장 위기 다룬 KBS, 관람료 인상에 집중했다면
2023/08/23
"한국영화가 지금 전 세계인에게 이렇게 사랑받고 모두의 관심 한복판에 있다는 걸 정말 절감할 수 있었어요. 불과 1년 전에 정말 한국영화 위상이 정점에 다다랐다고 느낄 정도로. 한국영화계의 일원으로서 너무나 큰 자긍심을 느낀 그런 때였는데 불과 1년이 지나서 지금 모두가 한국영화의 위기를 말하고 있거든요."
KBS <시사기획 창>과 인터뷰한 <다음, 소희> 정주리 감독의 소회다. <다음, 소희>는 지난해 칸 국제영화제 비평가주간 부문 폐막적으로 선정됐다. 이후 부산국제영화제에 상영되며 호평을 받았다. 이어 지난 2월 8일 극장에서 정식 개봉했다. 500여개 스크린 수를 확보했다. 개봉 첫 주 일일 최고 관객은 1만1천 명 수준. 그 다음 주 스크린 수가 1/3 수준으로 급감했다.
2017년 전주 '콜센터 현장실습생 사건'을 소재로 한 <다음, 소희>는 관객들과 대다수 언론의 호평을 받았지만 그게 전부였다. 자발적 대관 등 관객들의 상영 후원이 이어졌지만 흥행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다음, 소희>의 누적 관객 수는 11만6천 명. 영화의 제작비는 순제작비 10억, 마케팅 비용을 포함한 손익 분기점은 30만 명이었다.
"극장에서 관객을 만나는 일이 현저하게 어려워졌다는 생각이 들고요. 영화를 보신 분들이 또 소개를 해주시고 하면서 2~3주차에 관객이 영화를 보러 더 많이 오셨어요. 근데 상영관은 늘지 않더라고요. 좌석 점유율이 오르고 심지어 1위를 찍고 해도 상영관이 늘지 않았습니다." (정주리 감독)
<시사기획 창>이 위기의 한국영화를 진단했다. 지난 22일 '당신은 영화를 보나요?'편을 통해서였다. <다음, 소희>의 예에서 볼 수 있듯,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스크린 독과점' 현상은 심화 편중될 것이다. 한국영화를 살려야 한다는 명목하에 이제는 누구도 대기업 배급사와 멀티플렉스 극장이 결탁한 수직 계열화와 스크린 독과점을 비판하거나 제동을 걸 시도조차 못하는 상황이 됐다.
KBS도 이를 지적하긴 했다. <범죄도시...
기고 작업 의뢰는 woodyh@hanmail.net으로 주세요.
전 FLIM2.0, 무비스트, 오마이뉴스, korean Cinema Today 기자, 영화 <재꽃> 시나리오, '4.3과 친구들 영화제' 기획
@악담 흑자여도 전년대비 순이익 따지고, 손실 따지는 주식회사들 입장에서 출구전략 세우는거야 지들 맘인데, 아예 영화 관람 문화 자체를 고사시키는 거 같아 무섭습니다. 욕 쳐먹고 철퇴를 맞는게 정당할 정도지요.
제가 알기로는 영화관 3사는 코로나 시대에도 흑자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사가 방송 나와서 적자에 허덕인다고 징징거리며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때 좀 역겹더군요. 영화비만큼은 아낌없이 쓰는 저도 솔직히 지금 영화값 부담스럽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영화관 3사는 코로나 시대에도 흑자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사가 방송 나와서 적자에 허덕인다고 징징거리며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때 좀 역겹더군요. 영화비만큼은 아낌없이 쓰는 저도 솔직히 지금 영화값 부담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