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은 다시 돌아온다
2024/04/17
아리스토텔레스는(BC 384년~BC 322년)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했다. 2,400년 전쯤 한 얘기다. 위대한 진리처럼 학교에서 배웠지만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한 말이다. 인간의 속성 중에 사회성이 있다는 의미라면 맞지만, 인간만이 사회성을 갖고 있다는 의미라면 틀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분야에서도 근 2천 년 동안 종조(宗祖)로서 서양의 지식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배경에는 그가 집필한 『동물사』,『동물탐구』,『동물의 부분들에 대하여』, 『동물의 움직임에 대하여』, 『동물의 발성에 관하여』등의 저서들이 있다. 국내에는 2023년 『동물지』(동물사)가 번역 출간된 정도여서 진의를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에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고 한 발 뺐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분야에서도 근 2천 년 동안 종조(宗祖)로서 서양의 지식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배경에는 그가 집필한 『동물사』,『동물탐구』,『동물의 부분들에 대하여』, 『동물의 움직임에 대하여』, 『동물의 발성에 관하여』등의 저서들이 있다. 국내에는 2023년 『동물지』(동물사)가 번역 출간된 정도여서 진의를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에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고 한 발 뺐다.
그간의 연구를 통하여 ‘사회성’은 더 이상 인간만의 특성이 아님이 밝혀졌다. 동물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식물까지도 사회성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명제는 더는 인간의 특성을 말해주지 않는다.
게놈 해독 결과에 따르면 인간과 ...
@끄트머리
아직 갈 길이 멉니다
오만하지 말아야겠단 생각이 듭니다.
@K Min
말씀하신 대로 종교나 이념은 독자성을 인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언어의 경우에는 고도화의 정도를 어떻게 인식하느냐가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동물들 뿐만 아니라 식물들도 화학물질과 전기 신호로 대화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상황이어서 빼야할 것 같고, 인간만이 가진 특질로는 역시 '문자'인 것 같습니다.
종교와 이념의 고도화를 전적으로 문자의 힘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문자가 없는 문화권에서 수준높은 종교적 서사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는 언어의 힘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과학기술분야는 문자의 힘이 크게 작용했으니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
의견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니엘 데닛 (Daniel Dennett)이란 미국의 철학자, 인지과학자는 종교 현상을 다루는 한 책에서 자연계에서 오로지 인간만이 아이디어(종교를 포함한 사상, 이념)을 위해 엄청난 희생 (때론 목숨까지)을 치르면서까지 경쟁•투쟁하는 동물이란 주장을 했는데, 저도 이게 다른 동물에서는 보이지 않는 인간만의 독특한 특질이라는데 동의합니다.
번식경쟁 및 생존경쟁, 자원 확보를 위한 투쟁은 다른 동물들도 다 하는 것이란 건 두말할 나위도 없고, 본문에서 지적하신대로 문화, 사회성 및 사회적 협력도 인간이 상대적으로 더 고도로 발달했다는 거지 다른 동물에게선 전혀 나타나지 않는 인간만의 고유 특질은 아니죠.
인간만의 고유 특질로 굳이 하나 더 꼽자면 언어 사용 정도가 아닌가 싶은데 다만 여기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죠.
오만하지 말아야겠단 생각이 듭니다.
다니엘 데닛 (Daniel Dennett)이란 미국의 철학자, 인지과학자는 종교 현상을 다루는 한 책에서 자연계에서 오로지 인간만이 아이디어(종교를 포함한 사상, 이념)을 위해 엄청난 희생 (때론 목숨까지)을 치르면서까지 경쟁•투쟁하는 동물이란 주장을 했는데, 저도 이게 다른 동물에서는 보이지 않는 인간만의 독특한 특질이라는데 동의합니다.
번식경쟁 및 생존경쟁, 자원 확보를 위한 투쟁은 다른 동물들도 다 하는 것이란 건 두말할 나위도 없고, 본문에서 지적하신대로 문화, 사회성 및 사회적 협력도 인간이 상대적으로 더 고도로 발달했다는 거지 다른 동물에게선 전혀 나타나지 않는 인간만의 고유 특질은 아니죠.
인간만의 고유 특질로 굳이 하나 더 꼽자면 언어 사용 정도가 아닌가 싶은데 다만 여기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