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은 한국이 아니다] 독일 노벨상 115명 vs 한국 노벨상 1명 - 똑똑하던 한국애들이 결국 평범해지는 과정
2024/05/16
고등학교 때 나는 교실 뒤편에 앉아서 소설을 쓰곤 했다. 어깨가 축 쳐진 쟤는 지금 우리 반에서 40등 정도나 하나? 근데 사실 쟤는 바이올린 천재다. 어릴 때 바이올린을 배울 기회만 있었어도 그의 인생을 달라졌을 것이다. '공부도 못 하는 놈'이라는 타이틀 대신 '바이올린을 엄청 잘하는 애'가 되었을 것이다. 가끔 티비 출연도 하고, 참참이 어디 가서 상도 타오고, 학교 행사만 있으면 학교의 자랑이라고 연주도 시키고 했겠지.
그렇게 주목받지 못하는 한 명 한 명에게 지금의 모습과는 절대 어울리지 않을 만한 능력을 주고 재미있는 상상을 한 이유는 그렇지 못한 현실 때문이기도 하지만 누구에게나 그런 능력이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고 했다.
한국은 왜 잠재력을 죽이는 사회가 되었나
요즘 인터넷 댓글에, 'XX에서 태어났으면 최소 XX 레젼드' 같은 식의 글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런 거다.
예능 프로에 자주 나와서 어린아이들은 개그맨인 줄 아는 어떤 음악가는 사실 '미국에서 태어났으면 최소 에미넴' 글을 엄청 잘 쓰는지만 먹고살기 위해 잘 팔리는 가벼운 글만 쓰는 그는 사실 '영국에서 태어났으면 최소 해리포터급 작가' 뭐 대충 이런 식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한 비운의 운명 같은 것이다.
어릴 때 발표를 시키면 서로 손을 들고 발표하겠다는 아이들이 "저요! 저요!" 하며 아우성을 쳤다. 그렇게 발표를 잘하면 발표왕도 주고 말이다. 그리고 중학교 때는 발표의 기회라는 것이 현저하게 줄고 선생님의 판서만 주구장창 베껴 쓰는 시간이 늘어났다. 고등학교 때는 손을 들일도 발표할 일도 없었다. 맨날 문제 풀고 시험 보는 것뿐. 그야말로 교실에서 내 의견을 말하고 질문할 기회가 1초도 없는 학창생활.
그러다 수능이 끝나면 갑자기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이고 창의적으로 말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논술'이라는 것을 해야 한다. 어릴 때 ...
@최성욱 사실 한 글에 모든 면을 담자면 글이 산으로 갈까봐 한면만을 얘기하지만, 저 안에는 한국과 비슷한면과 더 안 좋은면도 공존합니다. ㅋ
@유영진 ‘어릴 때부터 규제보다는 자유를 보장하는 문화 그리고 그 자유 안에서 생각하고, 표현하고, 실행하고, 책임지는 프로세스를 실제 삶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라고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벼룩시장 역시 천차만별 입니다. 집 앞에 간이책상이랑 의자 펴 놓고 혼자 파는 경우도 있고 진짜 여러 사람들이 사전등록하고 자리를 배치 받아서 하는 경우도 있고요. 아이들은 주로 자기가 필요없다고 생각되는 장난감이나 책, 옷 등을 팝니다. 나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모가 최소한의 개입만 하고 모든 것을 스스로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제 딸 같은 경우에는 8살 때 집에 있는 책상 의자를 챙겨 나가길래 뭐하냐고 했더니 날씨가 더워서 시원한 음료수 팔라고 한다고 하더라구요. 한국식으로 보면 어릴 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돈도 안되고 쓸데없는 짓을 계속 벌이는 거죠.^^
김누리 교수가 독일의 시스템을 칭찬을 많이 하시던데 그 이유가 이런 것들인가? 싶네요.
글의 본론이 마지막 문단에 있는 것 같은데,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합니다. 초등학생 벼룩시장의 경우, 해당 행사가 시작할 때부터 끝날 때까지 독일의 초등학생들은 어떤 경험을 순차적으로 겪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최성욱 사실 한 글에 모든 면을 담자면 글이 산으로 갈까봐 한면만을 얘기하지만, 저 안에는 한국과 비슷한면과 더 안 좋은면도 공존합니다. ㅋ
@유영진 ‘어릴 때부터 규제보다는 자유를 보장하는 문화 그리고 그 자유 안에서 생각하고, 표현하고, 실행하고, 책임지는 프로세스를 실제 삶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라고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벼룩시장 역시 천차만별 입니다. 집 앞에 간이책상이랑 의자 펴 놓고 혼자 파는 경우도 있고 진짜 여러 사람들이 사전등록하고 자리를 배치 받아서 하는 경우도 있고요. 아이들은 주로 자기가 필요없다고 생각되는 장난감이나 책, 옷 등을 팝니다. 나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모가 최소한의 개입만 하고 모든 것을 스스로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제 딸 같은 경우에는 8살 때 집에 있는 책상 의자를 챙겨 나가길래 뭐하냐고 했더니 날씨가 더워서 시원한 음료수 팔라고 한다고 하더라구요. 한국식으로 보면 어릴 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돈도 안되고 쓸데없는 짓을 계속 벌이는 거죠.^^
김누리 교수가 독일의 시스템을 칭찬을 많이 하시던데 그 이유가 이런 것들인가? 싶네요.
글의 본론이 마지막 문단에 있는 것 같은데,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합니다. 초등학생 벼룩시장의 경우, 해당 행사가 시작할 때부터 끝날 때까지 독일의 초등학생들은 어떤 경험을 순차적으로 겪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