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은 한국이 아니다] 독일 노벨상 115명 vs 한국 노벨상 1명 - 똑똑하던 한국애들이 결국 평범해지는 과정

기시선
기시선 · 사람과 세상에 대한 나만의 관점
2024/05/16
고등학교 때 나는 교실 뒤편에 앉아서 소설을 쓰곤 했다. 어깨가 축 쳐진 쟤는 지금 우리 반에서 40등 정도나 하나?  근데 사실 쟤는 바이올린 천재다. 어릴 때 바이올린을 배울 기회만 있었어도 그의 인생을 달라졌을 것이다. '공부도 못 하는 놈'이라는 타이틀 대신 '바이올린을 엄청 잘하는 애'가 되었을 것이다. 가끔 티비 출연도 하고, 참참이 어디 가서 상도 타오고, 학교 행사만 있으면 학교의 자랑이라고 연주도 시키고 했겠지.

그렇게 주목받지 못하는 한 명 한 명에게 지금의 모습과는 절대 어울리지 않을 만한 능력을 주고 재미있는 상상을 한 이유는 그렇지 못한 현실 때문이기도 하지만 누구에게나 그런 능력이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고 했다. 

한국은 왜 잠재력을 죽이는 사회가 되었나 


요즘 인터넷 댓글에, 'XX에서 태어났으면 최소 XX 레젼드' 같은 식의 글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런 거다. 

예능 프로에 자주 나와서 어린아이들은 개그맨인 줄 아는 어떤 음악가는 사실 '미국에서 태어났으면 최소 에미넴' 글을 엄청 잘 쓰는지만 먹고살기 위해 잘 팔리는 가벼운 글만 쓰는 그는 사실 '영국에서 태어났으면 최소 해리포터급 작가' 뭐 대충 이런 식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한 비운의 운명 같은 것이다.


어릴 때 발표를 시키면 서로 손을 들고 발표하겠다는 아이들이 "저요! 저요!" 하며 아우성을 쳤다. 그렇게 발표를 잘하면 발표왕도 주고 말이다. 그리고 중학교 때는 발표의 기회라는 것이 현저하게 줄고 선생님의 판서만 주구장창 베껴 쓰는 시간이 늘어났다. 고등학교 때는 손을 들일도 발표할 일도 없었다. 맨날 문제 풀고 시험 보는 것뿐. 그야말로 교실에서 내 의견을 말하고 질문할 기회가 1초도 없는 학창생활. 

그러다 수능이 끝나면 갑자기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이고 창의적으로 말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논술'이라는 것을 해야 한다. 어릴 때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나는 당연한 모든 것을 의심한다
23
팔로워 31
팔로잉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