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 이동성은 불평등 문제의 해답이 될 수 있을까?

김석관
김석관 인증된 계정 · 기술혁신 연구자
2022/12/22
2022년 발표된 경제학 논문 중에 가장 큰 반향을 일으킨 논문을 꼽으라면 아마도 하버드 경제학과의 Raj Chetty 교수가 2022년 8월 1일 Nature지에 발표한 사회적 자본에 대한 논문을 꼽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Social capital I: measurement and associations with economic mobility",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2-04996-4 ) 오랫동안 불평등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해온 Chetty 교수는 이 논문에서 '유년기에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계층 이동성을 높여주는 가장 중요한 변수'임을 입증했다. 이를 위해 25~44세 사이 미국내 Facebook 사용자 7,220만명의 210억개 친구관계라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데이터를 활용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부유한 친구를 가진 빈곤층 아이가 성인이 되면 평균적으로 20% 높은 소득을 가진다고 한다. 우리 신문에서는 이를 "나와 다른 친구가 가장 강력한 불평등의 해법"이라고 헤드라인을 뽑았다.(https://www.mk.co.kr/news/it/10408966

그런데, 이 논문이 계층 이동성을 높이는 여러 변수 중에 사회적 자본(유년기의 친구 관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기는 했지만, 그것으로 불평등 문제의 해답을 주었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사실 계층 이동성은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불평등을 해소하는 방법 중 계층 이동성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불평등의 해소 방법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겠지만, 가장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1) 국가 전체의 생산성과 부가 늘어나고(즉, 파이가 커지고)
2) 계층 간에 소득/자산 격차가 줄고(즉, 상위 20%의 소득과 그 아래 계층의 소득 차이가 작고)
3) 계층 간에 이동성이 활발해지면 
경제적 불평등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김석관
김석관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74
팔로워 461
팔로잉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