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25
*김영빈님께서 정성껏 작성해 주신 자료와 고견을 오래도록 들여다보았습니다. 저는 경제학을 배우지도, 사회과학도도 아닌 한낱 일반인이기 때문에 어느 논제에 관하여 많은 오류가 있을 거라 짐작은 해 왔습니다. 그리하여 배우는 마음가짐으로 영빈님의 글을 읽어본 바, 역시나 유통 구조에는 한국만의 기형적 특성이 산재한다는 느낌을 더욱 강하게 받았습니다. 두 번째 글을 작성하지 않으려던 것은 자료 조사의 게으름도 한 몫 했으나 1차 생산자의 입장이었던 경험을 독자로 하여금 오롯이 이해시키리란 자신이 없기도 한 탓입니다. 더불어 해당 사안에 관한 갑론을박에 대하여 어떤 감정적 저의가 들어있지는 않다는 말씀을 먼저 드립니다.
부패에 관한 한, 농산물이란 운송에 있어 가장 큰 리스크를 지니는 품목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 특수성에 대한 값과 유통서비스, 유통비용의 상승을 읽었습니다. 자료에서는 모든 지표가 선생님의 말대로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유통마진이 높다고 해서 비효율적인 유통구조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여기서 연구소나 농민신문이 말하는 바는 알겠습니다. 제가 단호하게 말할 수 있는 부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통구조는 기형적이다’입니다.
공산품과는 다르다?
몇 가지 오해의 실마리는 소비자가 납득하게끔 만드는 문장 선정에 있다고 봅니다. 물류 운송 시스템이 만들어진 뒤, 얼마나 많은 포장이 물건을 보호하는지는 모르겠으나 공산품이라 하여 물건이 파손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여전히 없습니다. 보통의 배송이 집 앞까지 도달하는 데 반해(요즘은 여러 식재료들도 집 앞까지 갑니다만.) 과수라는 품목은 집 앞 마트나 과일 가게가 최종 종착지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송 차수가 적어도 한 차례 줄어드는데다, 제가 직접 과일 운송 과정에 참여해 보았을 때도 싣고 내리는 경우가 아주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과일은 파레트로 애초, 적당량을 구분해 놓은 채 싣거든요. 공산품보다 더 신경쓰고 보호를 해 둔 걸 유통 서비스의 향상이라고 한다면 ‘농산물이 그렇게 특별...
더불어 제가 일전에 적은 ‘일본의 도시락 문화’글에 일본이 어째서 1차 피라미드 계층을 죽어라 이끌고 가는지 적어두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지 조금 더 고민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3. 저는 유통이 광고를 하든 영업을 하든 ‘몇 배 이윤을 가져간다’라는 자체가 모순이라고 보는 입장입니다. 배보다 배꼽이 훨씬 큰 건 그런 것이라 생각하고요. 생산력이 떨어지는 점이 문제라고 한다면 도태되는 건 농가쪽의 문제겠지요. 단순합니다. 그럼 생산자의 생산력 문제이니 광고비와 홍보 영업과 같은 유통계의 기본 골자를 유지하는 게 우선이며, 이제 국산 농수산물은 기대하지 않아도 된다는 셈법과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1차 산업구조가 무너지는 형국은 머지 않은 것 같네요.
2. 실수로 반대로 이야기했습니다. '일본의 유통마진이 한국보다 적다 -> 높다'로 수정합니다. 죄송합니다.
1. 3. 네, 자의적인 가격 책정 부분은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다만 '몇 배 이윤을 가져간다'는 이유로 유통과정이 불합리하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는 게 제 글과 김민호님의 글의 요지입니다.
ㄴ김영빈님 댓글 감사합니다. 어쩌다보니 논쟁이 자꾸만 이어지게 하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1. 김민호님의 글에 제가 댓글을 달아 남겼고, 번거로우시겠지만 그 댓글을 살펴보시면 무엇이 요지인지 아실 수 있지 않을까 짐작합니다. 그리고 저 또한 유통계에 있었기 때문에 그 실정을 모른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2. 어떻게 그런 결론을 내시는건지는 모르겠으나 ‘일본의 유통마진이 한국보다 적다’는 건 한국의 유통마진이 일본보다 높다는 게 아닌가요..? 그건 유통마진을 과하게 책정하고 있다는 말과 같다고 봅니다. 아울러 김영빈님의 작성글에 적힌 자료들이 8년-12년 전에 가까운 자료들이라 비교적 최근 올라온 우유 값을 소재로 해볼까요? 우유의 유통마진은 해외보다 어마어마하게 높습니다. 그렇다고 우유 하나를 꼭 집어 ‘한국의 유통마진은 기형적이다’라고 매도하는 게 아닙니다. 본문에 적었듯 통계의 오류가 유통에서 굴려먹기 좋은 떡밥인 게 확실하지 않나 하는 게 오히려 합리적 추론 같습니다.
3. 물론 미국의 실정 상 농부 1인당 농사 단위면적이 어마어마하고 타 국가와 비교불가입니다. 저 스스로가 가장 잘 알겠지만요. 생산성을 따지자면 그렇습니다. 그러나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농가가 받는 돈이 중요한 게 아니라 농산물이라는 품목 자체의 값을 책정하는 기준을 묻는 것입니다. 1년의 농사 기간을 거쳐 수확한 것에 반해 경매 단가, 혹은 마트의 계약조건에 의해 일시로 후려쳐지는 게 맞는가. 또한 그들의 소비자 판매 단가가 8배, 적어도 5배 이상의 이윤을 가져가는 게 맞는 처사인가. 그렇게 묻고 있는 것입니다.
상세한 논평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의견을 남기자면
1. 유통업계가 단순히 식품의 운반만 담당한다는 건 협소한 정의라고 생각됩니다. 유통업계는 식품 운반을 넘어서 판매, 보관, 시장 중개, 광고 및 판촉, 소비자 서비스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김민호님의 답변글로 갈음하겠습니다. https://alook.so/posts/6Mte8da
2. 물론 국가별 유통마진율은 영토 크기도 감안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걸 감안해도 한국의 유통마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결론을 낼 수준은 아닙니다. 면적이 한국보다는 넓지만 미국보다 훨씬 좁은 일본도 유통마진율이 한국 이하입니다.
3. 한국 농부들이 받는 농산물 시세가 높다는 이야기는 아니었습니다. 미국 농산품이 한국보다 싼데 유통마진율은 한국보다 높다는 이야기에서 추론하신 듯 한데, 농부들이 받는 액수를 가치판단하려면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영세성으로 인한 낮은 농업생산성 등을 감안하면 한국 농부들이 결코 많이 받는게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더불어 제가 일전에 적은 ‘일본의 도시락 문화’글에 일본이 어째서 1차 피라미드 계층을 죽어라 이끌고 가는지 적어두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지 조금 더 고민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3. 저는 유통이 광고를 하든 영업을 하든 ‘몇 배 이윤을 가져간다’라는 자체가 모순이라고 보는 입장입니다. 배보다 배꼽이 훨씬 큰 건 그런 것이라 생각하고요. 생산력이 떨어지는 점이 문제라고 한다면 도태되는 건 농가쪽의 문제겠지요. 단순합니다. 그럼 생산자의 생산력 문제이니 광고비와 홍보 영업과 같은 유통계의 기본 골자를 유지하는 게 우선이며, 이제 국산 농수산물은 기대하지 않아도 된다는 셈법과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1차 산업구조가 무너지는 형국은 머지 않은 것 같네요.
2. 실수로 반대로 이야기했습니다. '일본의 유통마진이 한국보다 적다 -> 높다'로 수정합니다. 죄송합니다.
1. 3. 네, 자의적인 가격 책정 부분은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다만 '몇 배 이윤을 가져간다'는 이유로 유통과정이 불합리하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는 게 제 글과 김민호님의 글의 요지입니다.
ㄴ김영빈님 댓글 감사합니다. 어쩌다보니 논쟁이 자꾸만 이어지게 하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1. 김민호님의 글에 제가 댓글을 달아 남겼고, 번거로우시겠지만 그 댓글을 살펴보시면 무엇이 요지인지 아실 수 있지 않을까 짐작합니다. 그리고 저 또한 유통계에 있었기 때문에 그 실정을 모른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2. 어떻게 그런 결론을 내시는건지는 모르겠으나 ‘일본의 유통마진이 한국보다 적다’는 건 한국의 유통마진이 일본보다 높다는 게 아닌가요..? 그건 유통마진을 과하게 책정하고 있다는 말과 같다고 봅니다. 아울러 김영빈님의 작성글에 적힌 자료들이 8년-12년 전에 가까운 자료들이라 비교적 최근 올라온 우유 값을 소재로 해볼까요? 우유의 유통마진은 해외보다 어마어마하게 높습니다. 그렇다고 우유 하나를 꼭 집어 ‘한국의 유통마진은 기형적이다’라고 매도하는 게 아닙니다. 본문에 적었듯 통계의 오류가 유통에서 굴려먹기 좋은 떡밥인 게 확실하지 않나 하는 게 오히려 합리적 추론 같습니다.
3. 물론 미국의 실정 상 농부 1인당 농사 단위면적이 어마어마하고 타 국가와 비교불가입니다. 저 스스로가 가장 잘 알겠지만요. 생산성을 따지자면 그렇습니다. 그러나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농가가 받는 돈이 중요한 게 아니라 농산물이라는 품목 자체의 값을 책정하는 기준을 묻는 것입니다. 1년의 농사 기간을 거쳐 수확한 것에 반해 경매 단가, 혹은 마트의 계약조건에 의해 일시로 후려쳐지는 게 맞는가. 또한 그들의 소비자 판매 단가가 8배, 적어도 5배 이상의 이윤을 가져가는 게 맞는 처사인가. 그렇게 묻고 있는 것입니다.
상세한 논평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의견을 남기자면
1. 유통업계가 단순히 식품의 운반만 담당한다는 건 협소한 정의라고 생각됩니다. 유통업계는 식품 운반을 넘어서 판매, 보관, 시장 중개, 광고 및 판촉, 소비자 서비스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김민호님의 답변글로 갈음하겠습니다. https://alook.so/posts/6Mte8da
2. 물론 국가별 유통마진율은 영토 크기도 감안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걸 감안해도 한국의 유통마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결론을 낼 수준은 아닙니다. 면적이 한국보다는 넓지만 미국보다 훨씬 좁은 일본도 유통마진율이 한국 이하입니다.
3. 한국 농부들이 받는 농산물 시세가 높다는 이야기는 아니었습니다. 미국 농산품이 한국보다 싼데 유통마진율은 한국보다 높다는 이야기에서 추론하신 듯 한데, 농부들이 받는 액수를 가치판단하려면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영세성으로 인한 낮은 농업생산성 등을 감안하면 한국 농부들이 결코 많이 받는게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