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즈존, 무엇이 문제인가 - 용혜인 의원의 기자 회견을 보고
2023/05/08
결혼 전에는 아이가 식당에서 울면 이해할 수 없었다.
'저렇게 우는 애를 데리고 굳이 식당에서 밥을 먹고 싶을까?'
아이를 낳고 키워보니 그 난리통에도 굳이 식당에서 밥을 먹고 싶은 그 심정을 알게 되었다. 어린 아기를 키우는 부모에게 식당은 그것이 동네 백반집이더라도, 남이 해주는 밥을 먹는 유일한 기회가 된다. 다들 시댁이나 친정이 가까이 사는 것도 아니고 집집마다 사정이 있게 마련이라 아기 엄마는 주중엔 제대로 된 밥을 먹기 힘들다. 아기 데리고 종종 거리다 주말에는 풍경이 근사한 카페에서 짙은 커피 향을 느끼며 커피도 한 잔 하고 싶을 수 있다. 맞벌이가 대세고 남녀평등이 이루어졌다고는 하나, 생물학적으로 여성이 임신과 출산을 담당하기에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아기를 양육하는 주양육자는 대부분 여성이다. 이런 일상의 작은 욕망들이 여성들의 허영심으로 비치는 것도 불편하다. 어렵게 결심하고 식당이나 카페를 찾으면 맘충, 진상맘 소리를 듣게 되는 것도 주양육자가 여성이기 때문이다. '맘충'이라는 단어가 주는 충격은 정말 놀랍다. 이 단어는 아이를 키우는 엄마에게도 그 가족에게도 상처가 되는 말이다. 이런 진상 가족을 비난하는 글들을 읽어보면 대부분 엄마들만이 진상으로 묘사되어 공격당한다. 어린아이를 데리고 있는 여성이 약자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도시는 어린이에게 ‘놀기 좋은 곳’이 아닙니다. 아파트에 살지 않는 어린이는 놀이터가 없어서 거리를 배회합니다. 7만 개...
아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치는 선생이자 음악 애호가입니다. 에세이 <곤란할 땐 옆집 언니>의 저자이며 국악, 클래식, 팝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공연을 다니며 일상을 특별하게 만듭니다.
- 실제로 식당이나 도서관 등에서 맘충이라는 사람들을 본 적은 있을까? 인터넷 게시판에서 본 몇 가지 경악할 만한 사건들로 어린아이들의 엄마는 맘충이라는 선입견이 있는 것은 아닐까
이 부분에 동감합니다. 대한민국 사회는 통계적으로나 실질적으로나 문제가 되지 않는 문제를 문제시해서 공론장에 올리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77_min 한국에서는 이제 아이들이 거의 태어나지 못 하고 있어요. 이런 척박한 환경에서 아이 낳으라고 말을 할 수도 없죠. 안타깝습니다.
@최성욱 공감 감사합니다. 사실 이제는 인구가 경제이슈이기도 합니다. 받쳐줄 인구가 없으면 경제가 돌아가지 못 하죠. 다들 조금씩 너그러워졌으면 좋겠어요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깊이 공감합니다. 캐나다처럼 개인주의가 발달한 북미에도 노키즈존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포용없는 사회가 안타까워요🥲 우리나라에도 선생님처럼 공동체 지향적인 진짜 어른이 많이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종류의 이슈보다 경제인 성장 이슈가 더 강한 것이 한국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과거에는 늘 그랬죠. 그런데 앞으로는 좀 바꼈으면 좋겠네요. 돈보다 사람이 먼저인 세상으로 조금만 더 접근했으면 좋겠어요.
이런 종류의 이슈보다 경제인 성장 이슈가 더 강한 것이 한국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과거에는 늘 그랬죠. 그런데 앞으로는 좀 바꼈으면 좋겠네요. 돈보다 사람이 먼저인 세상으로 조금만 더 접근했으면 좋겠어요.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깊이 공감합니다. 캐나다처럼 개인주의가 발달한 북미에도 노키즈존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포용없는 사회가 안타까워요🥲 우리나라에도 선생님처럼 공동체 지향적인 진짜 어른이 많이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77_min 한국에서는 이제 아이들이 거의 태어나지 못 하고 있어요. 이런 척박한 환경에서 아이 낳으라고 말을 할 수도 없죠. 안타깝습니다.
- 실제로 식당이나 도서관 등에서 맘충이라는 사람들을 본 적은 있을까? 인터넷 게시판에서 본 몇 가지 경악할 만한 사건들로 어린아이들의 엄마는 맘충이라는 선입견이 있는 것은 아닐까
이 부분에 동감합니다. 대한민국 사회는 통계적으로나 실질적으로나 문제가 되지 않는 문제를 문제시해서 공론장에 올리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성욱 공감 감사합니다. 사실 이제는 인구가 경제이슈이기도 합니다. 받쳐줄 인구가 없으면 경제가 돌아가지 못 하죠. 다들 조금씩 너그러워졌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