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 산다는 것

라이뷰

지역에 산다는 것

지방대생들의 이야기가 제대로 된 담론이 못 되는 이유: 세대론 / 노동담론 / 지방소멸론 비판

양승훈
양승훈 인증된 계정 ·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
2023/01/19
지방대생들이 지난 글에서처럼 대학생 중 다수이고, 지방대학이 지역 도시들을 먹여 살리고 있음에도 왜 지방대와 지방대생들의 이야기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일까? 그 이유를 살펴보려고 한다.

출처: KBS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77467 )


이를 위해 우리 사회에서 청년을 다루는 세대론, 노동을 다루는 노동담론, 그리고 지방소멸론을 살펴보려 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세대론부터 다뤄보자.

(* 이 글은 졸고 "제가 그래도 대학을 나왔는데: 동남권 지방대생의 일경험과 구직"을 쉽게 풀어 썼습니다.)

누가 청년인가?: 세대론의 문제점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이대남'을 이준석이 조직화했다는 이야기가 화두가 되곤 했다. 20대 남성이 한 큐에 '공정'과 '반페미니즘'의 기치 아래 모인 것으로 설명됐다. 이 중 '반페미니즘'을 제외하면 MZ세대 전반의 가치정향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능력주의'와 '공정'을 키워드로 수많은 책들이 최근 2~3년 새에 집중되어 출간됐다.  

세대론은 족보가 있다. 하나의 세대론이 형성되고 그 해석을 따라서 이러쿵 저러쿵 청년에 대한 담론이 펼쳐지곤 한다. 세전 88만원 밖에 못 번다는 '88만원세대론'(우석훈・박권일)으로부터 시작해, N포 세대론, '90년대생 담론' 등으로 전개해 왔다. 그러다가 '공정'과 '능력주의'가 'MZ세대론'의 키워드가 된 것이다. 인천공항공사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청년들의 반감, 전공의 파업 등의 계기가 있었을 것이다. 

그 사이 청년층의 '능력주의'는 시험을 통한 공정한 선발을 통해 정규직 혹은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확보해야 한...
양승훈
양승훈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전환기 엔지니어, 제조업, 지방을 키워드로 연구합니다.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오월의봄, 2019)를 썼고 한국사회학회 학술상과 한국출판문화상 교양부문을 수상했습니다. 2024년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부키)를 펴냈습니다.
8
팔로워 1.9K
팔로잉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