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뷰
지역에 산다는 것
지방대생이 대학생의 다수고, 지방대가 지방도시를 먹여 살린다: 어느 지방대 문과 교수의 생각
2023/01/13
지방대에 대해 다룰 때 있어서 가장 먼저 살펴 봤으면 싶은 것은 다름 아닌 숫자다. 주류 미디어는 대학의 이야기를 함에 있어서 수도권, 정확하게는 서울 소재 대학과 과기원에 다니는 학생을 기준으로 대학생을 인식한다. 대입 정시・수시 논쟁을 할 때에도 서울 소재 대학과 과기원을 중심으로 누군가의 유불리를 논한다. 그런데 숫자를 갖고 볼 때 이런 서울 소재 대학과 과기원의 대표성은 정당한 것일까? 유불리를 논하는 누군가는 얼마자 대표적인 인구인가?
난감한 입시설명회의 추억
잠시 10년 전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회사를 다니던 시절이던 2010년대 초반,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입시업체인 M사의 입시연구소장을 거제도 조선소에 초청해 '대입 전략 특강'을 개최했었다. 강사의 현란한 언변과 PPT 영상이 흘러가고, Q&A가 시작됐다. 심각한 표정으로 자료집을 살펴보고 강사의 눈을 말똥말똥 바라보던 학부모들이 질문을 시작한다. "근데 부경대나 경성대 보낼라면 뭘 준비해야 합니까?" 잠시 정적이 이어졌다. 물론 노련한 강사는 "아, 지금까지 말씀 드린 전략을 응용하시면 됩니다"하면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결과적으로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지역 입시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마칠 때까지 제공되지 못했다. 3년 정도 입시설명회를 진행해도 큰 차이는 없었다. (물론 최상위권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서울 소재 대학이나 의대 입시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가져갔으리라 생각한다.)
숫자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그 입시설명회의 정적은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다. 수도권에서는 지방대 입시를 고려하지 않...
난감한 입시설명회의 추억
잠시 10년 전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회사를 다니던 시절이던 2010년대 초반,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입시업체인 M사의 입시연구소장을 거제도 조선소에 초청해 '대입 전략 특강'을 개최했었다. 강사의 현란한 언변과 PPT 영상이 흘러가고, Q&A가 시작됐다. 심각한 표정으로 자료집을 살펴보고 강사의 눈을 말똥말똥 바라보던 학부모들이 질문을 시작한다. "근데 부경대나 경성대 보낼라면 뭘 준비해야 합니까?" 잠시 정적이 이어졌다. 물론 노련한 강사는 "아, 지금까지 말씀 드린 전략을 응용하시면 됩니다"하면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결과적으로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지역 입시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마칠 때까지 제공되지 못했다. 3년 정도 입시설명회를 진행해도 큰 차이는 없었다. (물론 최상위권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서울 소재 대학이나 의대 입시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가져갔으리라 생각한다.)
숫자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그 입시설명회의 정적은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다. 수도권에서는 지방대 입시를 고려하지 않...
전환기 엔지니어, 제조업, 지방을 키워드로 연구합니다.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오월의봄, 2019)를 썼고 한국사회학회 학술상과 한국출판문화상 교양부문을 수상했습니다. 2024년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부키)를 펴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ㅡ 저도 지방대 이슈를 계속 스터디하고 글도 쓰고 있어요 ㅎㅎ
잘 읽었습니다. 생각이 많아집니다.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입시 설명회를 한다면 그들의 주요 관심사인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고민들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지역 인재 채용을 할당하거나 정부에서 대학과 연계된 모범사례도 발굴이 가능할 것입니다. 기초과학인 연구 분야도 꼭 서울,수도권에 있을 필요는 없고 대학 내에 있어도 좋겠네요. 이어지는 글 기대하겠습니다.
대학 교육에서 대학 스스로 새시대에 맞게 잘 변하고 혁신으로 경쟁력 갖춘 대학으로 부단히 노력하며 거듭나고 있는지 돌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수도권 밖의 대학교는 자연소멸하게 냅둬야 한다느니, 아예 확 없애버려야 한다느니 하시는 분들은 대개 평생 서울 수도권 밖에서는 ‘생활’이란 걸 해본 적이 없으신 분들이죠. 글을 읽고 나니 문득 그런 분들이 하나둘씩 떠오르네요.(저희 아버님까지..ㅎㅎ)
그러고 보면 고등학교 3년이지만, 수도권 밖에서 기숙사 생활한 게 그나마 이런 말씀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지방 대학의 소멸은 단순히 학교 하나가 없어지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전체의 존망이 결정된다는 관점에서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문제중에 하나입니다. 인구 감소로 인해 지방대학의 변화가 필요 불가결한 만큼, 어떻게하면 학교와 지역 모두를 살릴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 생각하고 있던 차에, 시의 적절한 글과 고견 나눠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어지는 글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박 스테파노 / 도시 재생이든 산업 전환이든 사실 대학의 영향권 없이 가능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일단 다 서울로 몰빵하자는 전략도 2017~2021년 부동산 폭등 같은 상황을 고려컨대 지속가능하지 않구요. 물론 추후에는 대학에 대한 이야기를 좀 더 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부자줄스 / 감사합니다~
양승훈님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다음 글 기대하겠습니다. ^^
지역 균형 복원의 중심에 "대학"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늘 있었습니다. 대학이 곧 도시가 되는 유럽이 아니더라도 일본의 고른대학분포, 미국의 주립대학의 위용은 늘 유의미한 것 같더군요. 사실 서울에 과밀집된 것이 문제라는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방 의료가 필요없다는 주장에 이어 지방 대학도 쓸모 없다는 이야기가 과감히 나오는 배경이 궁금할 뿐인 요즘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지역 균형 복원의 중심에 "대학"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늘 있었습니다. 대학이 곧 도시가 되는 유럽이 아니더라도 일본의 고른대학분포, 미국의 주립대학의 위용은 늘 유의미한 것 같더군요. 사실 서울에 과밀집된 것이 문제라는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방 의료가 필요없다는 주장에 이어 지방 대학도 쓸모 없다는 이야기가 과감히 나오는 배경이 궁금할 뿐인 요즘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대학 교육에서 대학 스스로 새시대에 맞게 잘 변하고 혁신으로 경쟁력 갖춘 대학으로 부단히 노력하며 거듭나고 있는지 돌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박 스테파노 / 도시 재생이든 산업 전환이든 사실 대학의 영향권 없이 가능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일단 다 서울로 몰빵하자는 전략도 2017~2021년 부동산 폭등 같은 상황을 고려컨대 지속가능하지 않구요. 물론 추후에는 대학에 대한 이야기를 좀 더 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부자줄스 / 감사합니다~
수도권 밖의 대학교는 자연소멸하게 냅둬야 한다느니, 아예 확 없애버려야 한다느니 하시는 분들은 대개 평생 서울 수도권 밖에서는 ‘생활’이란 걸 해본 적이 없으신 분들이죠. 글을 읽고 나니 문득 그런 분들이 하나둘씩 떠오르네요.(저희 아버님까지..ㅎㅎ)
그러고 보면 고등학교 3년이지만, 수도권 밖에서 기숙사 생활한 게 그나마 이런 말씀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지방 대학의 소멸은 단순히 학교 하나가 없어지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전체의 존망이 결정된다는 관점에서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문제중에 하나입니다. 인구 감소로 인해 지방대학의 변화가 필요 불가결한 만큼, 어떻게하면 학교와 지역 모두를 살릴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 생각하고 있던 차에, 시의 적절한 글과 고견 나눠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어지는 글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양승훈님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다음 글 기대하겠습니다. ^^
잘 읽었습니다 ㅡ 저도 지방대 이슈를 계속 스터디하고 글도 쓰고 있어요 ㅎㅎ
잘 읽었습니다. 생각이 많아집니다.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입시 설명회를 한다면 그들의 주요 관심사인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고민들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지역 인재 채용을 할당하거나 정부에서 대학과 연계된 모범사례도 발굴이 가능할 것입니다. 기초과학인 연구 분야도 꼭 서울,수도권에 있을 필요는 없고 대학 내에 있어도 좋겠네요. 이어지는 글 기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