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글로리’ 문동은이 믿는 최후의 무기 (정주식)
2023/02/02
※ 이 글은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에 대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더 글로리’ 시즌1이 종영됐다. 다시 한번 피해자들의 폭로가 쏟아져 나왔고 학교폭력에 대한 공분이 일어났다. 김은숙 작가는 “엄만 내가 맞고 오는 맞고 오는 게 좋아 때리고 오는 게 좋아?”라는 딸의 질문을 듣고 단숨에 스토리를 써내려갔다고 했다. 작가 본인의 가상 복수극인 셈이다. 복수의 절정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시즌이 종영되자 시청자들은 아쉬워하며 더욱 강력한 복수를 주문했다.
만약 사람들에게 ‘사적 복수를 허용해야 하는가?’라고 건조하게 묻는다면 시원한 답이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원한을 청산할 권리를 정부에 일임한 사회에 살고 있으니까. 현대사회에서 사적 복수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통쾌한 사적 복수를 갈망한다. 드라마에서 문동은(송혜교 분)과 조력자들 사이에 어색한 관계를 묶어주는 건 서로의 복수심이다. 가정폭력에 시달리는 강현남(염혜란 분)은 문동은에게 남편의 살해를 부탁하고 아버지가 피살당한 주여정(이도현 분)은 법의 처벌을 받고 있는 가해자를 살해할 그날을 꿈꾼다. 복수라는 감정은 안으로는 문동은과 조력자들을, 밖으로는 작가와 시청자를 연결하는 강력한 매개다.
복수의 특성 중 하나는 자해성이다. 원한을 가진 사람들은 복수의 이득이 전혀 예상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오히려 치명적 손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복수를 꿈꾼다. 문동은이 가해자들을 모두 단죄한다 해도 몸의 상처와 지나간 세월은 돌이킬 수 없다. 그리고 오랜 세월을 감옥에서 보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주인공은 공멸적인 복수를 꿈꾸고 시청자들은 그 감정을 타당한 것으로 여긴다. 인간은 왜 이렇게 어리석은 일에 집착하는 걸까? 아래는 ...
강남규(<지금은 없는 시민> 저자), 박권일(<한국의 능력주의> 저자), 신혜림(씨리얼 PD), 이재훈(한겨레신문사 기자), 장혜영(국회의원), 정주식(전 직썰 편집장)이 모여 만든 토론 모임입니다. 협업으로서의 토론을 지향합니다. 칼럼도 씁니다. 온갖 얘기를 합니다.
다수의 선한 사람들은 그 자체만으로 세상을 더 좋게 바꾸지 못합니다. 그들이 어떤 형태의 구체적 영향력과 권력을 가지지 못하는 한....개인적 삶에서든 정치판 같은 공적인 삶에서든
.... 그래서 피해자가 속한 미약한 힘의 세계에서 강한 힘을 가진 가해자를 끌어내리고 되갚음을 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깨닫은 주인공에게 사적이고 치밀한 복수 전략은 십여년이 넘는 세월이 필요하고 그 동안 복수심은 '나의 힘'이 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약자였던 피해자가 자신을 더욱 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그리고 치욕을 씻기 위해서는 ‘복수심’만큼이나 강한 동력도 없습니다. 그러나 그 분노는 자신의 삶에 비극을 다시 초래하는 경우가 많죠.. 박찬욱의 <친절한 금자씨>가 보여주었던 '연대'는 왜 대부분 여성들이어야 했는가. 문동은의 연대도 역시 왜 '여성들'인가에 대한 의문이 마음에 남습니다.
얼룩진 상처는 한 사람이 살아가는데
항상 눈물짓게 하죠.
작은 행복마저 슬프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 상처로 부정적이게된 마음은 세상을 살아가는데
한없이 독이되고 그 독은 상처를 준 사람에게 화살을 쏘죠.
그 상처로 인해 한평생 혼자만의 지옥에서 살아가는 겁니다.
연진이에게 그 큰 얼룩이 한낫. 한낫. 작은 기억이라는 것이
그 큰 상처를 그 큰 지옥을 더 크게 만드는 원동력이됩니다.
지옥이 지옥을 만들고 상처가 상처를 만들죠.
그래서, 어떠한 폭력도 어떠한 폭언도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최성욱 자연상태의 욕구를 슬기롭게 제어하여 공존의 질서를 만들어 온 것이 문명이죠. 욕구의 정체를 정확히 이해한다면 더 나은 대응을 할 수 있을 겁니다.
지인 중에 한명이 로마의 성고요인을 인간의 욕구에 충실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인간 본연의 욕구란 뭔지 생각하게 하네요 함무라비도 그렇고
@나에게질문한다 말씀처럼 작가의 의도나 드라마 스토리보다는 그걸 바라보는 우리의 모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번 작품은 정말 시선을 진지하게 두고 양쪽 입장에서 시점을 바꿔보며 2번, 3번 감상해보았습니다. 앞으로의 이야기 전개도 궁금하지만 이런 내용에 열광하고 분노하고 같이 공유하는 우리 모습에서 한번에 많은 감정이 교차하더군요 우리 사회가 정말 변화하고 더 나아지기를 바래봅니다. 너무 잘 읽었습니다.
이번 작품은 정말 시선을 진지하게 두고 양쪽 입장에서 시점을 바꿔보며 2번, 3번 감상해보았습니다. 앞으로의 이야기 전개도 궁금하지만 이런 내용에 열광하고 분노하고 같이 공유하는 우리 모습에서 한번에 많은 감정이 교차하더군요 우리 사회가 정말 변화하고 더 나아지기를 바래봅니다. 너무 잘 읽었습니다.
지인 중에 한명이 로마의 성고요인을 인간의 욕구에 충실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인간 본연의 욕구란 뭔지 생각하게 하네요 함무라비도 그렇고
@나에게질문한다 말씀처럼 작가의 의도나 드라마 스토리보다는 그걸 바라보는 우리의 모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