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은 네트워크에 깃들고, 삶은 네트워크를 따라 흐른다.

서툰댄서
서툰댄서 · 네트워크를 꿈꾸는 자발적 실업자
2022/05/11
지난 글(암묵지를 갖게 된 인공지능)에서 저는 인공지능의 원리에서 근본적인 부분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을 저의 피상적인 지식에 기반해서 설명해 보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해 보려고 합니다. 그러려고 하는 이유는, 제가 생각하기에 인공지능이 작동하는 방식은 우리 뇌 안에서 일어나는 일과 닮아 있기 때문입니다. 
제 생각에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의 뇌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사람마다 다양하게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의) 저는 컴퓨터공학에도, 뇌과학에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제가 하는 이야기들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철학자가 아니지만 노자와 장자 같은 책의 이야기를 좋아하는 것처럼, 저는 이런 이야기들을 좋아하고 제 나름의 방식으로 이해한 것을 얘기하고 싶어 합니다.
 아래 글들을 읽으신 다음 호기심이 생기는 분들은 웹 사이트에서 검색해 보시면 상세하면서도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알려 주는 콘텐츠들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예: http://matrix.skku.ac.kr/math4ai-intro/W13/)

아래 그림에서, 인공지능의 딥러닝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기반합니다. 물론 이 네트워크는 실제로는 그림이 아니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공식과 변수들로 구성됩니다.
출처 : http://computing.or.kr/14569/deep-learning딥러닝
이 네트워크를 이루는 각 선들에는 숫자가 설정되어 있고, 원들에는 함수, 즉 계산식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원들은 입력, 즉 왼쪽에서 들어오는 값들을 자신이 가진 연산식에 적용해 값을 얻은 다음 그 값을 오른쪽으로 나가는 선들로 내 보냅니다. 
예를 들어, 들어오는 입력값을 더해서 일정 값을 넘으면 1을 출력하고, 넘지 않으면 0을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출력은 여러 개의 선들을 통해 다른 원들로 전해지는데, 선...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궁금하고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배우고자 노력하고, 깨달아지는 것이 있으면 공유하고 공감을 구하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805
팔로워 415
팔로잉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