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추는 여자는 위험하다 - '자유부인' 논란
2023/11/21
중공군 50만 명보다 더 무서운 소설, 『자유부인』
“S데리아 밑에서는 육십여 명의 남녀들이 아름다운 고기 떼처럼 춤을 추며 돌아가고 있었다. 인생의 향락과 정열의 발산. 관능적인 체취에 정신이 현혹해 오도록 대담무쌍한 애욕의 분방.” - 정비석의 소설 『자유부인』(1954) 중에서
한국전쟁 직후 한국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를 막론하고 매우 혼란스럽고 어지러웠다. 미국의 영향력에 의존한 이승만 정권은 전후의 난맥을 수습하기는커녕 온갖 부정부패를 주도적으로 일삼으며 국민들을 기만하고 있었다. 개인들 역시 재건에 대한 건강한 희망을 갖기보다, 불법과 비리에 기대 한 몫을 보려는 기회주의에 편승하려는 경우가 많았다.
극심한 사회적 혼란의 양상 와중에 1954년 『서울신문』에 연재된 정비석의 소설 『자유부인』은 당시의 부도덕한 세태를 대학교수 부인의 일탈을 중심으로 묘사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자유부인』 연재 당시 서울대 법대교수 황산덕은 “귀하의 작품을 읽어본 적이 없다”면서도 “대학교수의 부인들은 봉건적 가정주부의 모습을 가장 많이 유지”하고 있으니 “대학교수를 사회적으로 모욕하는 무의미한 소설만은 쓰지 말아”(「자유부인 작가에게 드리는 말」, 『대학신문』, 1954년 3월 1일)달라고 비난한다.
이에 작가 정비석은 “읽어보지도 않고 노발대발하면서 『자유부인』을 중단하라는 호령을 내리셨으니 이 무슨 탈선적 발언”이냐며 화를 낸다. “가슴에 손을 대고 양심껏 반성해보라는 귀하의 말씀은 고스란히 그대로 귀하에게 반환“한다며 (「탈선적 시비를 박함-자유부인 비난문을 읽고 황산덕 교수에게 드리는 말」, 『서울신...
@최서우 자유부인도 잘 어울렸을 듯 하십니다. ㅎㅎ 맞습니다. 억압하고 억누르면 반동이 더 커지기 마련이죠.
제가 저 시절에 태어났다면 아마도 춤바람 난 자유부인이 되지않았을까 싶습니다. 억압할수록 더 더 더 커지는 파괴적이되는것 같습니다!
@나영 자유롭지 않았던 자유부인의 모습이야말로 당시 여성의 실체였습니다. 지금도 마차가지이구요. 감사합니다.
춤이야 말로 욕망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제시처였군요. 자유부인에 대해 오해하던 내용이 생각보다 많네요. 잘 읽었습니다.
@홍지현 여성의 도전과 정당한 요청을 위협으로 느끼는 사회의 잠재된 불안을 살펴봐야겠죠. 오랫동안 당연하게 여겨지던 것들이 바뀌기 쉽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충돌과 갈등이라고 생각합니다. 급진성과 반동도 그런 맥락으로 이해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ari 네. 원작 소설가도 꽤 유명한 분입니다. 지금 우리가 느끼기에는 영화가 더 파괴적이기는 하죠.
@캘리뽀냐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가끔 어린 시절의 문화 덕에 스며든 나의 편견이나 고정관념과 마주하게 되면 깜짝깜짝 놀랍니다. 보통 '여자가'로 시작되는 생각인데, 제가 정말 싫어하는 생각인데도 툭 튀어나와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래도 제 어린 시절보단 나아졌으니 계속 좋아지겠죠?
핀란드어는 3인칭이 그와 그녀로 나눠져있지 않고 hän이라는 중성적인 단어 하나입니다. 그래서 아기들이 어렸을 때 남녀 구분을 덜 한다는 연구자료를 어디선가 읽은 적이 있습니다. 게다가 국기가 흰색과 파란색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런지 여아들이 파란색에 대한 거부감이 없습니다. 남아는 파란색 여아는 분홍색이라는 공식이 조금 느슨한 사회입니다. 물론 여아들은 분홍색을 더 많이 입긴 하지만, 그래도 파란색에 거부감이 없다는 게 전 좋습니다.
영화만 있는 줄 알았는데, 책이 원작이군요. 정비석. 작가 이름도 특이하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첩질은 미화되고 여성의 욕망은 짓눌린 역사 ㅎ
제가 저 시절에 태어났다면 아마도 춤바람 난 자유부인이 되지않았을까 싶습니다. 억압할수록 더 더 더 커지는 파괴적이되는것 같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첩질은 미화되고 여성의 욕망은 짓눌린 역사 ㅎ
@최서우 자유부인도 잘 어울렸을 듯 하십니다. ㅎㅎ 맞습니다. 억압하고 억누르면 반동이 더 커지기 마련이죠.
춤이야 말로 욕망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제시처였군요. 자유부인에 대해 오해하던 내용이 생각보다 많네요. 잘 읽었습니다.
@홍지현 여성의 도전과 정당한 요청을 위협으로 느끼는 사회의 잠재된 불안을 살펴봐야겠죠. 오랫동안 당연하게 여겨지던 것들이 바뀌기 쉽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충돌과 갈등이라고 생각합니다. 급진성과 반동도 그런 맥락으로 이해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끔 어린 시절의 문화 덕에 스며든 나의 편견이나 고정관념과 마주하게 되면 깜짝깜짝 놀랍니다. 보통 '여자가'로 시작되는 생각인데, 제가 정말 싫어하는 생각인데도 툭 튀어나와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래도 제 어린 시절보단 나아졌으니 계속 좋아지겠죠?
핀란드어는 3인칭이 그와 그녀로 나눠져있지 않고 hän이라는 중성적인 단어 하나입니다. 그래서 아기들이 어렸을 때 남녀 구분을 덜 한다는 연구자료를 어디선가 읽은 적이 있습니다. 게다가 국기가 흰색과 파란색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런지 여아들이 파란색에 대한 거부감이 없습니다. 남아는 파란색 여아는 분홍색이라는 공식이 조금 느슨한 사회입니다. 물론 여아들은 분홍색을 더 많이 입긴 하지만, 그래도 파란색에 거부감이 없다는 게 전 좋습니다.
영화만 있는 줄 알았는데, 책이 원작이군요. 정비석. 작가 이름도 특이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