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ehokang
현대 자본주의 은행(금융)의 역할 - 06 R.I.P. 통화 승수
현대 자본주의 은행(금융)의 역할 - 05 은행은 지급준비금을 대출하는가?
현대 자본주의 은행(금융)의 역할 - 04 크루그먼(Krugman)의 은행 신용창조 설명
현대 자본주의 은행(금융)의 역할 - 04 크루그먼(Krugman)의 은행 신용창조 설명
폴 크루그먼 교수는 그의 저작 경제학 기초(Essentials of Economics, 3rd edition)의 16장에서 신용창조를 설명합니다. 특이한 것은 크루그먼의 설명에서 은행의 모든 대출은 현금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가정한다는 점입니다. 다음은 사일러스(Silas)라는 고객이 은행(First Street Bank)에 침대 밑에 숨겨둔 현금 1000달러를 예금하고 은행이 마야(Maya)에게 900달러를 현금으로 대출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사일러스가 은행에 예금한 현금은 그대로 은행의 지급준비금 증가와 예금 증가로 나타나며, 지급준비율을 10%르 가정하면 First Street Bank는 마야에게 최대 900달러를 현금으로 대출합니다. 지급준비금을 현금으로 바꾸고 그것을 대출로 마야에게 지급하므로 First Street Bank의 대차대조표 자산은 구성만 변합니다(지급준비금→대출). 부채항목의 예금에 변화가 없는 것은 현금으로 대출했기 때문입니다.
한편 마야는 대...
현대 자본주의 은행(금융)의 역할 - 03 미쉬킨(Mishkin)의 은행 신용창조 설명
현대 자본주의 은행(금융)의 역할 - 03 미쉬킨(Mishkin)의 은행 신용창조 설명
미쉬킨(Mishkin)은 화폐금융론의 대가입니다. 대학에서 화폐 금융론을 배우면 십중팔구 미쉬키 교수의 역작인 The Economics of Money, Banking, and Financial Markets(EMBF)을 교과서로 삼아 배우게 됩니다. 여기서는 EMBF 11번째 판을 기준으로 미쉬킨 교수의 신용창조론을 살펴 봅니다.
EMBF pp. 323-329에는 미쉬킨 교수의 신용창조론이 상세히 나타나 있습니다. 미쉬킨은 제일 처음에 연준이 First National Bank(FNB)가 보유한 증권을 매입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연준이 은행으로부터 증권을 매입하면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자산에서는 증권이 부채에서는 지급준비금이 늘어납니다.
FNB가 연준에게 증권 매각을 하기 전에 초과지급준비금은 0이라고 가정해 봅니다. 연준의 증권매입으로 그 다음 FNB는 늘어난 지급준비금(+100)에 대응해서 차입자 1에게 대출을 합니다. 여기서 대응해서라는 표현을 주목해야 합니다...
연준 데이터 사용법 04 - 은행의 대차대조표
연준 데이터 사용법 03 - 연준의 대차대조표
현대 자본주의 은행(금융)의 역할 - 02 사전적 금융과 사후적 금융
현대 자본주의 은행(금융)의 역할 - 01 은행과 새마을금고의 차이
연준 데이터 사용법 02 - CPI와 PCE
연준 데이터 사용법 01 - 인플레이션 데이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