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의 질병'
2023/03/09
조카와 삼촌
희끗희끗한 머리카락과 눈가 주름은 아무리 노력해도 숨기기 어려웠다. 가르마를 타서 왼쪽으로 단정하게 넘긴 머리카락, 잘 손질한 콧수염과 턱수염은 20년 전 혁명에 나설 때와 차이가 없었으나 세월의 흐름은 어쩔 수 없었다. 그래도 예순을 넘긴 나이에도 그는 황제다운 풍채를 잃지 않았다. 군복을 입고 가슴에 훈장을 달고 화려하게 장식한 검을 허리에 차자 '훌륭한 장군'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는 거울에 비친 모습이 썩 마음에 들지 않았다. 전장에 잔뼈가 굵은 '훌륭한 장군'처럼 보였으나 그 이상을 원했기 때문이다. 그는 '위대한 장군'처럼 보이고 싶었다.
그러면서 삼촌을 떠올렸다. 마지막으로 삼촌을 뵌 후, 벌써 6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으나 당장 어제 본 것처럼 또렸했다. 탈모를 시작해서 넓어진 이마, 날카로우나 신경질적인 눈매, 얇은 입술, 작달막한 키와 배가 약간 나온 왜소한 체형, 삼촌은 황제와 군인 모두에 어울리지 않는 외모를 지녔다. 그러나 삼촌에게는 모두를 압도하는 불가사의한 힘이 있었다. 포탄이 터지고 총알이 밧발치는 전장에서나 점잖빼는 귀족으로 가득한 궁정에서나 삼촌은 모두를 압도했다. 삼촌이 강렬한 눈빛으로 바라보며 입술에 굳게 다물면 누구도 선뜻 침묵을 깨뜨리지 못했다. '해방자이며 정복자', '교황이 든 왕관을 빼앗아 스스로 대관한 남자', 적들조차 삼촌을 두려워하며 경외했다. 그도 삼촌처럼 '공화국의 우두머리'에 올랐다가 스스로 쿠데타를 일으켜 황제가 되었으나 모든 유럽인이 '황제'란 단어를 들으면 떠올리는 '나폴레옹'은 그가 아니라 삼촌이다.
그래서 삼촌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영국과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동맹국으로 크림전쟁에 참전하여 러시아 제국을 물리쳤다. 또 샤르데나 왕국을 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물리쳐 이탈리아의 통일일 이끌었다. 그러나 그런 소소한 승리로는 삼촌을 따라잡을 수 없었다. '위대한 나폴레옹'이란 말에 삼촌인 나폴레옹 1세 대신 나폴레옹 3세를 떠올리게 만들려면 더 큰 영...
마치 시간여행을 하는 것 같았습니다. "19세기 후반까지는 상류층조차 위생 상태가 그랬다"고 하셨네요. 그 당시엔 황제인 나폴레옹 3세마저도 "방광결석으로 고통받을 정도"였다니, 상상만 해도 끔찍하군요. 그러나 지금 우리는 그러한 시절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위생과 의학이 발전했죠.
손씻기, 목욕, 치아관리 같은 기본적인 수칙들도 나이팅게일 이후에 많이 보편화되었다고 들었어요. 수술이나 치료도 중요하지만 위생과 간호, 예방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앞으로도 미래의 의학 발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군요. 멋진 글 감사합니다!
장문의 글 속에서 정성이 엄청 나네요
잘 읽었습니다
새로운 기술은 공포와 과대평가를 동시에 몰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 듯합니다. 의료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AI는 그런 측면이 있는 듯합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당! 그런데 권력자들의 질병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면 인생 참 무상하다 뭐 그런 생각도 들어요. 현재에 만족하며 즐겁게 사는게 최고같기도 하고요.
비대면은 질병 분야에 따라 적절한 분야가 따로 있을 수 있겠어요. 아무리 생각해도 의사 AI는 아직 아닌 것 같으네요?
나폴레옹 1세와 나폴레옹 3세, 모두 아주 건강한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특히 나폴레옹 1세는 기면증(narcolepsy)가 있었고 다른 문제도 많아 워털루 전투에서 승리했어도 제대로 통치할 수 있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대면진료는 유용한 부분도 있습니다만 직접 환자를 봐야 알 수 있는 부분도 많습니다 ^^;;
자크 루이 다비드의 그림에 등장하는 나폴레옹을 생각하면 믿을 수 없는, 믿고 싶지 않은 이야기네요. 죽음과 노쇠를 피해 갈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예전에 미술관에 간 의학자라는 책에서 초상화를 바탕으로 나폴레옹의 지병을 이야기한 부분을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어요. 사람이 아니라 그림에 나오는 단서들로 질병을 추정했다는 점이 흥미롭더라고요. 결국 진료라는 것도 사람에 대한 관심, 관찰이겠구나 싶었어요.
이 정도 능력자들이 많다면 비대면진료도 믿을만하겠다는 좀 이상한 결론까지 도달했...
나폴레옹 1세와 나폴레옹 3세, 모두 아주 건강한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특히 나폴레옹 1세는 기면증(narcolepsy)가 있었고 다른 문제도 많아 워털루 전투에서 승리했어도 제대로 통치할 수 있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대면진료는 유용한 부분도 있습니다만 직접 환자를 봐야 알 수 있는 부분도 많습니다 ^^;;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당! 그런데 권력자들의 질병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면 인생 참 무상하다 뭐 그런 생각도 들어요. 현재에 만족하며 즐겁게 사는게 최고같기도 하고요.
비대면은 질병 분야에 따라 적절한 분야가 따로 있을 수 있겠어요. 아무리 생각해도 의사 AI는 아직 아닌 것 같으네요?
자크 루이 다비드의 그림에 등장하는 나폴레옹을 생각하면 믿을 수 없는, 믿고 싶지 않은 이야기네요. 죽음과 노쇠를 피해 갈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예전에 미술관에 간 의학자라는 책에서 초상화를 바탕으로 나폴레옹의 지병을 이야기한 부분을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어요. 사람이 아니라 그림에 나오는 단서들로 질병을 추정했다는 점이 흥미롭더라고요. 결국 진료라는 것도 사람에 대한 관심, 관찰이겠구나 싶었어요.
이 정도 능력자들이 많다면 비대면진료도 믿을만하겠다는 좀 이상한 결론까지 도달했...
마치 시간여행을 하는 것 같았습니다. "19세기 후반까지는 상류층조차 위생 상태가 그랬다"고 하셨네요. 그 당시엔 황제인 나폴레옹 3세마저도 "방광결석으로 고통받을 정도"였다니, 상상만 해도 끔찍하군요. 그러나 지금 우리는 그러한 시절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위생과 의학이 발전했죠.
손씻기, 목욕, 치아관리 같은 기본적인 수칙들도 나이팅게일 이후에 많이 보편화되었다고 들었어요. 수술이나 치료도 중요하지만 위생과 간호, 예방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앞으로도 미래의 의학 발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군요. 멋진 글 감사합니다!
장문의 글 속에서 정성이 엄청 나네요
잘 읽었습니다
새로운 기술은 공포와 과대평가를 동시에 몰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 듯합니다. 의료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AI는 그런 측면이 있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