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낙새와 똥물-동일방직 여직공 복직 투쟁(1976)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3/01/09
여성 노조위원장을 선출하려는 대의원회를 열다가 똥물을 뒤집어 쓴 동일방직 여직공들의 모습. 출처-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천연기념물 크낙새의 죽음
   
크낙새는 한국에 자생했던 딱따구리과에 속하는 새의 일종이다. 만화 <딱따구리>를 알고 있는 이들이라면 크낙새의 외형과 특징 따위를 대략 유추할 수 있다. 크낙새는 세계적 희귀종이어서 1970년대 초 경기도 양주의 광릉 숲에서 발견된 직후 천연기념물 197호 보호종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개체수가 너무 적은 관계로 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해, 크낙새가 살고 있는 서식지 부근 농지에서는 농약 사용도 중지할 정도였다. 이렇듯 크낙새는 민관에 의해 철저하게 보호됐지만, 발견 이후 간간히 목격되다 2008년 이후 그 자취를 완전히 감추었다. 안타까운 일이다. 
흔히 '딱따구리'로 불리는 크낙새의 모습. 출처-중앙일보
   
1977년부터 1978년까지 1년여 동안 『조선일보』, 『동아일보』를 비롯한 우리나라 최대 일간지들은 크낙새 소식을 종종 보도했다. 멸종 위기종에 대한 미디어의 관심은 당연한 의무이며 격려할만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던 차에 1977년 3월 14일에는 보호 관찰 대상이던 크낙새 한 마리가 사라졌다는 소식이 『동아일보』 사회면 톱기사로 대서특필됐다.

광릉숲에 사는 천연기념물 보호종인 크낙새 한 마리가 담비에게 잡아먹혔다는 기사 (「강식당한 약육크낙새」, 『동아일보』, 1977년 3월 14일)
   
이유를 추적해보니 밀렵이나 농약에 오염된 먹이를 먹어 죽은 게 아니라 포식자 야생 동물인 담비에게 크낙새가 잡아먹힌 그야말로 인간의 개입이 없는 생태계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난 일이었다. 몇 마리 남아있지 않은 크낙새가 한 마리 사라진 것은 통탄할 일이지만, 야생 담비의 먹이 활동도...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9
팔로워 2.2K
팔로잉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