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니발, 알프스를 넘다 (III) - 어디로 넘었는가? (1)

이영록
이영록 · Dilettante in life
2023/01/08
  한니발, 알프스를 넘다 (I) - 폴리비오스(Polybios)의 '역사(Historia)'한니발, 알프스를 넘다 (II) - 리비우스(Livius)의 '로마사(Ab urbe condita)'에서 이어집니다.

===============

  위 두 중요 원전을 보셨지만, 어디서도 한니발이 넘은 고개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리비우스는 당시에 벌써 여러 가지 설이 있었다고 확인해 줍니다.

  나는 그가 넘은 알프스의 범위에 더욱 놀라고, 페니누스(Poeninus)를 –그 이름이 알프스의 능선에 붙었다 – 지났다고 믿는 경향에도 놀란다. 켈리우스(Coelius)는 크레모(Cremone) 산 능선을 지나갔으며, 두 길 모두 한니발을 [실제 만난] 타우리니족이 아니라 살라소스(Salassos) 산을 통해 리비키(Libici) 족으로 데려갔을 것이다. 같은 시간에 그들이 갈리아로 통하는 길을 개방했을 가능성도 별로 없다; 페니누스로 길을 인도하는 사람은 분명히 반(semi)-게르만 부족이 [한니발을] 차단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이 논의가 누군가에게 의미가 있다면) 헤르쿨레스(Hercules)는 이 능선의 주민인 세두노베라그리 족(Sedunoveragri)이 카르타고인이 지나갔다는 것에서 이 산들이 이렇게 이름이 붙었다고 안다고 말하나, 실은 그 산 사람들이 페니누스(Poeninus)로 이름한 것은 가장 높은 정상에 사는 신의 이름을 딴 것이다. [38절에서]

  리비우스가 저술하던 당시는 BC 30년대기 때문에, 이미 BC 218년에서 190년 가까이 지난 후였습니다. 폴리비우스도 적어도 50년은 지난 상태였으니, 이 때에는 이미 정확한 정보가 잊혀졌을 만합니다.

  문헌에서 비정하기 힘들다면, 고고학적으로 단서를 발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알프스를 지나면서 상당한 수의 카르타고 병사들과 코끼리가 목숨을 잃었으니, 유해가 집중된 곳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운 좋으면 외치(Ötzi) 정도로 의복과 장비가 잘 보존되었을 수도 있겠지요. 그런데 설령 나...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漁夫란 nick을 오래 써 온 듣보잡입니다. 직업은 공돌이지만, 인터넷에 적는 글은 직업 얘기가 거의 없고, 그러기도 싫습니다.
63
팔로워 292
팔로잉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