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09
앞 편에 이어집니다. 한니발, 알프스를 넘다 (I) - 폴리비오스(Polybios)의 '역사(Historia)'와 한니발, 알프스를 넘다 (II) - 리비우스(Livius)의 '로마사(Ab urbe condita)'가 참고입니다.
========================
가장 첫째 단서는 폴리비우스 42절의 - 앞으로는 P42처럼 표시하겠습니다 - "바다에서 약 4일 거리에 있는 시냇물이 하나뿐인 곳을 건너 기슭을 건너기 시작했다."입니다. 당연히, 하루에 고대 군대가 갈 수 있는 거리가 문제가 됩니다. 이것도 논의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겠지만(example), 보통 로마 군단의 평상시 행군 속도는 하루 20km가 표준이었다고 합니다. 반면 코끼리를 수십 마리 포함한 카르타고군은 조금 더 느렸을 수도 있죠. P50에서는 "이세르 강둑을 따라 800 스타디아(≒148km) 거리를 열흘 동안 행군"이란 말이 나옵니다. 조금 뒤에 이세르 강 주변의 지형을 볼 텐데, 비교적 평탄하고, 알로브로게스 족 병사들이 보호했기 때문에 수월하게 갈 수 있는 환경이었습니다. 이 환경에서 평균적으로 하루에 15km를 행군했다는 말이지요. 따라서 하루에 15~20km 정도를 표준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바다를 기점으로 론 강을 따라 약 60~80km 정도 떨어진 곳이 후보입니다.
바다의 위치를 현 해안선을 기점으로 할 수 있다면 쉽겠지만, 2300년이 흐르는 동안 론 강의 퇴적물로 어구의 삼각주가 확장되었기 때문에, 조금 안쪽으로 잡아야 합니다. 구글 지도에서 보듯이 삼각주의 상당 부분은 아직도 습지에 가깝기 때문에 적당히 줄여 잡으면, 아래 지도처럼 표시할 수 있겠지요.
▼ 지도 1. 바다에서 도하점까지; '4일 거리'(60~80km) 론 강 서쪽을 따라 경로를 잡으면, 60km는 거의 정확히 아비뇽(Avignon), 80km는 오랑쥬(Orange) 서쪽입니다. 구글 지도는 경로도 조정할 수 있을뿐 아니라, 높이 차이와 거리를 알려 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합니다.
다음에는 도하점을 찾아야 합니다. 첫째는 P42의 "바다에서 약 4일 거리에 있는 시냇물이 하나뿐인 곳을 건너 기슭을 건너기 시작했다."와, "[기병이 건너 우회하기 위해] 그들은 강둑을 200 스타디아(=약 37km) 거슬러가 개울이 갈라지며 섬을 이루는 곳에서 멈추었다. "입니다. 그리고 강 건너편에 볼카이(Volcae) 족 상당수가 진을 치고 기다릴 정도로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요약하여, 도하점의 조건은
========================
가장 첫째 단서는 폴리비우스 42절의 - 앞으로는 P42처럼 표시하겠습니다 - "바다에서 약 4일 거리에 있는 시냇물이 하나뿐인 곳을 건너 기슭을 건너기 시작했다."입니다. 당연히, 하루에 고대 군대가 갈 수 있는 거리가 문제가 됩니다. 이것도 논의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겠지만(example), 보통 로마 군단의 평상시 행군 속도는 하루 20km가 표준이었다고 합니다. 반면 코끼리를 수십 마리 포함한 카르타고군은 조금 더 느렸을 수도 있죠. P50에서는 "이세르 강둑을 따라 800 스타디아(≒148km) 거리를 열흘 동안 행군"이란 말이 나옵니다. 조금 뒤에 이세르 강 주변의 지형을 볼 텐데, 비교적 평탄하고, 알로브로게스 족 병사들이 보호했기 때문에 수월하게 갈 수 있는 환경이었습니다. 이 환경에서 평균적으로 하루에 15km를 행군했다는 말이지요. 따라서 하루에 15~20km 정도를 표준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바다를 기점으로 론 강을 따라 약 60~80km 정도 떨어진 곳이 후보입니다.
바다의 위치를 현 해안선을 기점으로 할 수 있다면 쉽겠지만, 2300년이 흐르는 동안 론 강의 퇴적물로 어구의 삼각주가 확장되었기 때문에, 조금 안쪽으로 잡아야 합니다. 구글 지도에서 보듯이 삼각주의 상당 부분은 아직도 습지에 가깝기 때문에 적당히 줄여 잡으면, 아래 지도처럼 표시할 수 있겠지요.
▼ 지도 1. 바다에서 도하점까지; '4일 거리'(60~80km)
다음에는 도하점을 찾아야 합니다. 첫째는 P42의 "바다에서 약 4일 거리에 있는 시냇물이 하나뿐인 곳을 건너 기슭을 건너기 시작했다."와, "[기병이 건너 우회하기 위해] 그들은 강둑을 200 스타디아(=약 37km) 거슬러가 개울이 갈라지며 섬을 이루는 곳에서 멈추었다. "입니다. 그리고 강 건너편에 볼카이(Volcae) 족 상당수가 진을 치고 기다릴 정도로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요약하여, 도하점의 조건은
- 론 강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로 흐른다.
- 건너편에 수 만 명이 넉넉히 진을 치고 기다릴 정도로 공간이 있어야 한다.
- 37km 정도 상류에 강이 갈라져서 가운데에 섬이 있다.
아비뇽-오랑쥬 부근에서 강이 하나로 합쳐지고, 건너편에 넉넉한 공간이 있는 곳은 아래 지도 2의 녹색 화살표 1~3을 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상류로 올라가면서 강이 합쳐지는 곳은 붉은 색 점선 타원으로 표시한 1~3입니다.
▼ 지도 2. 도하점 조건; 강의 합류점
다음에 나오는 지명 묘사는, P49에서 나오는 다음 구절입니다.
한니발은 4일 동안 도하점에서 꾸준히 행군하면서 인구가 많고 곡물을 많이 생산하는 지역인 ‘섬’이라 불리는 곳에 도착했다. 그 지역의 양쪽을 따라 흐르는 론 강과 이세르(Isère) 강이 그 지점에서 만나기 때문이다. [이 섬은] 이집트 삼각주와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다; 나일 삼각주는 나일강의 두 지류가 합쳐지는 바다가 기준선이지만, 반면에 여기서는 기준선이 사람들이 거의 오르거나 지나가기 거의 불가능하다고들 하는 산맥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이 다르다.
아래 지도 3은 도하점으로 추측되는 곳에서 론 강과 이세르 강의 합류점 부근을 포함합니다.
▼ 지도 3. 도하 이후 4일간의 행군
한 가지 문제라면 '섬'의 위치입니다. 위의 인용 둘째 문장을 다시 적으면
[이 섬은] 이집트 삼각주와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다; 나일 삼각주는 나일강의 두 지류가 합쳐지는 바다가 기준선이지만, 반면에 여기서는 기준선이 사람들이 거의 오르거나 지나가기 거의 불가능하다고들 하는 산맥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이 다르다.
위 지도 3을 보시면 이 설명이 모순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설명에 맞는 섬의 지역은 {1}인데, 나머지 한 변이 알프스 산맥이 아니고, 강변의 평지 면적도 {2}보다 훨씬 좁습니다. 이 때문에 '섬'은 론 강과 이제르 강, 드롬 강 및 동쪽에 알프스 산맥 기슭으로 둘러싸인 {2}가 더 적합하겠지요.
다음 문제는 알프스로 향할 때 리비우스가 말한 드롬 강과 폴리비오스가 말한 이제르 강 중 어느 편에서 출발했는지입니다.
==== to be continued ====
漁夫란 nick을 오래 써 온 듣보잡입니다. 직업은 공돌이지만, 인터넷에 적는 글은 직업 얘기가 거의 없고, 그러기도 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