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센의 '노라', 젠더 역학의 차이를 드러내는 역사적 텍스트
2023/12/12
입센의 '노라', 젠더 역학의 차이를 드러내는 역사적 텍스트
한국에서 입센은 여성해방의 선구자로 수용되었다. ‘인형의 집’은 그 외 입센 작품을 이해하는 토대가 되었고, 작품의 여주인공 노라에 대한 해석은 당시 신여성을 이해하는 핵심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여성의 문제로 접근된 한국에서의 입센은 또한 그렇기 때문에 소부르주아로 쉽게 낙인찍힌다. 그것은 곧 한국에서 여성해방이 부르주아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것이라 줄곧 담론화된 상황과 연동한다.
근대 지식인들은 줄곧 노라를 통해 여성을 계몽하려 했지만 정작 이 논의는 자신이 포함되지 않는 초월적 시선에 의거한 것이었다. 여성은 그때 동일과 이탈이라는 양 지점을 오르내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자신을 자신이 속하지 않은 언어로 말해온 이 이중구속은 이러한 시선의 차이가 물질화되는 어느 곳에서 배태된 것일 터이다.
자연으로 상징되는 가정을 벗어나는 노라...
@dindntrest 근대 서사물의 거의 모든 여성 인물들의 최종 귀착점은 죽음 혹은 굴복입니다.해방이 그렇게 어렵죠.
노라의 숙명은 결국 파국이었군요.
노라의 숙명은 결국 파국이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