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균
유한균 인증된 계정 · 출근시간에 우린 누구나 철학자가 된다
2023/12/10
1. 이타카로 가는 길
   
네가 이타카로 가는 길을 나설 때,
기도하라, 그 길이 모험과 배움으로 가득한
오랜 여정이 되기를
라이스트리콘과 키클롭스
포세이돈의 진노를 두려워 마라
   
(중략)
길 위에서 너는 이미 풍요로워졌으니
이타카가 너를 풍요롭게 해주길 기대하지 마라
이타카는 너에게 아름다운 여행을 선사했고
이타카가 없었다면 네 여정은 시작되지도 않았으니
이제 이타카는 너에게 줄 것이 하나도 없구나
   
설령 그 땅이 불모지라 해도 이타카는
너를 속인 적이 없고, 길 위에서 너는 현자가 되었으니
마침내 이타카의 가르침을 이해하리라
- 콘스탄티노스 카바피, <이타카>, 최정수 옮김
   
맹인 음유시인, 호메로스는 <오디세이아>라는 서사시를 전한다. 청동기 시대 갑작스러운 기후변화와 야만인 준동으로 인해서 근동 문명들은 일순간에 몰락해버린다. 이를 우리는 고대 암흑기라 부른다. 기록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도 이를 도리아인의 침입으로 말하며, 이후에는 우리가 잘 아는 도시국가 폴리스의 시대가 시작된다. 이 암흑기를 부르는 다른 명칭이 있는데 호메로스 시대다. 이 시대의 서사시와 신화만이 우리에게 남아있다.
   
관련하여 ‘호메로스 문제’라는 말이 있다. 서양 고전학의 논쟁으로, 호메로스라는 시인이 실존하는지에 관한 논의다. 어떤 이들은 심지어 오디세이아의 저자는 여성이었다고 상정하기도 한다. 물론 이러한 구전 문학이 늘 그렇듯 원전이 있다 하더라도 수많은 이들의 첨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지금에 와서는 큰 의미는 없다. 중요한 건 그의 이야기가 세월을 이겨내고 남녀노소를 떠나 큰 공감을 얻을 만큼 보편적인 주제 의식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오디세이아>의 주제는 귀향(歸鄕)이다. 트로이 전쟁은 끝났지만, 섬의 왕인 오디세우스는 돌아오지 않았다. 그 사이 아들 텔레마코스는 장성하였고, 아내 페넬로페는 이제 재혼을 독촉받고 있다. 온갖 고난을 겪으며 처음 출발했던 배와 동료들은 모두 사라져버렸다. 바다에는 괴물들이 가득하고, 신들은 그를 방해한다. 그런데도 오디세우...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배웠던 공부들이 어느새 거짓말처럼 향 연기마냥 머릿속에서 사라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나이가 들어도, 그 시절 고민했던 내가 남아있게 글을 남깁니다.
22
팔로워 67
팔로잉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