쎄큐리티(security), 공공 윤리, 그리고 자본

칭징저
칭징저 · 서평가, 책 읽는 사람
2024/01/15
일본으로 반출된 경주 지역의 문화재(경주일보)

쎄큐리티(security), 공공 윤리, 그리고 자본
  
잠시 ‘소유’에 대한 정의를 환기해보자. 나는 1장에서 소유를 ‘타인을 배제하는 권리’이자 ‘선취’로 설명한 바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어떤 것을 ‘먼저’ ‘나의 지배력’아래 두는 것이라는 소유의 개념정의가 어딘가 불완전하다는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이는 먼저 차지하는 ‘점유(occupation)’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단순한 지배력을 넘어서 소유는 어떻게 완성되는가? 소유의 근본 원리로 내세웠던 배타성은 단지 힘으로 증명될 수 있는 것인가? 동일한 질문: 재산을 가진 자들은 어떻게 하여 완전한 국가 구성원이 되는가. 

지금까지 나는 소위 ‘가진 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이에 대해 이미 로크는 ‘재산’을 가진 자들만이 완전한 구성원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여기에 그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두 가지 이유가 있다. ①오직 그들만이 재산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점, ②그들만이 시민사회에서 완전한 참여에 필요한 조건인 합리적 생활-이성법에 대한 자발적 복종-의 능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에 따르면, 재산이 없는 노동하는 계급은 시민사회에 단지 종속될 뿐 완전한 구성원이 아니다. 재산이 없는 노동자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논하는 것은 이 글의 관심사가 아니다. 주지할 것은, 국가가 시민을 구성원으로 인정함에 있어 척도가 되는 것이 ‘재산’이며, 재산의 정당한 소유가 보장되는 것은 바로 점유에서 소유로 나아가는 절차, 즉 법을 통한 소유의 완성이라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1945년 해방 직후, 재조일본인의 적산은 그것의 권리를 보호해주던 일본정부의 영향력이 증발함과 동시에 공중분해되었다. 당시 일본인들은 헐값에라도 자신의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이정민, 책을 읽고 글을 씁니다.
276
팔로워 556
팔로잉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