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분열을 사랑하는 감독의 분열관찰기
2023/08/28
나는 놀란 영화의 어떤 면을 사랑했나?
13년 전 <인셉션> 개봉일이었던 것으로 기억난다. 친구에게 전화가 왔다. 내가 반드시 봐야 할 영화가 개봉했다며 <인셉션>을 추천해주었다. 다음날 보러갔다. 과연 친구 말이 맞았다. 가슴이 떨릴 정도로 좋았다. 이후에 나는 <메멘토>를 뒤늦게 찾아 보았다. 심장 쫄깃하게 하는 영화를 보는 걸 고통스러워 하는 편인데 그러함에도 <메멘토> 역시 좋았다. 그 뒤로 놀란의 작품은 무조건 봐줘야 하는 영화 1순위가 되었다.
얼마 전 네이버에서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 중에 가장 좋아하는 영화를 설문조사했다. 역시나 내가 좋아하는 <인셉션>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1위였다. 2위는 <인터스텔라>, 3위 <다크나이트>, 4위는 <메멘토>다. 그럼 알 것 같았다. 한국인들은 나와 같은 이유로 놀란을 사랑했다. 크리스토퍼 놀란이 펼쳐주는 상상력 가득한 세계를 좋아하는 것이다. 계단을 걸어도 다시 계단이 나오는 세계, 걷다 보니 90도 수직 방면에서 갑자기 나오는 차들, 저 끝에서 거리가 솟아올라오더니 그대로 포개어지는 세계, 꿈의 꿈의 꿈의 세계.
그런 놀란은 이제 없다. <인셉션>은 놀란이 16세 때 착안을 했고, 본격 시나리오 작업에 10년이 걸렸다. 한 마디로 가장 뜨거웠던 시절의 상상력과 열기가 표출된 일생일대의 작품이다. 이 기준으로 <오펜하이머>를 보면 그가 잘하는 플롯 가위질만 여전할 뿐, 놀란의 상상력은 거의 사라진 것 같다. <오펜하이머>를 함께 본 친구들은 모두 400만은 넘기기 힘든 영화라 단정했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놀란의 그것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덩케르크>에서 보여주었던 플롯 장인의 세계, <테넷>에서 현학적 과학철학 세계가 이번 영화에서도 여전히 이어진다. 놀란은 여전히 위대한 감독이지만 우리가 ...
2019년 김재아란 필명으로 SF장편 <꿈을 꾸듯 춤을 추듯>을 썼다. 과학과 예술, 철학과 과학 등 서로 다른 분야를 잇는 걸 즐기는 편이다. 2023년 <이진경 장병탁 선을 넘는 인공지능>을 냈다. ESC(변화를꿈꾸는과학기술인네트워크) 과학문화위원장으로 있다.
@Guybrush 네 저도 오펜하이머의 말투에 기분이 나쁘더라고요 로버트다우니주니어의 스트로스 연기가 탁월했기 때문인지 몰라도 스트로스를 더 살리고 다른 인물들을 절반 정도 없앴다면 영화가 더 균형있게 느껴졌을 것 같아요. 말씀하신 대로 오펜하이머라는 인물을 옹호하려다 보니 왜 스트로스가 그리 되었는지를 다루는 데는 소홀한 것 같습니다
저도 은근 스트로스에게 눈길이 갔습니다. 특히 그가 과학자들에게 무시당하는 장면을 보면 꼭 내가 무시당하는 것 같고... (사실 스트로스도 과학을 잘 모를 뿐 굉장히 입지적인 인물로 나오는데요) 하지만 전체적으로 영화의 관점이 오펜하이머를 옹호하는 측면이 있어서, 스트로스의 질투를 크게 부각시키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박경목 경목님 관점도 좋네요 현대과학의 세계와 과거과학의 세계. 색의 변화는 과거의 가치와 현대 가치 충돌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키티가 텔러의 악수를 거부할 때 관객은 웃을 수 있었죠. 😏
한편으로 양자역학의 세계와 뉴튼의 세계의 충돌로도 보여서 흥미로웠습니다. 신의 존재를 믿는 아인슈타인의 그 절대성에 대한 이야기, 나를 위해 박수 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상을 준다라는 것... 키티의 마지막 표정은 정말 압권이었습니다. 인간관계의 다양한 변주와 캐릭터의 만찬 같은 영화 였습니다. 천재는 컬러로 자신의 우주에 대해 이야기 하는 데 비천한 사람은 흑백의 세계에서 천재에 대해서만 이야기 하는 그런 플롯이 새로웠습니다.
@Guybrush 네 저도 오펜하이머의 말투에 기분이 나쁘더라고요 로버트다우니주니어의 스트로스 연기가 탁월했기 때문인지 몰라도 스트로스를 더 살리고 다른 인물들을 절반 정도 없앴다면 영화가 더 균형있게 느껴졌을 것 같아요. 말씀하신 대로 오펜하이머라는 인물을 옹호하려다 보니 왜 스트로스가 그리 되었는지를 다루는 데는 소홀한 것 같습니다
저도 은근 스트로스에게 눈길이 갔습니다. 특히 그가 과학자들에게 무시당하는 장면을 보면 꼭 내가 무시당하는 것 같고... (사실 스트로스도 과학을 잘 모를 뿐 굉장히 입지적인 인물로 나오는데요) 하지만 전체적으로 영화의 관점이 오펜하이머를 옹호하는 측면이 있어서, 스트로스의 질투를 크게 부각시키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한편으로 양자역학의 세계와 뉴튼의 세계의 충돌로도 보여서 흥미로웠습니다. 신의 존재를 믿는 아인슈타인의 그 절대성에 대한 이야기, 나를 위해 박수 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상을 준다라는 것... 키티의 마지막 표정은 정말 압권이었습니다. 인간관계의 다양한 변주와 캐릭터의 만찬 같은 영화 였습니다. 천재는 컬러로 자신의 우주에 대해 이야기 하는 데 비천한 사람은 흑백의 세계에서 천재에 대해서만 이야기 하는 그런 플롯이 새로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