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추기에 좋고, 미치기에 좋고, 넘치기에 좋고, 버리기에 좋은”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3/11/10
김진규의 『달을 먹다』

“감추기에 좋고, 미치기에 좋고, 넘치기에 좋고, 버리기에 좋은”  - 김진규의 『달을 먹다』

김진규의 『달을 먹다』는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다. 미안하지만 이는 상찬이 아니라 비난에 가까운 말이다. 가닥을 잡기 어려운 인물간의 관계를 겹겹의 서술로 담아내기에 경장편의 분량(약 250 페이지)조차 남음이 있고 지향하는 미문(美文)에 대한 작가의 강박을 드러내는 데 이만하면 족히 넉넉하다. 이 작품은 최근 한국 장편 소설이 역사 소설로 일방적으로 치달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절실하게 보여주는 증거로써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이 소설에 대한 몇 가지 지적이 실체 없는 역사의 외피만으로 미학적 효과를 얻으려는 ‘역사 소설 붐 현상’에 충격을 가해 전환점을 마련하고 각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고무적이기까지 하다. 

최근 난무하는 역사 소설은 역사를 통해 불러낸 현실 정치소설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빈번하다. 익숙한 역사 감각을 동원해 현실의 문제에 우회적으로 접근하려는 방침으로 보이는데 오히려 이것이 현실과의 소격효과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정치를 심미화하는 파시즘에 대한 우려와 순환론적 반복을 각인시켜 현실의 문제를 당연하게 여기게 만드는 것들이 이에 해당한다. 사실 김진규의 『달을 먹다』같은 경우는 이러한 위험에서 한 발 비껴 서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김진규의 새로운 문학적 성취가 아니라 결손과 누락들 때문이라고 말하는 편이 더 옳다.
 
이 소설의 큰 얼개는 ‘묘연’과 ‘태겸’의 혼인으로 결합된 대제학 ‘류진원’의 가문과 좌의정 ‘김익루’의 가문의 가족사로 짜여 있고 ‘최약국’과 ‘김경렬’이라는 중인 집안의 비밀스런 내력이 이를 떠받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네 집안을 거점으로 뻗어나가는 삼대(三代)에 걸친 기구한 인연과 근친 모티프가 이 소설의 주요한 맥락이자 흐름이다.
...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9
팔로워 2.2K
팔로잉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