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껌이지(Come easy) 5편 : 수용하며 읽고 비판적으로 바라보기

미드솜마르
미드솜마르 ·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관심이 있습니다.
2022/05/21
우리의 언어 능력은 읽기와 쓰기, 말하기, 듣기 능력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 수용과 관련된 읽기와 듣기는 마음을 위한 것과 지식을 위한 것으로 다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두 가지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운수 좋은 날>을 읽으면 김 첨지의 불안함과 슬픔에 공감하며 마음이 움직이면서도 그 당시의 생활상에 대한 지식을 알게 됩니다.)

저는 마음을 위해서는 주로 드라마나 영화 등 영상매체를 보기 때문에, 여기서는 주로 지식을 위한 책읽기에 대해 말하고자 합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이 그림에 모두 정리가 되어 있는데요, 우리의 세상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여러 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책이 말하고자 하는 주장이 있을 때, 그 책의 내용을 수용하면서도 다른 시스템과 어떤 상호작용을 할지를 항상 비판적으로 고민해야만 합니다.

얼룩소에 있는 글을 예시로 들어본다면, 주4일제를 할 때 기후변화를 늦출 수 있다는 주장을 할 수 있습니다. 출근을 안하니 자동차 이...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