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만 하면 뭐 하나
2023/11/12
아그노톨로지(agnotology)는 저급한 정보는 넘치는데 진실을 알려주는 정보가 없는 상황을 말한다. 단편적인 정보들에 잠식당해 잘못된 의견을 갖게 되거나 얕은 사고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편향된 정보의 독성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진짜’를 알기 위해 다양한 활자물을 찾아 다닌다. 삶 너머의 진짜 삶을 알게 해 줄 책들을 찾기 위해 평생을 바치기도 한다.
독서일기를 여러 권 내며 책 읽기의 정수를 보여준 장정일은 그의 책에서 ‘책을 읽는 행위가 개인의 내밀한 쾌락을 추구하는 것과 아울러, 민주사회를 억견과 독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시민들이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의무’라고 했다. 독서의 사회적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작가 자신은 한시도 활자에서 눈을 떼지 못하면서 ‘사람이 무엇을 감상하려면 멈춰야 하는 것처럼 무엇을 생각하고자 한다면 잠시 활자로부터 눈을 떼야 한다’고도 했다. 무조건 읽기만 하는 게 답이 될 수 없다는 얘기다.
나는 좀 다른 의미로 책을 읽는 게 편하지 않을 때가 있다. 누군가는 ‘책 속에 진리가 있다는 말은 역사 최대의 거짓말이다’라고 했다. 이렇게 말한 사람은 책이 뭔가를 줄 거라 기대했는데 아무것도 얻은 게 없어 심통이 난 듯하다. 진리까지는 아니더라도 작은 성찰, 깨달음이라도 얻으면 다행인데 나는 과연 책에서 무엇을 얻고 있는가. 앞에서 열거한 책의 유용함은 실체가 있는 것인가. 내가 할 수 있는 게 달리 없으니 책이라도 읽는다고 자위하기 위해 만들어낸 이유들은 아닌가.
책 한 줄 읽지 않고도 타고난 감각으로 자신의 삶을 잘 경영하는 사람들은 책 말고도 인생을 가르쳐 줄 스승이 많다고 말한다. 삶이라는 현장에서 부딪치고 깨지며 배운 세상이 진짜라고 하기도 한다. 그들이 더 현실의 토대에 굳건히 뿌리 박고 있는 듯 보이기도 한다.
이에 비해 머리만 비대해진 책상 물림들은 현실성 없는 공허한 말...
철학, 문학을 전투적으로 공부하며 소설을 쓰고 있습니다. 매일 읽고 생각하고 쓰는 생활을 하다보니 내가 축적하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