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수는 기본?

배윤성
배윤성 · 에세이집 '결론들은 왜 이럴까'를 냄
2023/11/19
예쁠 나이가 되어서인지, 살이 빠져서인지 딸은 오월의 장미처럼 화사해졌다. 얼굴의 윤곽이 드러나자 이목구비도 선명해졌다. 살과의 전쟁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어 한숨을 돌리고 있을 때였다. 

“엄마는 쌍꺼풀이 있는데 왜 나는 없어?”
거울을 들여다보던 딸이 시비조로 말했다. 

내가 어찌 알겠는가. 떡 빚듯 뱃속의 아이를 조물딱거려 만들어낼 수 있었다면 ‘너’는 내 딸이 아닐 것이다. 만들어진 대로 낳은 죄밖에 없는 나에게 뻑 하면 화살이 돌아온다.

“너는 나를 안 닮고 누굴 닮은 거야?”
“아빠 닮았나부지. 어쨌든 이렇게 낳았으니까 쌍꺼풀 만들어 줘.”

낳아준 것만으로 황송해하라고 말하지는 않겠다. 내 쌍꺼풀 유전자가 남편의 홑꺼풀 유전자에 밀린 것이니 어쩌랴. 

“쌍꺼풀 없어도예쁜 눈인데 뭘 그래?”
“단춧구멍 눈이 예쁘다는 거야?”

나는 딸의 눈을 보며 단춧구멍처럼 작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크지는 않지만 작지도 않은 눈이다. 웃을 때는 반달처럼 곡선을 그리는 눈이 귀엽기까지 하다. 평범한 눈을 단춧구멍 같은 극단적 예를 들어 어미의 죄책감을 자극하려는 것인가 보았다. 

“쌍수(쌍꺼풀 수술)는 기본이야. 안 한 사람 한 명도 없어.”
그러고 보니 이미 할 사람들은 다 했다. 그녀 주변은 물론이려니와 내 주변에도 홑눈은 없다. 어느새 쌍수는 대한민국 여성의 필수 템이 되어버렸다. 상대적 박탈감이 이 경우에도 적용된 것일까. 자식이 외모 콤플렉스 운운하니 어미는 또 약자가 될 수밖에 없다. 

“아빠한테 말해봐.”
쌍꺼풀이 있는 나는 책임 소재를 분명히 했다.
 남편은 자신의 눈과 딸의 눈을 한참 들여다 보더니 병원에 가보라고 했다.

병원 얘기가 나오기가 무섭게 딸은 인터넷...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철학, 문학을 전투적으로 공부하며 소설을 쓰고 있습니다. 매일 읽고 생각하고 쓰는 생활을 하다보니 내가 축적하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졌어요.
17
팔로워 9
팔로잉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