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장의 사치스러운 선택 : 기생충(2019)

김터울
김터울 · 연구자, 활동가, 게이/퀴어.
2023/03/09

봉준호의 역대 작품들에는 교양으로 아름답게 치장된 그룹들의 전형을 깨부수는 장치들이 늘 있었다. <살인의 추억>의 유력한 성범죄 용의자는 집에서 단파 라디오를 듣는 (아마도 386 운동권일)지식인이었고, <마더>의 줄거리는 소위 목가적인 촌락공동체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촌극에 대한 이야기였으며, <옥자>는 생태주의자들이 실은 얼마나 자의적인 휴머니즘의 좁은 기반 위에 서 있는지를 우회적으로 까는 영화였다(영화 마지막에 미자가 구하는 건 옥자이지 그 '종' 전체가 아니다). 이번 영화에선 그 예봉이 계급으로 옮아갔다. 그리고 봉준호가 늘 그랬듯이, 이 영화는 상류층의 천박함만큼이나 하류층의 천박함도 봉테일의 이름에 걸맞게 깨알같이 그려진다. 가난한 민중의 선하고 타오르는 생명력 같은 건 이 영화에 안 나온다. 이 영화는 가난한 자들이 부자들은 물론이고, 비슷하게 가난한 자들을 어떻게 등쳐먹는지에 대한 묘사로 가득하다. 그런 경우를 실제가 아니라 정녕 이 영화를 통해 처음 접해보았다면, 당신은 진실로 운이 좋았던 사람이다. 

빈부의 차는 누구나 경험하는 것이기에, 이 영화가 묘사하는 가난에 대해 이따금 버튼이 눌린 사람도 있는 듯하다. 작품에 대한 감상과 해석은 관객의 권능이니, 그런 반응들 또한 작품 내적으로든 관객의 입장으로든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 대한 내 입장을 말한다면, 나는 이 영화가 가난을 질척하게 묘사함에 있어 오히려 좀더 나가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가령 성매매집결지에서는 외부에서 상상할 수 없는 온갖 종류의 패악질(방화, 칼부림, 이불에 똥싸기, 끊임없이 돈을 빌리고 안갚기 등)이 성매수자 남성에 의해 일어난다. 그건 당연히 가부장제, 즉 남성과 여성의 젠더 권력차에 의해서도 발생하지만, 그와 '더불어' 그곳에 드나드는 남성들 중 적지 않은 수가 하위 계층이라는 점에도 일정 부분 기인한다. 물론 그런 행위들에 계급...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사랑의 조건을 묻다』(숨쉬는책공장,2015), 『세상과 은둔 사이』(오월의봄,2021), 『불처벌』(휴머니스트,2022,공저).
59
팔로워 87
팔로잉 34